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by 6기김민지기자A posted Dec 22, 2017 Views 2800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다문화 가정이란, 국제결혼 또는 이중문화가정, 서로 다른 인종의 부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를 중점으로 하여 혼혈인 가족으로 불리던 국제결혼 가족의 새로운 개념이다. 이런 다문화 가정은 세계화와 증가하는 국제결혼에 따라 한국에서도 엄청난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2000년~2008년 기준, OECD 국가별 거주 외국인 수 증가율에서 한국은 1등을 차지했고, 아래 자료를 보면 2009년에 27만 2613명이었던 다문화 가정 인구수가 2020년에는 74만 3416명으로 증가하다가 2050년에는 216만 명을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외국인 수 중에서도 우리나라에는 중국인이 5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베트남, 미국 등이 그 뒤를 따랐다. 


age.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민지기자]


 이렇게 다양한 나라에서 온 외국인들이 한국에 거주하고 있지만, 아직 한국인들은 그들을 모두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 다문화 가정 인구 중 40% 이상이 차별을 경험했다고 했고, 차별 대상은 주로 동남아지역의 사람들이었다. 차별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장소는 직장 혹은 일터였고, 그 외에도 음식점, 거리 등에서 따돌림과 외면을 경험했다. 차별의 원인으로 한국인들은 발음, 원래 살던 나라의 경제 수준, 피부색을 꼽았지만, 외국인들은 가장 큰 어려움이 미숙한 한국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라고 했다. 차별만이 문제가 아니다. 이들에게는 기본적인 보육, 교육, 의료 지원이 되지 않고, 임금 지급조차 제대로 되지 않아 경제적인 어려움을 크게 겪고 있는 경우도 많다. 또한 고향, 이웃, 가족에 대한 그리움으로 심리적 어려움도 따른다.


 이에 정부는 고용 허가제, 교육과 권리 보장, 글로벌 선도 학교 선정, 한국어와 교과학습 지도 지원 등의 개선책을 내놓았지만, 본질적인 문제인 한국인의 인식은 크게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는 이주민, 외국인들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그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려는 역지사지의 자세를 가져야한다. 또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관용과 존중의 자세를 배우면 작은 노력으로 많은 사람들을 돕고, 평화롭고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열린 마음으로 관용의 자세를 지닌 한국인이 되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김민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745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507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1227
프라임 사업의 취지와 문제점 3 file 2016.05.15 김혜린 21631
세스코 근무 환경, 1년이 지난 지금은? file 2018.01.22 홍수빈 21609
없어져야 할 문화, 할례 2 file 2019.04.27 이승환 21600
피고는 '옥시', 국민은 '싹싹' 32 file 2017.01.09 이주형 21599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577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564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6 file 2017.09.08 이지현 21529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513
약국에 가지 않아도 일부 약을 살 수 있다, <안전상비의약품약국 외 판매제도>에 대해서 1 file 2017.02.19 차은혜 21503
對(대하다)北제재 아닌 對(대화하다)北을 향한 길 7 file 2016.02.24 김선아 21495
엑소 콘서트 티켓팅, 과한 열기로 사기 속출 19 file 2016.02.25 김민정 21455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1444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이번엔 국내 유명 청소년 행사인 ‘한국청소년학술대회’ 표절·베끼기 의혹 (종합 2보) file 2017.07.17 온라인뉴스팀 21436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1429
한 여성의 억울한 죽음, 그리고 그 이후의 논란 5 file 2016.05.24 유지혜 21416
쓰레기 무단투기...양심도 함께 버려진다 2 file 2020.04.29 정하늘 21409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408
양날의 검, 9시 등교 2014.09.25 김익수 21402
업사이클링?, 업사이클링 인지 정도에 대해... file 2019.06.17 김가희 21276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267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246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244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1227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1202
숨겨주세요, 여성용 자판기 2 file 2016.08.25 김선아 21135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1118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21101
요즘 뜨고 있는 비트코인...도대체 뭘까? file 2017.12.18 임채민 21087
공익과 사익의 충돌_이해관계충돌방지법 file 2020.05.04 임효주 21061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1041
버스 정류장이 금연 구역이라고요? 2 file 2018.08.10 남지윤 20933
9시 등교, 그것이 알고 싶다. 2014.09.21 부경민 20888
권리는 없고 의무만 가득한 ‘19금’선거권 4 file 2017.02.05 최은희 20845
노랑나비, 위안부 할머님들을 위해 날다. 1 file 2016.03.24 강민지 20836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819
포항공항- 주민들과의 오랜 갈등 빚어…… 2 file 2016.08.21 권주홍 20812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809
동탄 메타폴리스 화재, 인명 피해까지 발생해 3 file 2017.02.06 이채린 20806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800
지켜보자 9시 등교 2014.09.25 김예영 20781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770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7.02.24 김태욱 20760
공부 시간이 줄어들었다? 2014.09.21 고정은 20755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739
미리 보는 2022 대선, 차기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 조사분석! 2020.11.25 김성규 20713
슬럼 투어리즘, 어떻게 봐야 하나 file 2019.05.07 이채빈 20709
선거구 획정안, 국회는 어디로 사라졌나? 13 file 2016.02.07 진형준 20706
서울대 치대, 전원등록포기? 4 2016.03.08 임은석 207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