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덴마크식 정치실험, 이종걸, 정병국, 박지원 의원과 협치를 논하다

by 5기김정환기자 posted Sep 28, 2017 Views 1766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9월 23일, 섬진강 인문학교에서 열리는 정치학교 토론회에 민주당 이종걸 의원, 국민의당 박지원 의원 그리고 바른정당 정병국 의원이 초청되었다. 고등학생, 대학생부터 어른까지 약 150명의 인원이 참석하여 정치, 교육, 경제, 사회 등 여러 문제를 주제로 열띤 토론을 나누었다. 사회자는 섬진강 인문학교의 노관규 이사장이 맡았다.

1506155313969s.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정환기자]

바른정당 정병국 의원은 교육에 관한 질문에 기성세대가 만들어놓은 입시 중심의 경쟁적인 환경은 4차 산업시대와 적합하지 않다"며 교육에서의 근본적인 변화를 강조하였다. 교육뿐만 아니라 여러 주제에 대해 기성세대가 만들어온 부정적인 잔재를 강조하였다.

1506155210930s.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정환기자]

국민의당 박지원 의원은 토론을 이끌며 청중들이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었다. 북한과의 대립 문제에 대한 질문 중 박지원 의원은 자신이 북한의 김정일 국방 위원장과 가장 많이 대화를 해본 사람이라며 한 일화를 소개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남한은 자주성이 없어서 외래어를 자주 쓴다고 말했다. 그리고 남한의 가수들은 왜 그렇게 뛰어다니며 노래를 부르냐고 물었다. 그래서 내가 만찬에서 노래를 부르니까 김정일이 앙코르라고 외치며 환호했다. 그걸 듣고 나는 김정일에게 앙코르는 외래어가 아니냐며 물었다." 또한 박지원 의원은 북한에 대한 물자 지원은 필요하다고 의견을 말했다.

1506155119709s.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김정환기자]

민주당 이종걸 의원은 정치에 대한 질문에 "정치인은 빚을 지는 사람입니다. 저 또한 서울대 우조교 성희롱 사건을 통해 여성 인권 문제에 참여하며 정치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제가 여성 인권 문제에 책임을 다하지 않듯이 정치인이 빚을 포기한다면 정치인의 생명은 끝나는 것입니다"라고 유쾌하게 답변을 해주셨다.

토론회가 끝난 뒤 의원들과 관객들은 함께 사진을 찍으며 못다 한 이야기들을 나누며 다음 만남을 기약했다. 정병국 의원은 떠나기 전 인터뷰에 응해주셨다. "참 의미 있는 섬진강 인문학교입니다. 이 학교에 오신 우리 학생 여러분들의 생각도 알게 됐고 우리 정치인이 학생들을 통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아주 좋은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교육이 정상화가 되어 이러한 마음대로 토론하고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그런 교육으로 시스템이 바뀔 수 있도록 국회에서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는 각오를 다시 한번 말씀을 드립니다."라고 소감을 말했다.

