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우버와 에어비앤비 더 이상 공유경제가 아니다.

by 8기김민우기자 posted Feb 21, 2018 Views 1608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공유경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수십조 원의 기업 가치를 평가받으면서 전 세계 스타트업 생태계를 호령하며 자신들을 대안적인 경제모델로써 알리며 성장하고 있다.


  여기서 공유경제(共有 經濟, sharing economy)는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대여하고 차용하여 쓰는 개념으로써 인식하여 경제활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물건이나 공간, 서비스를 빌리고 나눠쓰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기반의 사회적 경제 모델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공유경제는 1985년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던 미국에‘ 케인스 이후의 최고의 아이디어라는 찬사를 받을 정도로 획기적인 발상이었다. 그러나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공유경제의 모습과 1985년의 공유경제의 모습은 조금 다르다고 볼 수 있다.


  현재 공유경제를 가장 구체적으로 정의했다고 평가받는 사람은 로렌스 레식 하버드 대학교수이다. 그는 상업경제로 인해 망가지는 경제 시스템을 회복시킬 방안으로써 가격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계의 복잡한 조합에 의해 규정되는 경제 양식으로써 공유경제를 내세운 것이다. 즉 그의 공유경제의 핵심요소에는 비금전적 요인이 포함되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금전적인 이익을 추구하거나 실리를 추구하는 것이 주목적이 아니라 제공하는 서비스나 콘텐츠 그 자체가 사람들에게 기여하면서 작용한다고 말했다. 즉 우버나 에어비앤비와 같이 상업적인 면이 두드러지는 게 아니라 위키피디아처럼 사람들에게 대가를 바라는 것 보다 그 자체로 기여할 수 있는 모델이 되는 것을 로렌스 레식 교수는 공유경제라고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오늘날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공유경제의 색을 띠지만 정확한 모델은 아니라는 말이 나오는 것이다. 우버와 에어비앤비는 창업 초기 집이나 차량과 같은 자신이 소유한 재산을 공유하면서 자원의 낭비를 막고 사회적 관계의 구축을 주요한 목적으로 발전돼왔다. 그러나 최근의 모습은 수익의 극대화가 공유경제의 핵심 요인이 되어 그저 돈을 목적으로 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로 보일 뿐이다.


슬라이드1 (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김민우기자]


  위와 같은 논란에 사람들은 다양한 반응을 보인다. 우버와 에어비앤비가 잠들어있는 전통적인 공유재 모델을 디지털이라는 공간에서 깨워서 그 활용가치를 높였기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또한, 리눅스나 위키피디아와 같이 참여와 만족감을 얻기 위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문화가 움틀 때고 있다는 점에서 자본주의보다 더 우수하고 경쟁력 높은 탈자본주의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칭찬받기도 한다. 반면에 탈세와 같은 문제로써 세금을 탈루하기 위해, 그리고 소득을 올리기 위해 불법 부동산 임대 업자를 자처하거나 혹은 세금을 내지 않고 택시를 운영하기 위해 우버를 선택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들이 외치는 혁신 때문에 사회규범을 바꾸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외치는 혁신 때문에 사회제도가 변화해야 하는 것이다. 진보된 기술로써 포장된 혁신이 꼭 세상을 바꾸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진보된 기술이 오히려 비정규직을 낳고 그것을 포장하는 것은 혁신이 아닌 혼란의 가중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6기 김민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5041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755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5151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5381
함께 지켜나가요, 소녀들의 평화 file 2017.04.16 김효림 12104
세월호 참사 3주년 기억식 2 file 2017.04.16 최다영 12242
"Remember 0416" 세월호 3주기 추모 행사 file 2017.04.15 윤하은 13923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2304
[의혹검증] 세월호 인양 지연은 의도적일까···? 2 file 2017.04.15 김정모 14652
미국 의회 북한 돈줄 차단 시작 1 file 2017.04.12 조채은 12084
아베에게 닥친 커다란 위기, '아키에 스캔들' 2 file 2017.04.11 박우빈 12518
세월호 인양, 시민들의 생각은? 2 file 2017.04.10 김동현 10824
기억해야할 4월 13일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일 3 2017.04.10 고선영 13251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660
국민의당 대선후보 안철수 “진실을 밝히고 미래를 열겠다” file 2017.04.09 황예슬 13936
대통령 후보, 그들이 얻는 것은 무엇인가 7 file 2017.04.03 김민주 12104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2242
정치적 비리의 피해자가 된 올림픽 영웅. 6 file 2017.04.01 정예진 15212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478
올바른 역사 교과서? 올(ALL)바르지 않은 역사 교과서!! 2 file 2017.03.31 전은지 11718
사라져야 할 권력 남용 5 file 2017.03.31 전원정 16186
일본, 대만, 노르웨이까지… 과거 중국의 경제 보복 4 file 2017.03.31 남희지 14396
대중을 사로잡는 한마디,슬로건 4 file 2017.03.30 강민 14992
대구 '평화의소녀상' 희망을 달다 2 file 2017.03.29 김나현 12479
공병보증금 인상으로 소비자권리 되찾아 주겠다더니, 술값만 인상? 1 2017.03.28 정지원 14184
국정교과서, 앞으로의 운명은? 2 file 2017.03.27 유희은 11661
사드 보복 조치에 정면돌파? 4 file 2017.03.27 김찬 10760
끝나지 않는 '금수저 선생님' 채용 논란, 그와 맞선 한 교사의 용기 있는 발언 2 file 2017.03.27 최서영 16744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1125
기획보도-탄핵 소추부터 파면까지 1. 대통령 박근혜 탄핵 소추안 1부 2 file 2017.03.27 선종민 11761
국민의당 대권주자 호남경선 “6만명의 민심” 2 file 2017.03.26 황예슬 14360
[우리 외교는 지금: 시리즈] ① THAAD 논쟁부터 배치까지 2 2017.03.26 홍수민 14815
대륙이 손을 폈다, 하지만 이제 시작일 뿐 file 2017.03.26 김지한 10004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586
정점을 향해 가는 사드 보복, 그 결말은? 1 file 2017.03.26 정지운 11372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916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795
광화문에 나온 청소년들, 그들은 누구인가? 2 2017.03.26 민병찬 11498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file 2017.03.26 이승민 10988
제 14회 민족정기선양 3.1독립만세재현 활동 개최 file 2017.03.25 조혜준 11913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1044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2986
국민의당 호남경선 안철수 압도적 승리 file 2017.03.25 김주영 12835
유가족의 간절한 기도, 떠오르는 세월호 1 file 2017.03.25 김수희 11488
김정남 사건, 해외반응은 어떠한가 file 2017.03.25 여수빈 11500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1130
끝나버린 탄핵심판...포기하지 않은 그들 file 2017.03.25 이승욱 11526
로봇으로 대체되는 인간의 삶, 더욱 필요해진 로봇세 file 2017.03.25 임선민 13863
민주주의의 심장 런던 겨눈 차량테러… "세계에 대한 테러다" file 2017.03.25 안호연 11310
세월호 인양, 장미대선의 새로운 변수가 될 것인가 file 2017.03.25 최푸른 13973
푸른 하늘에 뜬 노란리본, 세월호를 기억하다. file 2017.03.25 최윤선 117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