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한국의 보수가 영국의 보수당에서 배울점은 무엇인가?

by 6기김다윗기자 posted Mar 08, 2018 Views 1262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로 대한민국의 보수는 내리막길을 걷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최근 리얼미터의 여론조사에 의하면, 정당지지도는 민주당 45.9%, 한국당 20.8%, 바른 미래당 10.5%, 정의당 5.6%, 민주 평화당 3.4% 였다. 탄핵정국에 비해 보수정당의 지지율은 어느 정도 회복을 했으나, TK지역을 제외하고 모든 지역에서 민주당이 1위를 차지했고, 한때 보수의 텃밭이였던 PK지역에서도 민주당에 2배가 넘는 지지율격차로 1위를 빼앗기게 되었다. 중도우익성향의 바른 정당과 중도성향의 국민의당이 통합하여 바른 미래당을 창당하였다. 그러나 이 당을 보수정당이라고 부르기에는 부족한 면들이 많다. 그렇다면 한국 보수가 이렇게 까지 몰락한 원인은 무엇일까? 촛불혁명 이후, 박근혜 정권의 부패로 인한 불신이 가장 큰 이유이지만 보수당내의 자각과 국민을 향한 반성이 없는 상황과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의 막말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한국보수가 기존 보수의 정체성을 상실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겠다. 

