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by 4기이세림기자 posted Sep 25, 2017 Views 1616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20170923_120849.JPG

IMG_20170923_120815.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세림기자]


 지난 20일 저녁 7시, 광주 가톨릭평생교육원 대건문화관에서 광주 트라우마센터 주관 치유의 인문학 일곱 번째 강좌가 열려 시인 박준과 함께 문학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광주 트라우마센터는 2012년에 시작된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 등 국가폭력 생존자와 그 가족을 위한 치유센터로, 그들을 위해 치유 프로그램 제공, 연구 조사활동, 인권 보호 활동 등을 하고 있다. 치유의 인문학 강좌 또한 그중 하나이다.


 작가 박준은 2008년 등단한 시인으로, 그가 쓴 도서에는 시집 '당신의 이름을 지어다가 며칠은 먹었다'와 산문집 '운다고 달라지는 일은 아무것도 없겠지만'이 있다. 따뜻하면서도 솔직한 시와 산문으로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그와 함께하는 강좌는 유쾌하고도 진지하고 또 즐거웠다.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라는 궁금증을 유발하는 주제로 시작한 강연은 문학에 대한 시인의 생각과 독자들의 생각을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박준은 "문학은 대단한 것을 하지 못하고 돈이나 명예 같은 것을 쥐어주지도 않는다."라고 말했지만, 그럼 문학을 왜 하냐는 질문에 "문학은 사람의 마음을 돕는다."라며 문학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그는 몸과 마음을 비교하여 문학의 필요성을 강조했는데, "몸에 칼로리가 들어오고 에너지로 나가듯이 마음에는 감정이 들어오고 표현으로 나간다."고 설명했다. 이어 "슬픔이라는 감정은 기쁨과 달리 내보내는 방법이 많지 않은데, 문학과 예술이 사람의 마음을 도와서 더 쉽게 나갈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문학이 이루고 있는 대부분의 정서가 슬픔이기 때문"이라고 말하며 청중의 공감을 얻었다.


 강연 주제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는 "슬픔 자체는 자랑이 될 수 없어도 타인의 슬픔을 같이 느끼며 함께 슬퍼하는 것은 자랑이 될 수 있다."고 답했다. 그 매개체가 바로 문학이고 그렇게 문학을 통해 공감을 느끼는 것이 카타르시스라고 설명하면서 그 예시로 자신이 쓴 글들을 소개하며 청중들과 소통하는 강연을 이끌어 나갔다.


