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by 땅콩샌드 posted Sep 25, 2014 Views 2169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최근 경기도 교육청에서 이른 등교 시간으로 인해 피로를 느끼는 학생들을 위한 정책으로 '9시등교'를 제안했다. 이는 학교의 등교 시간과 1교시 시작 시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등교 시간을 늦추는 것이 학생들에게 더 유익할 것이라는 경기도 교육청의 판단 하에 나온 정책이다. 9시 등교를 시행할 경우 학생들의 수면 시간을 늘려줄 수 있기 때문에 학습 효과도 더 크리란 기대를 받고 있다.

 실제로 9시등교에 대한 의견을 묻는 인터뷰에서, 제천 세명고등학교 최세령(18) 학생은 '9시등교를 실시할 경우 잠을 더 잘 수 있기 때문에 수업에 더 집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서울 마포고등학교 김진욱(18) 학생과 경기 운산고등학교 박혜진(18) 학생 역시 '하교 시간도 늦어지는 게 아니라면 9시등교에 적극찬성'이라며 9시등교에 대한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처럼 경기도 교육청의 9시등교 정책은 학생들이 충분한 수면을 갖지 못 할 경우 그 다음날에도 피로가 이어지기 때문에 습관화되면 지속적으로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이유로 학생들의 학업과 건강을 위한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9시등교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서울 명덕여자고등학교 장현경(18) 학생은 '등교가 늦어지면 하교도 늦어질 수밖에 없고, 그럴 경우 학원 시간대도 같이 늦어지기 때문에 학원 수업 시간이 부족해 오히려 아침 일찍에도 사교육을 받고 등교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고 주장했다. 지금도 시험기간에는 규정 시간을 어기고 늦게까지 수업을 한 후 다음 날 등교 전 새벽에도 보충수업을 하는 학원들이 있다. 만약 학생의 말대로 된다면, 9시등교제는 학생들의 학업과 건강은 물론 공교육의 입지도 지킬 수 없을 것이다.

 정책의 취지는 좋지만, 그 정책이 학생들로 하여금 더 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드는 것이 아닌지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KYP 인턴 기자 김혜빈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239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002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5119
I-SEIF, 사회적경제기업 위해 해피빈 공감가게 기획전 열어 file 2022.11.01 이지원 5728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730
"도난 당하면 학생 책임"...논쟁에 선 광주교육청 노트북 대여 정책 file 2023.12.04 도예은 5733
[포토] 서울 아덱스서 모습 드러낸 최신예 한국 전투기 'KF-21 보라매' file 2023.10.25 박세준 5742
'학교폭력 의혹' 서수진, 연예계 문 다시 두드린다 file 2023.10.21 이가빈 5744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10주년 기념 ‘온라인 캠페인 및 청소년 욕구도 조사’ 실시 file 2022.12.23 이지원 5751
민방위 훈련 참가한 청소년들 "실질적인 행동 요령 배울 수 없어" file 2023.09.16 이진 5831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 그룹홈 아동 원가족복귀 지원 사업 완료 file 2022.08.25 이지원 5836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840
[해외] 미 캘리포니아, 노숙인문제 해결 위해 민간단체가 노력 file 2023.04.26 이승주 5845
한국청소년재단, ‘투표한다람쥐’ 캠페인 실시 1 file 2022.05.30 이지원 5860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5916
한글문화연대, ‘제2회 외국어 남용에 불편했던 이야기 수기·영상 공모전’ 개최 file 2022.07.01 이지원 5928
'존댓말 없는 사회' 실험...어린이가 성인에 반말하는 봉사활동에 가다 file 2023.11.08 조혜영 5929
'임금 체불 의혹' 웨이브에이전시 송모 사장, 보조 출연자들에 폭언 일삼아 file 2023.11.05 김진원 5938
묻지마 범죄에 전문가들 "어떻게 엄중하게 처벌하느냐가 관건" file 2023.09.22 김주영 5947
[기자수첩] 도심 속 사각지대 '용산역 텐트촌' 직접 가보니 file 2023.10.25 김진원 5965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971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차별...'케어키즈존'이 필요하다 file 2023.12.31 심이슬 5972
[기자수첩] 홍익대학교 길고양이의 죽음이 불러일으킨 불화 file 2023.06.24 김동연 6003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과 이주노동자 인신매매방지법 정책토론 개최 file 2023.08.10 김민성 6047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6095
[기자수첩] 우리나라의 분리수거, 실천되고 있을까? 2023.06.13 이주하 6097
[기자수첩] 챗GPT, 금기할 것인가 활용할 것인가 file 2023.05.16 김시은 6106
[기자수첩] 상속세 실효세율, 한국이 OECD 6개국 중 최고 1 file 2023.09.30 김수진 6130
[기자수첩]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엇갈리는 평가 2023.04.03 최민준 6148
서울연구원, '여건 변화에 대응하는 국토계획법 및 서울 도시계획' 주제로 세미나 개최 file 2022.12.14 이지원 6174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 인식 개선 연합 캠페인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성료 file 2022.10.22 이지원 6185
'오커스'가 도대체 뭐길래.. 프랑스 왜 뿔났나 file 2021.10.28 조지환 6200
매일유업, 9월 6일 자원 순환의 날 맞아 지구를 살리는 '약속 챌린지' 진행 file 2022.09.07 이지원 6232
서울시자살예방센터, 2022년 ‘서울 청년의 생명을 살려라! 100인 토론회’ 개최 file 2022.08.16 이지원 6260
지정학적 위기부터 연준의 긴축 가능성까지 … 증시 ’긴장’ file 2022.02.21 윤초원 6261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296
방역패스, 백신 미접종자 차별? 1 file 2022.01.06 피현진 6311
한국디스펜서리 주관 ‘2022 식약용 대마 분석·보안 컨퍼런스’ 12월 23일 개최 file 2022.12.16 이지원 6324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353
서울시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건강의 날 기념 및 제32대 정신건강지킴이 위촉 file 2022.09.19 이지원 6361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379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391
[기자수첩] 우리에게는 '디지털 디톡스'가 필요하다 file 2023.08.10 김하은 6392
'만 나이 통일법' 시행 3달째...연령 혼동 사라질까 file 2023.09.22 빈나현 6426
한국목재재활용협회, 오염된 폐목재의 무분별한 중고거래 대책 마련 촉구 file 2022.09.13 이지원 6434
[기자수첩] 들끓는 강력 범죄...‘가석방 없는 종신형’ 도입해야 file 2023.09.22 오다연 6439
강동구청소년상담복지센터, 이태원 사고 관련 ‘재난 심리지원 특별상담실’ 운영 file 2022.11.16 이지원 6440
예멘 후티 反軍, 아랍 에미리트 향해 미사일 공격 1 file 2022.01.27 권강준 6452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453
[기자수첩] 챗GPT에 높아지는 관심...직접 써보니 2 file 2023.05.06 이성재 6453
우크라이나 사태와 반도체 기업 file 2022.02.28 이준호 64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