1520339021731 (2).jpg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다윗기자〕

우리는 한국보수의 좋지 않은 상황에서 영국의 오랜 전통을 자랑하는 보수당(Conservative and Unionist Party)의 사례를 통해 그 해결점을 찾아볼 수 있다.
영국의 보수당의 기원은 1780년대에 소 윌리엄 피트를 중심으로 한 휘그당의 탈당파들로 올라간다.
1832년 로버트 필이 토리(Tory)라고 불렸던 당의 이름을 보수당으로 바꾸면서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1830년대 영국에서 가장 큰 사회적 이슈는 곡물법이었다. 당시 보수당은 곡물법폐지와 관련하여 찬반으로 나뉘어 내분을 겪다가 실각하게 된다. 실각 이후 보수당은 약 30년간 집권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보수당은 대세에 맞지 않는 정책을 고수하는 것에 대한 위험을 감소시켰고, 당의 결속을 통해 안정을 이루어냈다. 이렇게 보수당은 위기를 현명하게 대처하였다. 이에 큰 역할을 한 사람은 영국의 전성기시절의 총리였던, 벤저민 디즈레일리(Benjamin Disraeli)였다. 디즈레일리 총리는 현대적 영국보수당의 기초를 만들었고, ‘하나의 국민’ 원칙을 통해 사회통합을 추구하는 정당의 이미지를 완성한다.
 20세기에 급부상한 노동당에게 처칠의 보수당은 세계대전의 승리에도 불구하고 정권을 내주게 된다. 보수당의 뚜렷한 정책 변화는 1970년대 후반에 나타나는데, 영국은 IMF에 구제 금융을 신청할 정도로 심각한 경제 위기를 겪었다. 이때, 중산층출신의 정치인,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Margaret Thatcher)가 신자유주의로 보수당을 집권시켰다. 대처 총리는 당내에서 이데올로기 정립을 위해 다양한 연구 활동을 장려하였다. 이는 보수당의 장기집권의 기반이 되었다. 그녀의 뒤를 존 메이저가 이었으나, 여러 가지 스캔들과 경제의 몰락으로 인해 보수당은 제3의 길을 들고나온 노동당의 젊은 당수 토니 블레어(Tony Blair)에게 418석대 165석의 충격적인 패배를 겪었으며 약 12년 동안 야당이 되어 침체기를 겪었다. 그러나 블레어 총리의 사임으로 고든 브라운이 후임자가 되었고, 이에 보수당은 따뜻한 현대적 보수주의 또는 온정적 보수주의를 내세운 엘리트출신의 젊은 데이비드 캐머런(David Cameron)을 당수로 내세워서2010년 총선에서 자유민주당과 연정하여 집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보수당은 당의 위기가 있을 때마다, 혁신과 당내 변화를 통해 시대에 뒤처지지 않고, 
약 200년의 오랜 역사를 유지해왔다. 또한 선거패배 후에도 분열을 겪기보단 당이 단합하여 철저한 패배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젊은 피를 수혈하고 시대에 맞지 않는 강령은 폐기함으로써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줬다. 대한민국 역대 보수정당 중 가장 오랫동안 존재했던 정당은 민주공화당으로, 약 17년 동안 존재했었다. 대한민국에서 보수라는 정치인들은 정당을 만들고 난 후, 선거에서 패하면 쉽게 당명을 바꾸고, 분열하곤 했었다. 야당이 돼서는 신사적이고 합리적인 보수의 모습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이제는 대한민국의 보수가 영국보수당의 사례를 본받아 보수의 가치를 재건하고, 노인들과 엘리트들만을 위한 보수가 아니라, 모든 국민을 위한 보수가 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김다윗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400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144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6395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619
무한도전 '그 때 그 법안, 어디까지 진행됐어?' 2 file 2017.12.07 김하늘 12610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2610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610
동성애 차별금지법과 동성혼 허용 개헌을 반대하는 대학 청년 연대, 기자회견을 열다. 2 2017.08.12 박수빈 12605
자율형 사립고와 외국어고 폐지, 과연 올바른 해결책인 것인가? 2 file 2017.06.25 이지연 12602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2600
‘생리대 발암물질’ 논란 속에서 방법은 ‘생리컵’ 인가? 4 file 2017.08.28 박지민 12594
논란 속의 '페미니즘' 1 2018.04.18 이가영 12593
끝까지 지켜보아야 할 세월호 인양 2 file 2017.03.07 김하늘 12590
유기견들의 다양한 기다림 그리고 인내 file 2019.07.02 정수민 12582
소년법, 개정인가 유지인가? 1 file 2017.10.02 5기정채빈기자 12579
김포시 독립운동기념관에서 청소년이 기획한 제72주년 광복절 기념행사 열려 1 file 2017.11.06 한서원 12577
"동해 vs. 일본해" IHO, 동해의 새로운 표기 방법은 이제부터 고유 식별 번호 file 2020.12.15 장예원 12565
"2015 한일'위안부'합의"...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김예진 12560
잊혀지지 않을 참사, 세월호 참사 3주년을 앞두고 되짚어 보는 팽목항의 비극 3 file 2017.03.23 박아영 12557
세계 각국은 인플레이션 우려 중 file 2021.06.21 이강찬 12555
비트코인, 엇갈리는 평가와 가치 file 2018.02.02 김민우 12553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552
매일 총소리가 울리는 땅, 시리아 1 file 2018.03.05 구희운 12551
대한민국 공직사회...잇따른 과로사 file 2017.03.17 최시현 12538
손학규 대선 출마 선언 “국민주권의 시대, 우리가 열어가야 할 미래” file 2017.03.19 황예슬 12534
언제나 진실은 하나! 아직 끝나지 않은 세월호 11 file 2017.08.03 임현수 12533
강서구 PC방 살인사건, 100만이 분노하다 2 file 2018.10.26 김준수 12529
노화? 제대로 알고 방지하자! 1 2019.01.08 이지은 12526
유명 브랜드의 고객 폭행 사건 2 file 2018.05.11 구희운 12526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2520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 서버 오류 발생..네티즌들 “나만 안 되나” file 2018.05.18 디지털이슈팀 12519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500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이라고? file 2019.09.17 박고은 12498
'국가부도의 날'로 보는 언론의 중요성 3 2018.12.27 김민서 12498
한류의 새로운 패러다임, 한한령 2 file 2017.05.26 유수연 12498
아베에게 닥친 커다란 위기, '아키에 스캔들' 2 file 2017.04.11 박우빈 12497
숫자를 통해 알아보는 대선 file 2017.04.24 백다미 12481
5000년 함께 한 무궁화, 국화가 아니다? 2 file 2019.03.07 박은서 12476
역사상 첫 대통령 탄핵, 혼란은 이제 끝? 1 file 2017.03.11 김나림 12468
영국 산업단지서 시신 39구 실린 화물 컨테이너 발견... file 2019.10.31 김지민 12461
또다시 시작된 인도의 공기 오염, 한국보다 10배 심각 2 file 2018.11.02 서은재 12460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종료 3 file 2017.11.24 장서연 12456
미투운동의 딜레마 file 2018.04.04 정유민 12450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2444
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와 고용노동부 처분 정당성 논란 file 2017.10.17 원종혁 12444
사드 아직 끝나지 않은 3 file 2017.05.30 김도연 12444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443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2435
왜 이렇게 덥지? 3 file 2018.07.30 고다은 12434
낙태를 둘러싼 찬반대립, 무엇이 적절한가 file 2019.03.04 조아현 12429
술을 판 판매자는 유죄, 술을 산 청소년은 무죄? 1 file 2018.04.27 곽태훈 124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