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연세대학교 이관형 교수 연구진, 원자 한 층 두께에 전자회로를 그리다

by 9기백광렬기자 posted Nov 07, 2018 Views 1504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연세대학교 손장엽 박사, 권준영 학생 등을 포함한 이관형 교수 연구진이 원자 한 층 두께의 그래핀 위에 전자회로를 그릴 수 있는 기술 구현에 성공했다. 그래핀을 또 다른 2차원 물질인 육각질화붕소로 감싼 구조에 직접 금속 전극을 형성할 수 있어, 그래핀의 전기적 특성이 월등히 좋아지는 구조에 쉽게 전극을 형성할 수 있었다. 


그래핀은 0.34나노미터의 두께로, 투명하고 유연하다. 게다가 전기전도성이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높고,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한 차세대 신소재이다. 이관형 교수 연구진은 그래핀을 십자형태로 두고, 육각질화붕소로 각각 감싼 후에, 제논가스를 흘려보냈다. 이때, 육각질화붕소에 구멍을 뚫고 금속을 채워 넣으면, 금속이 그래핀을 통해서 서로 연결되게 된다.


그래핀.PNG그래핀 2.PNG

[이미지 제공=이관형 Atomically...heterostructures논문,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관형 교수 연구진은 전기적으로 그래핀을 제어하는 것보다 2차원 물질을 적층한 이종구조에 효율적인 패터닝 및 금속 컨텍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어 연구를 진행했다. 2차원 물질은 두께가 매우 얇아서 가로 세로만 존재하는 물질을 말한다. 앞서 언급한 기술을 적용하면, 2차원 물질에서 층을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연구에 참여하고 직접 인터뷰를 진행한 류희제 연구원은 "원래는 3차원 집적 회로를 구현하여 2차원 물질로만 이루어진 플렉서블 투명 회로를 제작하고자 하였지만 이는 연구 중에 있고, 이 기술을 적용해서 2차원 물질로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소자를 찾지 못하여 아쉬움이 남았다"고 한다.


KakaoTalk_20181021_144117096.jpg

▲연구진이 층을 합칠 때 쓰는 즉, 2차원 물질을 만드는 기구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9기 백광렬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9기 백광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035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75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5078
광화문 1번가-국민의 목소리 file 2017.06.05 한지선 10946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949
잠잠하던 코로나... 태국에서 다시 기승 2020.12.28 이지학 10954
런던의 또 한 번의 테러: 지하철역 안에서 3 file 2017.09.19 박우빈 10957
“음주운전은 살인행위“라던 민주평화당 이용주 의원 “음주운전 적발” file 2018.11.08 곽승준 10960
제 20차 촛불집회, 생명력 넘치는 광화문 그 현장으로 file 2017.03.18 박기준 10961
재건축 안전진단이 뭔가요? 1 2018.05.25 이영재 10963
마스크의 생산량 추이와 전망 1 file 2020.10.05 김남주 10966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972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0976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976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976
소중한 투표권, 국민들의 선택은? file 2017.04.23 민소은 10978
페트병을 색으로만 기억해야 할까? file 2018.11.29 박서정 10980
Greta Thunberg, 스웨덴의 만 16세 소녀가 UN에 서게 된 까닭은? 1 file 2019.09.30 이채린 10980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file 2017.03.26 이승민 10988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989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10999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1000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1000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11006
대한민국의 흐린 하늘을 만드는 주범, 미세먼지 2 file 2018.05.24 노채은 11014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1020
강서구 PC방 살인 사건 관련 청원, 국민청원 100만 돌파 file 2018.10.26 정아영 11021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1024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1025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1026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1027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1027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1029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1031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1041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1041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1044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1046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1049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1050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1055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1056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1057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1060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1061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1066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1067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1067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1067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1068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107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