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학생들이 생각하는 원어민 선생님, 원어민 선생님이 생각하는 한국

by 5기김지우기자A posted Oct 24, 2017 Views 2379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세계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주변에서 외국인을 만나게 되는 것은 더 이상 드문 일이 아니다. 2015년 기준우리나라에 사는 외국인의 수는 174만 명을 넘어섰다(행정자치부 자료). 이제는 원하든 원치 않든 외국인과 함께 더불어 살아야 할 때인 것이다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14년에 우리나라에서 일을 하고 있는 외국인은 무려 85만 2천여 명이며그중 45%는 우리나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고 한다교육과학기술부는 2010년까지 전국의 모든 초·중학교에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1인을 배치하였고, 2012년부터는 고등학교에도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100% 배치하는 확대 정책을 지방자치 단체들이 채택하고 있다이에 더해서최근에는 영어뿐만 아니라 중국어일본어 등 다양한 언어가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중고등학교에서 제2외국어 원어민 교사를 고용하는 추세이다.

  원어민 교사의 배치는 단순히 학생들에게 현지인의 발음을 가르쳐주는 것 이상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이수연 양(대구 덕원중 3학년)은 아무래도 (원어민 선생님은현지인이니까 한국인 선생님보다는 영어를 훨씬 잘하실 뿐 아니라 부담 없이 대화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시기 때문에 원어민 선생님과 편하게 대화를 하는 가운데 즐기면서 영어를 배울 수 있다라고 말하며 계속해서 원어민 선생님의 수업을 듣고 싶다고 하였다서민지 양(대구 덕원중 3학년)은 원어민 선생님을 고용하는 것은 외국에 나가지 않고 한국에서 외국어를 배우는 것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라는 점을 지적한다. "우리나라에서 외국어를 배우는 경우, 현재 외국의 실제 사용실태에 맞지 않는 것을 배울 수도 있고 또 실생활에 적용할 기회가 많지 않아 숙달하기 힘들다는 등의 한계점이 나타날 수 있다반면 원어민 선생님 수업은 학생들에게 실생활과 관련된유용하고 효율성 있는 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라는 의견이다이에 더해서서민지 양은 "실제 외국에서의 그 나라 언어 사용 실태문화와 관련된 내용그리고 실생활에 적용하는 연습을 할 기회가 되므로 시험 위주로 돌아가는 한국교육의 병폐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생각한다."라고 했다서민지 양은 마지막으로 "시험 위주의 공부에서 벗어나 실질적 교육의 기회가 되고 외국어를 배우면서 그 나라 사람들의 문화까지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되므로 일석이조의 공부가 된다고 생각한다더불어 실제 외국인과 대화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므로 어색하지 않은친숙한 언어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라고 말하며 원어민 선생님을 고용하면 영어 실력이 느는 것뿐만 아니라 외국의 문화를 접할 수 있고 외국인들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 효과가 크다는 것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대구 덕원중 중국어 원어민 교사인 왕잉잉 선생님은 한국에 오기 전에는 한국인들에 대해 보고 들은 것만을 토대로 판단을 해서 선입견을 가지고 있었는데 한국에 와서 보니 그것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았다고 말한다또 학생들이 너무 귀엽고 학생들과 동료 선생님들이 자신을 잘 도와주고이해해주어서 고맙다는 말을 덧붙였다.

  하지만 앞으로 원어민 선생님과 함께 수업을 하려면 개선해야 할 점도 많다김예린 양(대구 덕원중 3학년)은 원어민 선생님이 하는 역할이 너무 적은 것 같다보통 한국인 선생님이 전반적으로 수업을 이끌어가고 (원어민 선생님은잠깐씩 도와주는 것만 해서 그것이 많이 아쉽다원어민 선생님이 수업을 이끌어가야 더 도움이 될 것 같다.”라고 하며 현재 원어민 선생님이 수업을 진행하는 대신 단순히 발음 중심의 수업으로 보조만 하는 방식에 대한 아쉬움을 드러냈다이러한 수업 진행 방식은 한국의 많은 학교들에서 채택하고 있는 방식인 만큼 많은 학생들이 비슷한 불만을 느끼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외국인 교사와 강사들에 대한 인터뷰로 알게 된 보다 중요한 문제점은 교사나 강사라는 직업인으로서뿐 아니라 한국에 사는 외국인으로서 이들이 공유하는 어려움들이다언어가 달라 적응하기도 힘들 뿐 아니라 문화적 차이로 기분이 상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또한, 외국인들은 다른 나라에서 왔다는 이유만으로 부당한 대우를 받는 경우도 종종 있다이 때문에 많은 외국인 교사들이 한국을 떠난다대구 덕원중 영어 원어민 교사인 로렌 터너(Lauren Turner) 선생님은 "이번 방학 때 미국에 있는 본가에 다녀왔는데 모든 가족들이 다 걱정을 하며 이제 그만 돌아오라고 했다"라고 하면서 한국에서 계속 일을 하겠다는 결정을 하는 것이 쉽지는 않았다고 말했다일본어 학원 강사인 아마리 미호 씨는 한국 사람들이 의도적으로 한 말이나 행동이 아님에도 문화가 달라 그런 말이나 행동 때문에 부담이 되거나 힘들어지는 경우가 가끔 있다고 한다. “결혼은 했냐왜 한국에 왔냐어디에 사냐?" 등과 같이 개인적인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질문을 스스럼없이 던지는 것은 일본에서는 거의 없는 일이기 때문에 아마리 미호 씨를 힘들게 하는 한 요인이 된다또 일본인이라고 하면 불쑥 과거사 이야기를 꺼내는 것에도 무척 곤란을 느끼는 점이라고 한다버스를 너무 거칠게 운전하는 것도 적응하기 힘은 한 요인이다

