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힘의 가치

by 5기최지원기자B posted Oct 10, 2017 Views 121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creen Shot 2017-09-10 at 11.08.01 PM.png

[이미지 제공=세계2차대전연구회,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47,200,000명의 사상자, 세계 2차대전에서 기록한 수치이다. 세계 2차대전은 몇 년 전 대한민국의 총인구와도 맞먹는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여러 근현대학자는 20세기 초에 벌어진 두 개의 세계대전을 제국주의의 폐해와 인간의 이기심을 투영하는 대표적인 사건으로 간주하고 있다. 세계 2차 대전은 공식적으로 종료되었지만, 그 여파로 인하여 제국주의 시대에 지배를 받았던 많은 약소국은 아직도 침략당하기 전의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힘은 '개인이나 단체를 통제하고 강제적으로 따르게 할 수 있는 세력이나 권력'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여기서 말하는 권력이 어디서 나오는 것인지는 역사를 들여다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국가 간의 권력은 무력 혹은 경제력에서 생겨나는데, 여러 국가는 무력을 선택해 왔다. 전통적으로 신성로마제국, 오스만 제국, 몽골 제국 등이 무력으로 유지되어서 큰 번영을 누렸다. 그러나 위에 서술한 국가들은 강력한 무력과 광범위한 영향력 외에도 공통점이 있다. 위에 국가들은 건국자 혹은 전성기를 이끌었던 지도자의 사후에, 그를 대체할 지도자를 찾지 못하거나 후임 지도자가 전임 지도자에 능력에 미치지 못하여 멸망하거나 분열했다. 힘의 가치는 약자를 지키고 자국민을 위해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이라는 것을 역사를 통해 배울 수 있다.


지난 9월 3일, 북한은 6차 핵실험을 감행했고 수소탄 개발에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핵실험 이후 여러 국가는 전 세계적인 비핵화 추세에 역행하는 결정이라며 북한을 비난했으며, 무분별한 핵무기 개발에 큰 우려를 표명했다.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사망한 이후 김정은 체제로 유지되고 있다. 2013년 김정은은 고모부인 장성택을 처형하며 내부분열의 징조를 보였다. 북한은 건국자와 계승자의 사망 이후, 군사력에 집중된 경제 정책과 그로 인한 민심 상실, 내부 분열과 권력의 약화, 그리고 외국과의 외교 단절을 선택했다. 북한과 김정은은 힘이 가진 가치를 망각한 체 멸국의 길을 걷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최지원기자B]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845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590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2578
[단독]대구황산테러사건 '태완이법' 4월 임시국회 통과 불발 1 file 2015.05.06 김종담 26633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380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4 file 2017.02.19 정혜정 26329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261
국경일 태극기 게양실태가 심각하다 5 file 2016.03.17 신수빈 26258
[현장취재] 재계 농단, 블랙리스트에 뿔난 촛불민심, 강추위에도 여전히 불타올라 12 file 2017.01.15 김동언 26225
'SNS'라는 가면 1 file 2019.03.05 김성철 26174
[단독] 국내 유명 청소년단체 사칭하는 ‘대한민국청소년협회’ SNS서 활개쳐..네티즌 피해 주의해야 file 2018.02.27 디지털이슈팀 26162
점점 불편해지는 교복, 이대로 괜찮을까? 5 file 2019.02.07 고유진 26076
따뜻한 봄날 피크닉, 그 뒤에 남은 쓰레기들 4 2015.05.24 신정은 26074
[단독]탈핵을 위한 청소년들의 9박 10일간의 일주, 성공리에 마쳐 2 file 2015.04.30 김종담 26067
국가보훈처, 제4회 애국가 부르기 UCC 공모전 개최 file 2015.09.09 온라인뉴스팀 25989
김해 중앙 병원 화재, 50대 남성 1명 숨져 file 2015.08.23 정영우 25937
폭염에도 계속 되는 '위안부' 수요시위 4 2017.08.11 허석민 25846
'촛불 vs 태극기' 정월 대보름의 탄핵찬반집회 1 file 2017.02.13 김태헌 25678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5642
누구에 의한, 누구를 위한 9시 등교인가 2014.09.30 권경민 25604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551
자사고, 특목고 폐지, 왜 찬반이 갈릴까? 8 2017.07.24 추연종 25507
北, 탄도미사일 발사...동해바다 향해 500km 비행 file 2017.02.15 박천진 25477
'수행평가로 학생평가' … 이대로 괜찮은가? 1 file 2016.04.20 서예은 25443
아동 살인 공소시효 폐지법 '태완이법' 1소위 통과 [종합] 1 file 2015.07.21 김종담 25321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5165
[현장취재]25개국 90가지 음식을 맛볼수 있는 행사, '제 7회 성북세계음식축제' 2 file 2015.05.17 박성은 25102
학생들을 위한 교육시스템이 정착되길 바라며... 2 2015.02.08 홍다혜 25088
실질적 사형 폐지국 대한민국, 아직도 뜨거운 사형제도 폐지 찬반 논란 1 file 2017.09.11 김혜민 25004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969
어린이들의 출입을 금합니다, '노키즈존' 3 file 2016.06.09 이민재 24863
네티즌 충격,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의 전말 1 file 2017.07.21 이다빈 24857
‘쓰레기’에 몸살 앓는 여의나루 한강 공원 1 file 2016.06.25 김선아 24823
‘대한청소년이공계학술연합’ 접속하니 사기 사이트로 연결돼..해당 사이트 클릭 주의해야 file 2017.07.16 온라인뉴스팀 24796
9시 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가? file 2014.09.23 한지홍 24768
“세계 화장실의 날”을 아시나요? - 세계 25억 명, 위생상태 나쁜 화장실 사용 1 file 2016.11.21 노태인 24761
봄바람과 함께 떠나는 문학기행 file 2015.05.25 정영우 24712
부산 한바다중학교, 증축공사현장에서 화재, 재학생들의 애도 물결 6 file 2017.02.13 김혜진 24651
위안부 수요 집회, 자유와 평화를 향해 외치다 2 2017.08.29 황유선 24563
고양시 어린이, 청소년 공모사업 심의 현장 file 2015.03.02 서다예 24540
국회의원 총선 D-56 ... 선거구 획정 아직도? 13 file 2016.02.17 이예린 24527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515
제11회 부산불꽃축제, 그 화려한막을 내리다 2 file 2015.10.25 안세영 24501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현재 상황과 대처방안은? 2 file 2019.10.11 정예람 24476
늘어나는 아동학대... 4년 새 2배 늘어 7 file 2016.03.13 남경민 24471
지하주차장 LED전등교체공사의 경제적 효과 2 file 2016.03.24 박건 24409
"국가가 살인했다…" 경찰 물대포 맞고 쓰러진 백남기 농민 사망 file 2016.10.25 유진 24379
청소년들은 정치에 관심이 있을까? 5 file 2017.08.20 박지은 24378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4339
“졸업이 실업” 청년층 체감 실업률 22% ‘사상 최악’ file 2017.09.06 김욱진 24319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41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