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사형 선고’ 이영학, 판결불복 항소에 이어 재판부에 반성문 제출

by 6기이정은기자 posted Mar 20, 2018 Views 116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중학생인 딸의 친구를 유인하여 성추행하고 살인한 뒤 시신을 유기한 혐의로 1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은 이영학(36)이 판결에 불복해 항소했다. 지난 22일 이영학은 서울북부지법 형사합의 11부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항소장을 제출한 뒤 닷새만인 지난 27, 이영학은 또다시 재판부에 반성문을 제출했다. 항소심 재판은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다.

 

ff37939f17ecb07020e79e2465007928.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이정은기자]

이영학은 지난해 930일 딸의 친구 A(당시 14)양을 서울 중랑구 망우동 자신의 집으로 불러 수면제가 든 음료를 먹인 뒤 추행하고, 다음 날 101A양이 깨어나자 목을 졸라 살해한 뒤 딸과 함께 강원 영월군의 한 야산에 A양의 시신을 유기한 혐의(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상 강간 등 살인, 추행유인, 사체유기)로 구속기소 됐다.

또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아내 최 모씨를 지난해 6~910여 명의 남성과 성매매를 하도록 알선하고, 그 장면을 몰래 촬영한 혐의(상해·성매매 알선, 카메라 이용 등 촬영), 자신의 계부가 최 씨를 성폭행했다며 허위로 경찰에 신고한 혐의(무고), 지난해 9월 최 씨를 알루미늄 살충제 통으로 폭행한 혐의(상해), 딸의 치료비로 쓴다며 후원금을 모집해 치료비로 쓰지 않은 혐의(사기) 등으로도 기소됐다.

지난 21일 북부지법 형사합의 11부는 유족에게 미안하다는 반성문을 수차례 제출했으나 문맥과 진술 태도 등에 비춰볼 때 유족에 대한 진심 어린 반성이 우러난 것이라기보다는 행복한 미래를 꿈꾸면서 조금이라도 가벼운 벌을 받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위선적인 모습이다. 이영학에게 교화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 어렵고, 사회에 복귀할 경우 더욱더 변태적인 범행을 저지를 가능성이 충분해 보인다.”라고 판단을 내렸다. 이어 어떠한 형에 처한다고 해도 피해자와 유족의 피해가 위로되고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 범죄에 대한 응당한 징벌, 잠재 범죄에 대한 경고, 사회가 마땅히 가져야 할 위로 등을 포함하여 사형을 결정했다.”고 양형사유를 밝혔다.

앞서 진행된 재판에서 이영학 측 변호사는 이영학이 환각·망각 증세가 있어 심신미약 상태에서 범행을 저질렀고, 살해는 우발적이었다. 이영학에게 장애와 간질 증세도 있다.”라며 이영학의 심신미약을 주장했다. 재판부는 수면제를 복용했다고 하지만 의사 결정 능력이 미약한 상태에 이르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어 지난달 30일 열린 결심 공판 최후 진술에서 이영학은 피해자에게 너무나 미안하다. 일평생 피눈물을 흘리면서 피해 학생을 위해 울고 기도하겠다. 딸을 위해 다시 한번 어금니 아빠로 살게 해달라며 눈물로 호소했다. 이에 재판부는 진심 어린 반성에서 우러나오는 것이 아닌 위선적인 모습에 불과하다라고 평했다.

 

이영학의 판결 불복항소 소식이 전해지자 네티즌들은 당장 사형을 집행해야한다는 의견들을 쏟아부었다. 한 네티즌은 자신이 죽기 싫었으면 다른 사람도 죽이지 말았어야지라며 이영학의 불복항소에 대한 반응을 표출했다. 다른 네티즌은 진짜 뻔뻔하다. 자기가 무슨 짓은 저질렀는지 상황판단이 안 되나? 죄 없는 아이를 죽이고 온갖 추악한 짓을 일삼은 이영학은 사형이 마땅하다.”라며 분노를 표했다.