 두 시간의 강연이 끝난 후 작가와 함께 사진 촬영 및 서명을 받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강연을 통해 많은 분들이 문학의 의미를 되새기고 문학에 대한 애정이 커졌으리라 생각한다. 치유의 인문학 강좌는 앞으로도 꾸준히 있을 예정이므로 인문학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광주 트라우마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하여 꼭 들어보기를 추천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4기 이세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김민경기자A 2017.09.25 23:31
    저도 얼마전에 박준 시인님의 강연을 듣게 된 적이 있었는데 정말 멋진 분 같아요. "문학은 사람의 마음을 돕는다." 이 부분 정말 좋은 말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333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9947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7002
전주하면 비빔! 전주비빔밥축제에 가다 1 file 2018.11.02 김수인 16125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6125
두산베어스 또 한번 정상에 서다 1 file 2016.11.04 김나림 16125
무너져가는 블루레이 시장, 이래선 안 된다. file 2017.10.16 손종욱 16123
‘평화 통일을 향한 당신의 디자인은?’… 지속가능한 남북개발협력을 위한 통일스케치북 file 2021.10.01 한승범 16122
북촌 한옥마을 늘어나는 관광객, 줄어드는 주민 5 file 2017.05.20 이지현 16119
생명과 태양의 땅 충청북도에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봉송으로 세계를 노래하다·· file 2018.01.08 허기범 16118
청소년과 젊은이들의 꿈과 도전정신을 키워주는 제18회 세계지식포럼 file 2017.10.30 신종윤 16118
K리그 안의 또 다른 재미, 경인(인경)더비! 1 file 2018.04.09 김도윤 16117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초록우산어린이재단, 선거연령 하향 앞두고 ‘미래에서 온 투표’ 캠페인 2018.03.26 디지털이슈팀 16116
지리학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축제, 경인교육대학교 인천캠퍼스에서 열리다 file 2018.06.18 김성윤 16115
[MBN Y Forum] 불가능을 잊고 즐겼던 2017 MBN Y Forum 2 file 2017.03.04 박수연 16115
수학으로 놀자! '2019 부산수학축제' 1 file 2019.11.01 김민정 16113
없어져야 할 강제 결혼식, 알라 카추 file 2021.04.26 이수미 16112
드디어 발표된 월드컵 엔트리, 이제는 비난보단 응원해줘야 할 때 1 file 2018.05.16 이건 16112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6110
2018 평창동계올림픽으로 기대되는 강원도 file 2018.01.23 이은채 16110
전 세계가 주목, 인천에서 시작한 오버워치 월드컵 1 2018.08.31 이유리 16109
7월 4일에 미국 전체가 시끄러운 이유는? 2 file 2018.07.30 함수민 16108
우리가 몰랐던 초콜릿의 씁쓸한 맛 3 file 2017.03.21 정가원 16107
새로운 전략만이 살아 남는다 file 2016.05.24 박지윤 16106
LED가로등을 거부하는 로마의 시민들 1 file 2017.05.24 박수연 16104
2016굴포천 대청소,환경미화는 선택 아닌 필수 file 2016.10.23 최찬영 16103
‘보이스’ 정말 15세 관람가여도 괜찮을까? file 2017.02.24 임해윤 16102
서천군청소년수련관 생태진로캠프! 2017.10.17 임소현 16099
제64회 백제문화제 9월 15일 성황리에 개막...‘한류원조’ 백제를 즐기다 file 2018.09.27 전예민 16097
'한국 강의 날'을 아시나요? file 2017.09.04 김가빈 16092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제적 효과, 그 속사정은? 2 file 2018.02.27 윤성무 16088
셧다운제, 폐지 혹은 규제 완화 될까 file 2017.05.24 최민주 16087
문화와 예술로 하나되는 세상 - 2016 주한 외국대사관의 날 file 2016.11.20 김은형 16086
청소년들이 만들어가는 사회의 변화, YOUTHCHANGEMAKERS file 2017.09.27 조하은 16085
청소년의 정치에 대한 관심도:대한민국청소년의회에서 만나다! 4 2017.03.06 최정원 16085
2018평창동계올림픽 개막 1 file 2018.02.21 문지원 16082
AR과 포켓몬 GO 2016.07.19 박성수 16082
영원한 신라의 보물, 불국사 file 2017.05.31 김하은 16081
2017스마트디바이스쇼, IT과학의 장 4 file 2017.08.24 이주원 16079
넓고 푸른 세상 속, 어우러져 살아가는 대한민국 - 2016주한외국대사관의 날, 한국 문화의 날 file 2016.11.06 민원영 16079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 우리는 잊어서도 안 되고, 잊을 수도 없다. 2 2016.03.20 이승윤 16079
VR의 개념과 역사 1 file 2017.07.24 이현승 16078
가을과 함께하는 인천대공원 걷기대회 file 2016.11.24 최찬영 16071
하늘 위 노란 리본 4 2017.03.27 서지은 16070
런던 '껌딱지' 아티스트 Ben Wilson을 만나다! 2 file 2018.12.07 이한올 16068
비트코인, 편리함 뒤에 가려진 진실 1 file 2017.02.28 이수빈 16068
일본인이 기억하는 시인 윤동주 2 file 2020.12.09 유승호 16067
학교 전담 경찰관(SPO)과 함께한 청소년 정책 자문단 file 2020.08.26 박지현 16066
삼국삼색의 호랑이 file 2018.03.27 이지영 16066
겨우 끝나가는 메가볼시티 사태, 피해는 누가 보상해주나 file 2017.05.24 양우석 16066
세븐틴, 데뷔 3주년 기념 전시회 '17'S CUT' file 2018.06.19 여혜빈 160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