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안전하고 가까운 지진 대피소를 아시나요?

by 5기강지석기자 posted Nov 17, 2017 Views 1414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진옥외대피소.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강지석기자]

 

20171115일 오후 229분쯤 포항 인근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고 전국에서 지진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한다. 이제 대한민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지진이 발생하면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다. 자신의 집 주변에서 대피해야 할 곳이 어디인지 알 수 있을까? 국민 재난안전포탈에 방문하거나 안전디딤돌 앱, 다음 지도, 카카오 내비, T-map 등에서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옥외대피소를 안내받을 수 있다. 본 기자의 집 주변에서는 근처의 중학교가 옥외 대피소로 안내되었다. 대부분 인근의 학교와 공공건물 등이 지진 옥외 대피소로 지정되어 있으며 일부 내진 설계 인증을 받은 곳은 지진 피해의 장기화에 따른 지진 실내 구호소로 지정되어 있다.

지진 옥외 대피소는 가까운 곳에 많이 지정되어 있어 지진이 발생할 경우 찾기가 쉽지만 건물이 내진 설계가 된 곳이 아니라서 운동장이나 주차장 등에 모여서 피하는 정도의 기능밖에는 할 수가 없다. 작년에 서울시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공공건물 중 내진이 확보된 곳은 45.5%, 학교 시설은 28.3% 정도라고 한다. 결국 옥외에서 급히 대피를 할 수는 있지만 강진이 발생하거나 여진이 계속되는 경우에 대피할 수 있는 지진 실내 구호소는 지진 옥외 대피소에 비해 찾아가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기자의 위치에서 확인해보니 가까운 옥외 대피소는 약 300m 거리에 위치했지만 실내 구호소는 2.03km 떨어진 곳에 있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512월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내진설계가 된 건물은 약 6.8%에 불과하다고 한다. 1988년부터 6층 이상 연면적 10이상의 건축물에 내진설계 의무 적용 대상이 시행되었고 이후 점점 강화되어 20172월부터는 2층 이상의 건축물에 내진설계가 의무화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에 적용 대상이 아니었던 건물이 많아서 내진설계 보강이 시급하며 국가에서도 이를 지원하기 위해 내진을 보강하여 건축행위를 하는 경우 지방세 감면 혜택을 주는 등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고 한다. 더 이상 대한민국이 지진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국가 차원에서 내진설계 의무화 및 보강에 관한 정책을 수립하고 적극적으로 홍보해서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5기 강지석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정다윤기자 2017.11.20 01:12
    이번 지진의 여파가 큰 듯 합니다.
    제가 살고 있는 인천에서는 느끼지 못했지만, 뉴스에 보도된 내용과 수능이 연기된 소식을 들으며 겁이나더군요.
    더이상 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한 곳이 아니란 생각을 하며 주변에 가까운 대피소가 있는지 알아둬야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530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281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7863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1064
대한민국의 다음 5년은 누가 이끌어갈 것인가? file 2022.03.08 강준서 6182
대한민국의 미래, 청소년들은 실질적인 정치교육을 받고있는가? 5 file 2015.03.25 이원지 31048
대한민국의 미래를 책임질, 새로운 대통령의 탄생. file 2017.05.12 김수연 11417
대한민국의 새로운 시작을 누구와 함께 할 것인가? 1 file 2017.03.26 구성모 9781
대한민국의 조기대선, 후보는? 8 2017.01.31 유태훈 17149
대한민국의 최저임금 인상, 그리고 이건 옳은 선택일까? 1 file 2018.08.13 이동욱 11168
대한민국의 탄핵 사태,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2 file 2017.03.23 박수민 10007
대한민국의 하늘은 무슨색으로 물드나, file 2017.03.24 장채린 11452
대한민국의 흐린 하늘을 만드는 주범, 미세먼지 2 file 2018.05.24 노채은 10992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기자단 단톡방에서 성차별적 표현 쓴 회원에 대해 경고조치 검토중” file 2017.08.16 디지털이슈팀 12775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악성루머 유포자 법적조치, 사이버수사대 의뢰…선처없다" (공식입장) file 2017.06.06 온라인뉴스팀 13199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오마이뉴스 사실왜곡, 명예훼손 도넘어..법적 대응할 것” (공식 입장) file 2018.08.14 디지털이슈팀 16898
대형마트 의무휴업, 누구를 위한 휴업일인가? 4 file 2016.05.22 이소연 17240
대형마트의 강제 휴무 제도 5년...현재는? 2017.09.27 허재호 11421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279
더 빈곤해지는 노인 3 file 2016.11.09 임지민 16916
더 이상 남일이 아닌 지진피해, 우리의 안전은? 2 file 2016.09.25 김혜빈 15844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1099
더민주, 한국당, 국민, 바른 여의도 4당의 운명은? 1 file 2017.12.26 전보건 17542
더불어 민주당 1차 선거인단 모집 시작, 경선의 시작을 알리다. 3 file 2017.02.16 이정헌 16057
더불어민주당 2022년 대선 후보, 이재명 후보로 지명 file 2021.10.12 이승열 11008
더불어민주당 예비당원협의체 ‘더 새파란’, 회원정보 유출돼...논란 file 2020.12.03 김찬영 14653
더불어민주당, 野의 만류에도 언론중재법 단독 통과 실현되나 file 2021.08.27 고대현 8274
더불어민주당, 또다시 법안 단독 표결 나서나… 17일 문체위 전체회의 개최 예고 file 2021.08.17 김은수 8988
더불어민주당의 새로운 대표 이낙연, 그는 어디까지 갈 수 있을것인가 file 2020.09.04 문해인 7545
더불어민주당의 위기… 난관 잘 헤쳐나가야 file 2021.05.10 김민석 6935
더이상 한반도는 안전하지 않다, 계속되는 여진, 지진대피요령은? 3 file 2016.10.30 김영현 19088
데이트 폭력은 사랑이라고 할 수 있는가? 1 2018.12.19 이유경 12030
덴마크 - 한국 수교 60주년 file 2019.05.29 남윤서 10353
덴마크 법원, 정유라 구금 4주 연장...송환 장기화 2 file 2017.02.25 박지호 13542
도날드 트럼프와 할리우드, 그 불편한 관계 6 file 2017.01.25 장윤서 16519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 러시아 변호사와 만나다 1 file 2017.07.25 류혜원 11421
도넘은 야당의 발목잡기 file 2017.06.25 손수정 10251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800
도로 위의 무법자, 버스 7 file 2017.01.21 신승목 17411
도로를 내 집 창고처럼 file 2016.06.19 한종현 15733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452
도를 넘어선 길거리 쓰레기.. 해결책은? 1 2017.08.05 이승우 18824
도서정가제 전면시행 그리고 2년, 3 file 2017.01.25 이다은 18829
도시가스 요금 인상과 누진세 개편 file 2016.12.25 장서윤 29864
도편 추방제와 탄핵 1 file 2017.02.25 김지민 16658
독감 백신, 대체 어떤 종류가 있길래? 4 2020.11.02 김태은 14011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3353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397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452
독도, 기억해야 할 우리의 땅 2017.10.25 김민영 12357
독도가 일본 땅이라고? 3 2017.04.28 유현지 1195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