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by 김진아 posted Mar 25, 2015 Views 312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3·1운동의 일환인 ‘전주 3·13만세 운동’이 작년에 이어 올해도 14일 전주 시내 일원에서 진행됐다.

  광복회 전주 시지회와 전북인권선교협의회 등은 조금숙 광복회 전북지부장, 이광익·백남운 원로목사를 비롯해 신흥고와 기전여고 학생 등 1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3·13 만세운동’ 재현행사와 시가행진을 벌였다. 순국선열들의 얼을 이어받아 올 곧은 역사의식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나라사랑정신을 계승하고자 추진된 이 날 행사에서는 우리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해방의 기쁨에 태극기를 손에 쥐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던 역사의 순간이 그대로 재현됐다.


시가행진 재현.PNG


(▲전주 3·13 만세운동 재현-시가 만세 행진 / 출처: 새전북신문)



  참석자들의 독립선언서 낭독과 만세삼창 등이 이루어졌으며 전주신흥고등학교 교정에서 풍남문 광장까지 시가 만세 행진 등이 진행됐다. 더불어 풍남문 광장에서는 반크와 기전 UN기자단의 동아리 공연 ‘독도는 우리 땅’ 플래시몹과 기전여고 연극 동아리 홀린데이의 만세 재현극, 태권무 등의 의미 있는 행사가 잇따라 전개됐다.


  이 날 재현행사에는 전북보훈지청과 전주시 등의 단체들과 시민들이 대거 참여해 그 의미를 함께 되새겼다.

  광복회 전주시지회 오인탁 지회장은 “장차 우리나라 미래를 이끌어 갈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역사의식과 정체성을 확립하고 민족의 자긍심을 심어주어 나라사랑정신을 실천하는 계기와 역사를 되새김하는 의미있는 행사였다”고 밝혔다.

 

  한편, 전주의 3·13 만세운동은 서문교회의 김인전 목사가 독립만세 운동 거사를 전해 듣고 사람들이 많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는 장(場)날(1919년 3월 13일)에 맞춰 남부시장 입구인 완상동과 천주교 인근에서 준비한 태극기를 배부하고 만세운동을 벌였다.

  당시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신흥학교 학생 고형진을 비롯해 남궁현, 김병학, 김점쇠, 이기곤, 김경신 등은 모두 실형을 선고받았다. 만세운동에 참여했던 기전여학교 임영신, 최경애, 함연춘, 송순이, 최요한나, 김순실 등의 학생들 역시 구속·기소 됐다. 그리고 지난 1930년 1월 24일, 광주학생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자 기전여학교 학생들도 이에 호응해 격문을 뿌리고 깃발을 꽂으며 만세시위운동을 벌이다 39명이 구속됐다.


기전여고 1학년-선나은,김은하.PNG


(▲만세운동에 참가한 기전여자고등학교 1학년 선나은, 김은하 학생(왼쪽부터) / 출처: 기자본인 촬영)



  이 날 행사를 마무리하며 전주기전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김수현 학생(2학년)은 “전주는 왜 3·1운동이 아닌 3·13 운동인지 그 이유를 알고 싶어서 참여하게 됐는데 만세운동을 직접 해보면서 몸소 느낄 수 있어 뿌듯했다”고 말했으며 민시연 학생(2학년)은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해방된 기쁨을 몸소 느껴보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는데 앞장 선 것 같아 뿌듯하다. 나부터 바른 역사를 적립하고 나라 사랑의 마음을 길러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당시 만세운동의 주역이었던 선배님들의 뜻을 기리는 전주기전여고와 신흥고 학생들, 그리고 여러 단체들의 연합행사를 통해 1919년 3월 13일의 함성과 감동을 시민들과 함께 다시 한 번 나누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김진아 기자]

kja3f@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34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11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033
누구를 위한 건강보험인가 1 file 2017.08.20 김주연 14020
누구를 위한 법인가? 2 file 2018.05.24 심윤지 10597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316
누구의 외교부인가? 4 file 2017.02.25 구성모 14693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965
누림센터, 발달장애인 평생교육 콘텐츠 제작 및 보급 file 2022.12.30 이지원 5585
누이 좋고 매부 좋은 '공유 경제' 1 file 2016.03.24 김태경 16676
누진세 완화 정책 발표, 전기료 부담 줄일 수 있을까? 2018.08.20 김원준 10026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237
눈물 흘리며 대회장 떠난 초등생들...부산시교육청 드론대회 '수상자 내정' 의혹 file 2023.11.07 김가빈 7074
뉴욕 연은 총재 빅 스텝 가능성 시사…본격적 긴축 시작되나 file 2022.03.28 윤초원 6240
뉴욕타임스 전직기자 앤드류 새먼이 전하는 "한국이 매력적인 이유" 2019.05.31 공지현 10281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2245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8033
늘어나는 다문화 가정, 한국인 인식은 제자리걸음 2017.12.22 김민지 27679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152
늘어나는 평화의 소녀상에 관하여 5 file 2017.05.16 정수빈 11871
늘어난 14만여 명의 유권자들, 총선거에 어떤 영향 미칠까 file 2020.03.13 이리수 8655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5 file 2016.04.02 김지현 16363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816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516
다가오는 추석, 코로나19 재확산 우려 file 2020.09.25 김민지 9225
다가올 민중총궐기, 혼란의 정치권 file 2017.02.24 진우성 13576
다뉴브강 유람선 침몰 사고 file 2019.06.07 최예주 10540
다문화 가정의 증가, 혼혈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 2019.05.02 박경주 13034
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4 2017.03.14 추연종 21077
다스는 누구 겁니까? 3 file 2018.02.20 연창훈 11216
다시 도마 오른 소년법, 이번에는 바뀔까? file 2020.04.06 한규원 11907
다시 돌아보는 일본불매운동, 과연 성과는 어느 정도일까? 4 file 2020.10.16 정예람 15415
다시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73'... 엇갈린 입장 1 file 2017.03.31 4기박소연기자 14159
다시 보는 선거 공약... 20대 국회 과연? 1 file 2016.04.24 이예린 20600
다시 불거진 문단 내 성폭력, 문단계도 '미투' file 2018.02.28 신주희 12145
다시 시작된 코로나19 file 2020.08.26 손혜빈 9639
다시 일어난 미국 흑인 총격 사건, 제2의 조지 플로이드 되나 2020.08.31 추한영 9037
다시 재현 된 우리 민족의 역사, 전주 3·13 만세운동 file 2015.03.25 김진아 31238
다시 찾아오는 광복절, 다시 알아보는 그 의미 5 file 2017.08.10 홍동진 11489
다시 한번, 국민의 힘을 증명하다. file 2017.03.21 정영우 11539
다시금 되새겨 봐야하는 소녀상의 의미 file 2017.03.26 박서연 10652
다음, 카카오톡에 이어 이제는 네이버까지... file 2019.06.26 이채린 11748
다이지에서 울산 고래 전시간까지...돌고래의 끝없는 고통 3 file 2017.02.28 박설빈 14643
다함께 외쳐요,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 11 file 2016.02.24 박예진 17603
단식 투쟁으로 얻은 작지만 큰 희망. 2018.01.15 서호연 12238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817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237
달콤한 휴식처? '졸음쉼터'의 이면 2 file 2017.01.31 김성미 18213
닭 쫓던 개 신세 된 한국, 외교 실리 전혀 못 찾아 4 file 2016.02.28 이민구 14836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왔다. 3 file 2017.03.11 김지민 12639
담배 회사의 사회 공헌 활동,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2 file 2020.07.27 김민결 1165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