 

반면 이영학이 항소심 재판부의 판결에도 불복할 시 상고심까지 올라갈 가능성도 있어 재판부의 판결이 기다려지고 있는 바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6기 이정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839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583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2483
지진 교육 이대로 괜찮은가, 지진 교육의 충격적인 민낯 3 file 2018.03.12 한유성 14481
지진, 과연 우리는 안전할까? 4 file 2017.02.18 김재훈 18933
지진여파로 수능시험 11월 23일 일주일 연기 1 file 2017.11.22 김도연 12284
지카 바이러스 확산 대응 방법은? 2 file 2016.03.25 노태인 17685
지카 바이러스,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7 file 2016.02.12 오시연 23228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782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409
직능연 "마이스터고 졸업생, 수도권 쏠림 현상 강해져" file 2023.01.18 디지털이슈팀 6472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효과가 있었나 file 2021.03.02 이효윤 8130
직장 내 여성 왕따, 어디서 부터 잘못된 것일까 3 file 2018.05.25 하예원 11162
진선미 의원표 성평등정책, 해외서도 통했다..'미 국무부 IVLP 80인 선정' 화제 file 2020.12.21 디지털이슈팀 8965
진실을 숨기는 학교와 언론사···그 내막을 밝히다. 7 file 2017.02.11 서상겸 54131
진정되어가는 마스크 대란, 전 세계의 상황은? 5 file 2020.04.06 유지은 15952
진짜 페미니즘이란 무엇인가 2 file 2017.02.24 이소미 19881
질긴 고기 같은, 아동 학대 2 2021.02.15 이수미 12753
짐바브웨에서 쿠데타가 일어나다 file 2017.11.22 박형근 15162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8345
집중호우의 다른 이름 ‘기후변화’ file 2020.08.31 최지원 8695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663
차별금지법 제정, 한국 사회가 직면한 과제 file 2021.06.16 김도희 8612
차세대 교육 대통령은 누구? 대선 후보들의 교육 공약을 알아보자 10 file 2017.02.25 조민 18289
차세대 정치 VS 구세대 정치 '65세 정년 도입' 발언 6 2017.01.23 김가은 17920
차이나 리스크, 홍색 규제에 대한 나비효과 file 2021.08.02 한형준 9105
차이나머니가 삼키는 제주도, 이대로 괜찮은가 1 2016.05.24 이소민 15729
착취 당한 수많은 여성들과 26만 명의 남자들 "텔레그램 n번방" 12 file 2020.03.24 김예정 14992
참여의 결과. 기쁘지만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 file 2017.03.19 김유진 11149
참정권 없는 청소년, 또 한 번의 권리개혁 이루어질까 1 file 2017.05.25 최유진 15725
창립 50주년 기념 제182차 KEDI 교육정책포럼 개최 file 2022.06.14 이지원 6021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471
챌린저들의 챌린지 1 file 2016.04.18 김은아 17796
천안시, 선거구 획정안에 ‘게리맨더링’ 의혹 2 file 2016.03.17 이우철 18944
천안함 음모론, 그것은 억지 2 2021.03.22 하상현 12773
철원 자주포 사고, 2년 전과 똑같은 비극이 반복되다. 2 file 2017.09.05 권민주 13081
첫 mRNA 백신 등장, 아나필락시스의 원인은 PEG일까? file 2021.05.03 차은혜 9861
첫 코로나 백신, 앞으로의 문제는? 2020.08.24 이채영 9122
청년 실업률 사상 최고치 기록, 취업못한 56만명… 8 file 2016.03.20 김지윤 23830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2745
청년 인재들을 위한 사회 변화 실험터 ‘SUNNY’, 사회 문제 분석 보고서 발표 file 2022.05.23 이지원 6898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8324
청년세대 10명 중 6명 "원하는 직장 찾을 때까지 취업 N수할 것" file 2023.04.19 디지털이슈팀 6357
청년실업률 40%시대, 청년들의 디딤돌 '서울시 뉴딜일자리사업' 1 file 2017.01.23 김지수 20040
청소년 미디어 과의존 해소 위한 '2022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연합세미나’ 개최 file 2022.06.13 이지원 6915
청소년 보호법 폐지, 그리고 청소년 3 file 2017.09.25 이다은 14131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3 file 2016.08.21 조혜온 18921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996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712
청소년 아르바이트, 보호 vs 인정 2 file 2019.01.22 박서현 16779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431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