  그러나 이 어려움들은 한국 생활에 적응하면서 점차 약해질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왕잉잉 선생님은 가끔 중국인이라서 다르게 대우를 받아서 기분이 나쁠 때가 있지만 문화가 달라서 그럴 수 있다고 이해하려고 한다그 사람들도 중국 사람들에 대한 선입견이나 안 좋은 기억이 있어서 그럴 것이라고 생각한다멀리서 바라보고 좋게 생각하면 한국인들도 중국인들도 모두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나도 그렇게 하려고 노력 중이다.”라고 하셨다아마리 미호 씨도 "가끔 힘든 점도 있지만, 외국인이라서 특별히 차별을 한다든가 하는 느낌은 크게 느끼지는 못했다"고 말하면서 "대부분의 어려움이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것들이기 때문에 차차 적응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말하고 있다. 이처럼 외국인들이 한국에 잘 적응하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국인과 한국인이 서로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면서 편견을 극복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

  선입견과 편견을 없애고 문화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외국인 선생님들과 여러 가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고 있다대구 덕원중학교에서는 “Global Bridge"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외국 문화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원어민 선생님과 소통을 하고 학생들은 외국 문화를선생님은 한국 문화를 배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이 모임은 매주 목요일 방과 후에 1시간 동안 이루어지며, 원어민 선생님과 미국의 문화, 미국의 학교미국의 음식 등에 관해 이야기를 나눈다. 더불어, 교외 스피치 대회 등 다양한 교외 활동에도 참여한다담당교사인 안명숙 선생님(대구 덕원중 영어 교사)은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외국인과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어 생각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윤혜원 양(대구 덕원중 3학년)은 "외국 경험이 없어 외국 문화를 접할 기회가 없었는데 이 프로그램을 통해서 원어민 선생님과 수업을 하고 소통을 하면서 영미권 문화에 대해 더 알게 되고 진로에도 더 확신을 가지게 되었다"라고 했다이 프로그램의 학생들은 지난 8월 12일에 대구의 옻골마을에 방문하여 한복 등의 전통문화를 체험하고 원어민 선생님과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Global Bridge의 참여자 중 한 명인 손보경 양(대구 덕원중 3학년)은 "원어민 선생님과 함께 우리나라 전통을 체험한다는 게 신기하고 재밌었다하루 종일 정말 특별한 경험을 한 것 같다"라고 했다.

  세계가 하나가 되어 감에 따라 모두가 글로벌 인재가 되어야 한다고 외치는 요즈음외국인과의 소통은 다른 언어를 습득하는 일뿐 아니라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세계 속의 우리'를 만들어 나가는 데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정부와 학교가 원어민 교사들에게 보다 많은 역할을 부여함으로써 학생들이 다른 나라 문화에 대해 더욱 넓게 이해하게 된다면 한국의 학생들은 글로벌 인재로서의 실력을 더욱 잘 키워나갈 수 있지 않을까.


