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스는 누구 겁니까?

by 6기연창훈기자 posted Feb 20, 2018 Views 1135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1.jpg

[이미지 제공=굿모닝충청 정문영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이번 문재인 정부에서는 적폐 청산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과거 정부의 적폐 청산에 총력을 쏟고 있다. 그 과정에서 이명박 정부의 적폐를 조사하던 중, 자동차 부품 생산 기업 ‘다스’의 실소유주가 이명박 전 대통령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이 사건은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정치적 이슈 중 하나가 되었다. 그렇다면, 도대체 다스와 이명박 전 대통령 사이에 불거지는 의혹은 무엇일까? 쉽게 말하자면 다스의 실소유주 논란이다. 현재 다스는 이명박의 친형 이상은 씨의 회사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이명박 전 대통령이 이러한 논란에 휩싸인 배경에 대해 알아보자.


▶다스란?
다스는 자동차 시트, 시트 프레임을 생산하는 회사로, 1987년 설립된 '대부기공'이 2003년 다스로 이름을 바꾸면서 현재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 설립 이듬해부터 현대자동차에 납품을 시작하여 현재는 경주 본사를 포함하여 미국, 중국, 체코, 인도 등 전 세계 13개의 사업장을 운영 중이며, 국내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 외에 폭스바겐, 벤츠 등 해외 업체에도 납품을 하고 있다. 다스는 2016년 기준 2조 1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고, 매출액 중 절반 이상이 현대자동차에 의해 발생한다. 현재 대주주는 이명박 대통령의 맏형 이상은 씨이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6기 연창훈기자]


먼저 이명박 전 대통령과 다스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BBK 사건을 알아봐야 할 필요가 있다. BBK는 1999년 김경준이 설립한 투자자문회사이다. 이후 김경준은 이명박과 함께 사이버 종합금융회사 LKe 뱅크(2000년 2월), 증권회사 EBK(2000년 6월)를 공동 설립한다. 하지만 후에 알고 보니, 이 세 회사 설립에 들어간 돈은 모두 같은 돈이었으며, 세 회사의 경리 또한 같은 사람이고, 세 회사의 자금이 모두 한 통장에서 관리되었다는 사실이 이후 밝혀져 BBK의 설립이 취소된다. 김경준은 이를 만회하고자 상장폐지 직전의 투자사인 옵셔널벤처스를 매입해 거짓 정보로 투자자들을 속여 380여억 원을 횡령하였다. 이 과정에서 이명박과의 신뢰관계가 틀어져 결별하게 된다.


이후 2007년, 당시 제17대 대선의 한나라당 유력 대선 후보였던 이명박 당시 대통령 후보가 이 사건에 아주 깊게 연루되어 있다(혹은 사건의 주범이다.)는 논란이 일어 큰 주목을 받게 되었다. 하지만 김경준의 단독 범행으로 결론이 나고, 이명박 전 대통령은 무사히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김경준은 홀로 징역 8년을 선고받고, 지난해 3월 만기 출소, 미국으로 돌아간 김경준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BBK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그렇다면 김경준이 그렇게 주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바로 당시 다스가 BBK에 투자를 했다는 사실 때문이다. 단지 투자했다는 사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 내막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 청소년기자단 사진3.jpg

[이미지 제공=시사IN 주진우 기자,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다스는 당시 BBK에 190억 원을 투자했다. 하지만 당시 다스의 상황을 본다면, 다스는 당시 유통 자산 480억 원, 유동부채 790억 원, 순 자산 127억 원, 연 순수익이 30억 원인 상황으로 당시 신생회사인 BBK에 자신 회사의 순 자산보다 많은 금액인 190억 원을 투자한다는 것은 일반인의 상식선에서는 합리적이라는 판단이 서지 않는다.


또 다른 이유는 도곡동의 땅 처분과 관련이 있다. 1995년 이명박의 친형 이상은과 처남 김재정이 도곡동 땅을 처분하게 되는데, 이 땅은 1993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 재산이라는 폭로가 이미 나왔던 상태였고, 이 과정에서 나온 돈 중 157억 원을 출자금으로 투입하였다. 이 말은 즉.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재산이었던 도곡동 땅에서 나온 157억 원, 당시 이명박이 회장직에 있던 BBK에 투자한 이상은과 김재정, LKe 뱅크, 옵셔널벤처스에 다시 들어가게 된 157억 원, 이들을 종합해 보면, 다스의 실소유주는 이명박 전 대통령으로 가닥이 잡히게 되고, 그렇다면 주가조작 사건에 당연히 연루가 된다는 것이다.


이에 최근 이명박 전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삼성전자가 다스의 미국 소송 비용을 대납했다는 정황을 검찰이 포착하였고, 전국 곳곳에 숨겨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차명 재산들이 속속 드러나는 가운데 도곡동 땅의 매매금과 다스의 배당금, 다스의 자회사 홍은프레닝의 비자금을 이명박 전 대통령의 아들 이시형 씨가 쌈짓돈 마냥 사용했다는 사실과 다스의 지분이 100%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것이라는 관계자들의 증언까지 나오는 형국이다. 거기에 최근, 다스가 40개의 차명계좌를 통해 120억 원의 비자금을 운용한 흔적이 발견되었고, 2004년 현대자동차 양재동 사옥 증축에 서울시의 도움(당시 이명박 서울시장 재임 시절)을 받은 후, 현대자동차 협력기업 다스의 매출이 급상승한 사실이 확인되었다.


우리는 적폐와 싸우기 위해서 촛불을 들었다. 그리고 그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소환되고 있다. 아직도 정치에 무관심한 사람들이 상당수지만, 이 기사를 읽는 사람들이라면, 최소한 적폐를 향한 촛불을 꺼서는 안 된다. 모든 시민들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을 때 우리의 민주주의는 비로소 한 걸음 앞으로 나아 갈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다스는 누구 겁니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6기 연창훈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서영채기자 2018.02.20 16:37
    기사 잘 봤습니다 ! 정치 쪽은 자세하게 몰라서 다스의 존재만 알고 있었는데 내용을 보니 그냥 집고 넘어갈 문제는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
  • ?
    6기최윤정기자 2018.02.21 00:54
    요즘 뉴스를 잘 못 봐서 다스를 잊고 있었는데 기자님 덕분에 다스의 존재를 다시 상기시킬 수 있었습니다. 더불어 관련 사실도 자세히 알 수 있었네요. 마지막 문장인 '그래서 다스는 누구껍니까?' 인상깊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8기기자청춘이다! 2018.05.15 22:40
    확실히 MB는 JH에게서 배운것이 많은것 같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77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044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4533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4166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735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442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789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099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707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794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131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391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7221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377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397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397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108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829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264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981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728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488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953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646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350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659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653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3171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1226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359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2028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597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293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767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284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805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154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322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551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651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766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970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778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734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367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978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414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8356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969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702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78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