섬진강 인문학교의 이사장인 노관규 변호사와 교장 구수환 피디(전 추적60분 PD)는 덴마크 협치의 상징인 정치축제 '폴케메되'를 본보기로 한국에서의 협치를 이끌어내기 위해 섬진강 인문학교 학생들과 정치 토론회 자리를 만들게되었다.
섬진강 인문학교는 지방과 수도권의 교육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명목으로 기자나 피디가 꿈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언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섬진강과 접한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남도까지 3개의 도에서 순천, 남원, 하동 시, 군에서 온 학생들을 대상으로 폐교된 구 비룡초등학교를 리모델링한 교실에서 주 1회 수업을 진행 중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5기 김정환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169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9417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4793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일, 제헌절 2018.07.31 오예은 16875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6876
서울에서 만나는 독도는 처음이지! 가자 독도체험관으로 2 file 2018.07.30 이소현 16878
양파를 썰 때 눈물이 나오지 않게 할 수 있다고? 2017.07.03 장민경 16879
한국영화의 미래, <아이 캔 스피크> 2 file 2017.11.13 김서영 16880
제24회 유기동물 행복찾는 사람들 바자회 개최 file 2016.07.11 정수민 16881
기업형 슈퍼마켓 ‘SSM’는 소비자에겐 편리를, 자영업자들에겐 편취로 file 2017.07.22 김나현 16883
도심의 자리 잡은 예술, 스트리트 뮤지엄 11 file 2017.01.25 이예인 16886
서울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제(BRT)' 시행 반년, 현장에 가다 file 2018.08.03 이선철 16888
숨 쉬려면 호흡세를 내야하는 나라가 있다? file 2020.10.23 조수민 16891
일부 한국인 관광객들의 잘못된 윤리의식,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6.23 김다정 16892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외치다,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10 현경선 16894
불법적인 드론을 저지하는 방법 ‘드론건’ 1 file 2017.03.22 이현승 16894
UN 회의에 참가하는 시민단체 참여연대 2 file 2016.10.09 박민서 16895
일본에 숨겨진 작은 왕국, 류큐 왕국 file 2018.03.28 김하은 16896
서울의 도심 속, 예술인들의 흔적을 만나다 file 2018.11.28 김사랑 16897
영화 '조작된 도시' 평점 조작 의혹 1 file 2017.04.08 김유진 16898
새로운 단일 염기교정 가위 발명...더 가까워진 유전자 치료 file 2018.06.04 최재원 16898
2020년 온라인 과학축제 1 file 2020.04.17 서영빈 16902
인간복제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할까요? 4 file 2017.09.11 신수현 16903
여주의 자랑, 제 28회 여주도자기축제 file 2016.05.22 최서영 16904
[현장취재] 여수국제청소년축제 - 여자도를 다녀오다 file 2016.09.25 전채영 16910
임진왜란 3대첩지 ‘행주산성’ file 2017.05.17 허선주 16916
별 그대와 책의 바다로, 강릉 독서대전 2 file 2017.09.19 이형섭 16917
서울도서관! 지식과 정보를 전해준다. 1 file 2016.08.25 강기병 16923
존 카니, 음악과 영화 file 2016.07.22 서지민 16924
이색 도서관, 의정부 과학도서관을 소개합니다. 6 file 2017.03.01 임성은 16925
안양 한라, 폭발적인 13연승 5 file 2017.01.25 김연수 16926
우리 동네에 공용 냉장고가 있다고? 중국 내 무인화 기기 사용 4 file 2020.05.02 김수임 16927
5.18 광주민주화운동, 그 역사적 공간을 걷다. 1 file 2017.05.25 이예인 16929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file 2016.08.24 노태인 16930
누구든지 그림 동화책 작가가 될수 있어요! file 2016.08.25 이도균 16933
단추로 보는 프랑스, <프랑스 근현대 복식, 단추로 풀다> 특별전 file 2017.09.20 허선주 16936
소셜 미디어의 충격적인 민낯 <소셜 딜레마> file 2020.12.29 김수연 16945
약(弱)팀에서 약(藥)팀으로! 롱주, 롤챔스 섬머 우승 file 2017.09.21 조윤지 16946
제로에너지 주택, 에너지 절약의 첫 걸음이 될까? file 2017.08.25 강지석 16947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② ‘세컨더리 보이콧’을 아시나요? 2 file 2017.04.30 오경서 16949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951
문화가 있는 날, '톡, TALK! 기상 콘서트'로 떠나요 file 2017.09.28 김나현 16952
[이달의 세계인] '채식주의자' 맨부커상 수상의 주역, 데보라 스미스 2 file 2016.06.06 정가영 16953
1987년 여름, 그들은 무엇을 위해 거리로 나왔을까? 6 file 2018.01.24 박환희 16953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6958
국제사회의 리더가 되자, Humanities Research Symposium for Youth! file 2017.04.24 강인주 16961
학교안 정크푸드, 그린푸드로 4 2017.07.16 김영은 16961
신인 작가들의 날갯짓, '젊은 작가상' file 2019.09.27 김사랑 16962
우주로 가는 과학!! ‘Science to space’ file 2017.09.27 백예빈 16970
펴야 할까? 켜야 할까? 코로나 팬데믹으로 급증한 전자책 이용률…종이책 대체 가능할까? file 2021.09.23 정지운 16970
Smart Mover, 2017 청소년 발명 페스티벌! file 2017.07.25 이윤정 1697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