IMG_9140.jpg


대구 덕원중 Global Bridge 프로그램의 종갓집 체험 후 단체 사진 (왼쪽부터 담당 교사, 원어민 교사, 참여 학생들, 그리고 종갓집 어르신)

[이미지 제공=대구 덕원중학교 영어 교사 안명숙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김지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384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0107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7770
나의 글쓰기 실력을 뽐내라, 31번 째 새얼전국학생/어머니 백일장 열려 1 file 2016.04.24 이준성 16356
제5회 KSCY 한국청소년학술대회에 다녀오다. file 2016.04.24 황지혜 17875
하시마 섬 1 file 2016.04.24 장우정 17615
IT 원리가 숨어있는 바르셀로나 캄프 누에 가다! file 2016.04.24 강기병 15541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란 없다 2 file 2016.04.25 이유수 16682
포항시 포은도서관 ‘Fun! Fun! 만화축제!’ 성료 file 2016.04.25 이유수 20182
피로 회복, 포천 허브아일랜드에서 만끽하세요! 1 file 2016.04.25 김은비 17402
하얀 꽃비를 맞아보셨나요? 2 file 2016.04.25 김승겸 15815
“웃음과 함께,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 ? 광명시 ‘나름데이’ 행사 1 file 2016.04.25 양소정 14575
봄 봄 봄 1 file 2016.04.26 이서연 14102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7116
매년 4월22일은??!!? 1 file 2016.04.30 우지은 14725
오늘, 궁을 만나다 file 2016.05.01 전지우 19034
서울 한복판에서 한번 신명나게 놀아보세! 2 file 2016.05.03 이채은 18632
콘서트 가면 '사생팬' 이라고요? 더 이상은 NO! 5 file 2016.05.05 김현주 17031
상주시청소년참여위원회 '흡연 음주 안돼!' 청소년선도캠페인 열려 file 2016.05.05 김용훈 23079
진정한 '孝'의 의미 2 file 2016.05.06 한지수 16020
컬러풀 대구 페스티벌, 그 뜨거운 현장! 1 file 2016.05.08 서지민 22808
어둠을 탓하지 말고 촛불을 켜라-함께 사는 지구를 위한 영화, 서울 환경 영화제 개최 file 2016.05.08 이시영 15012
5월의 밤을 아름답게 밝히는 역사 등불 축제 file 2016.05.08 명은율 16235
2016년 부산국제영화제를 지켜주세요 file 2016.05.08 안세빈 16236
마음이 따뜻해지는 어버이날 2 file 2016.05.09 3기전재영기자 16647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외치다,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10 현경선 16904
이대호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 file 2016.05.10 박민서 17629
2016 서울 환경영화제(5.6~5.12) 진짜 자연인들이 왔다 file 2016.05.10 이민구 17759
스위트 왕국, 과자전 2 file 2016.05.10 이지수 18721
한국은 제2의 영국이였다 file 2016.05.10 이지영 16667
화려한 나비들의 향연! 함평나비축제 file 2016.05.12 이봉근 18881
우리의 삶을 사랑하는 법, 영화로 배우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6251
어린이들의 날! 다양한 체험과 함께하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6141
보들별 잔치 (시간, 그들에게 묻다) file 2016.05.13 3기전재영기자 15231
중고등학생 시절, 진정한 봉사활동을 원한다면? 2 file 2016.05.15 변지원 17415
시내버스 도착안내시스템(BIS) 기술이 궁금하다구요? 2 file 2016.05.18 이도균 27450
스승의 날의 의미, 잊어버리진 않았나요? 1 file 2016.05.18 박하은 16809
먹거리에 대한 또 다른 생각, 나의 언덕이 푸르러질 때; 제 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18 박수연 16541
원주 노숙인 센터, 사람들과 정을 나누다 file 2016.05.19 김가흔 16806
2016 고양국제꽃박람회, 시민들의 따뜻한 마음 1 file 2016.05.19 홍새미 14449
당신은 자연과 함께 살아가나요? '제 13회 서울 환경 영화제' 1 file 2016.05.19 이은경 15642
대중 매체로 기억하는 5월의 그 날, 5.18 민주화운동 file 2016.05.20 임하늘 15462
영화, 환경을 품다. '서울환경영화제' 1 file 2016.05.20 박소희 15273
5월은 청소년의 달...국내최대규모로 열린 '제12회 대한민국 청소년박람회' 1 2016.05.21 윤춘기 15630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7472
스트리밍, 음반 시장을 바꾸다 1 file 2016.05.21 권용욱 15981
도심의 한복판에서 휴식을 찾다 1 file 2016.05.21 민원영 15248
서울시 어청참 복지분과, 청소년 복지를 말하다 file 2016.05.22 김태윤 14777
詩끌벅적한 문학축제 제29회 지용제 열려 file 2016.05.22 곽도연 14378
아름다운 장미꽃들의 축제 1 file 2016.05.22 신경민 16000
학생들은 왜 성당 독서실을 이용하지 않을까...? file 2016.05.22 신정효 204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