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by 5기이수연기자 posted Dec 22, 2017 Views 1285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124(현지 시각)부터, 미국 캘리포니아의 북서부에서 110km 정도 떨어진 지역인 벤추라에서 발생한 토마스 산불이 3주째 크게 번지고 있다. 이 산불은 시속 130의 강풍을 타고 벤추라와 주변 지역의 온 삼림을 뒤덮고 있다. 이 산불로 인해 발생한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 화재로 인해 불에 탄 면적은 대한민국 서울의 1.7(605)에 가까우며, 무려 여의도 면적(2.9)350배에 도달한다. ‘벤추라60가구 정도의 아파트가 무너져 내렸고 800여 채 이상의 주택들과 빌딩들이 불에 타버렸다. 그에 대한 인명피해 또한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다. ‘벤추라에 거주하고 있던 주민 3만 명 이상이 대피했고, 사망자 수가 40명을 넘어섰으며 실종자가 400명에 도달했다. , 많은 한인들이 거주하는 '오렌지카운티'에서도 산불피해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관광산업에서도 큰 손해를 입었는데, 캘리포니아에 위치한 세계적인 최대 와인 산지로 알려진 나파밸리가 산불로 피해를 보면서 와인산업이 위협받고 있다. 이런 막대한 피해를 가져온 초대형 산불을 진화하기 위해 8500명이 넘는 소방관, 소방차 1000여 대, 소방헬기 34대가 뛰어들었다. 캘리포니아 소방당국은 현재 진화율은 40% 수준에 미치며 완전한 진화 상태가 되려면 최소 3주 이상이 걸릴 수가 있으며 최소 진압목표를 다음 달 첫째 주로 잡아 산불을 진화하겠다'라고 밝혔다. 미국 언론(LAT)은 이를 1932년에 벌어진 대규모 산불인 세다 산불의 규모를 넘어서 캘리포니아주 역대 3위의 초대형 산불로 사상 최악을 기록할지도 모른다고 보도했다. 앞으로 더 큰 피해가 발생하지 않기를 빌며 지켜봐야 할 것이다.

캡처1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수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이수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95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87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876
그들은 왜 우리에게 선거권을 안줄까요?···만 18세 선거권 가능성 기대 21 file 2017.01.11 박민선 22541
국제유가 WTI 2.9% 상승, 그 원인과 영향 4 2016.02.26 송채연 22520
"굳이 겉옷 안의 마이를…?" 복장 규정에 대한 학교규칙의 문제점 3 file 2017.11.23 이혜승 22479
카카오 O2O 서비스, 일상에 침투하다 3 file 2016.07.24 권용욱 22474
난민 수용, 과연 우리에게 도움이 될까? 1 2018.12.21 이호찬 22468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466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454
일찍 일어나는 새만이 모이를 먹을 수 있을까 2014.09.25 조윤주 22417
[현장취재]'제 16회 서울청소년자원봉사대회' 나눔을 실천하는 청소년들 2 file 2015.11.23 박성은 22407
9시 등교, 당신의 생각은? 2014.09.25 김미선 22368
사형제도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3 file 2017.08.17 신지 22313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281
청소년 운동 부족 이대로 괜찮을까? 3 file 2019.05.17 김이현 22211
신뢰를 잃은 대한민국 외교부, 유일한 답은 2015 한일 위안부 합의 원천 무효 file 2017.03.25 전세희 22209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196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193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2117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110
‘후보 000입니다…’ 문자, 선거법 위반인가 27 file 2016.02.14 전채영 22016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1997
'솜방망이 처벌' 학교폭력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8 file 2018.08.24 조혜진 21982
9시 등교 시행 그 후.. 문제의 근본을 해결하지 못한 조삼모사식 정책 2014.09.22 차진호 21960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1943
페이스북 메신저, 청소년들이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5 file 2019.02.19 노영우 21937
평화의 소녀상, 그 의미를 찾아 5 file 2017.02.25 한우주 21927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1924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1905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1902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1849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1760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754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734
'잊혀질까 봐, 흔적도 없이 사라질까 봐...' 나비의 1219번째 날갯짓 10 file 2016.02.24 김민지 21709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683
선생이라 불렸던 者들 4 file 2017.01.20 김민우 21667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656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21642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1 file 2016.03.25 김영현 21607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21568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21526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1510
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보안 기술, 양자역학의 원리 속에? 1 file 2020.07.15 서수민 21464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438
전교생 기숙사제 학교에 9시 등교 시행, 여파는? 2014.09.21 이예진 21425
[현장취재] 장흥 물축제가 주변 상권들을 살리다. 2 file 2015.08.04 이세령 21415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386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346
소녀상 농성, 그 400일의 분노 file 2017.02.06 윤은서 21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