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혼저옵서예~ 힐링의 섬 '제주', 우리 함께 떠나보자!

by 5기박정민기자 posted Aug 30, 2017 Views 2173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작년 겨울방학, 설레는 마음 가득 싣고 오랜만에 떠나는 가족 여행. 예쁜 바다와 아름다운 자연환경이 일품인 제주라면 마음 깊숙이까지 힐링을 즐기고 올 듯했다. 흐린 날씨로 비행에 문제가 생기진 않을까 걱정하는 마음을 가지고 청주공항으로 떠났는데, 처음으로 비행기를 타보는지라 여행 전부터 긴장과 두근거림으로 한껏 부푼 마음을 가지고 비행기에 올랐다. 하늘 위로 눈 깜짝할 새 뜨는 비행기에 먹먹해진 귀로 두 눈을 꼭 감았다가 뜨자, 따스한 햇살이 비치는 창문 너머에 모습은 감탄을 일삼을 수밖에 없었다. 눈앞에 펼쳐진 푸른 바다와 솜뭉치 같은 구름이 너무나도 예뻤다. 이제 본격적인 힐링의 섬, 제주로 떠나보자.


KakaoTalk_20170808_22233224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제주도에 도착해 가장 먼저 보았던 건, 서귀포시에 있는 쇠소깍. 검색창에 '제주도 가볼 만한 곳'을 치면 10위 안에 들 정도로 보고 있기만 해도 가슴이 뻥 뚫릴 듯한 파란 바다가 예술이다. 이 쇠소깍은 제주 방언으로, 쇠는 '효돈 마을'을 소깍은 '연못'을 뜻한다고 한다. 마치 소가 드러누운 모습의 이 연못은 자연하천으로 하천과 바다가 만나는 지점에 형성되어 있다. 많은 관광객들이 이곳을 찾는 또 하나의 이유, 제주 현무암 지하를 흐르는 물이 분출하는데 바닷물과 만나 깊은 웅덩이를 형성해 바닷물이 분수처럼 솟아오른다. 가만히 바라만 볼 수 없어 솟아오르는 물줄기에 손도 대어 보고 열심히 사진도 찍었다. 오랜만에 보는 겨울 바다가 이렇게나 영롱하고 아름다우니, 좀처럼 쉽게 다음 장소로 발걸음을 뗄 수 없었다.


KakaoTalk_20170808_22233320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쇠소깍에서 한참을 달려 도착한 이곳은 '신천 목장'이다. 절벽 위에 위치해 아주 매서운 바람이 불었지만, 눈 앞에 펼쳐진 제주도의 이색적인 풍경에 한 번 놀랐다. 자유롭게 뛰노는 동물들 사이로 저 멀리까지 귤껍질이 퍼뜨려진 모습은 그야말로 장관이었다. 게다가 코끝으로 스치는 말린 귤의 향기는 더욱 짙고 향긋했다. 여름에는 한우를 방목하고 겨울에는 이렇게 감귤의 껍질을 말리는데, 많은 감귤들은 육지로 나가고 일부 말린 감귤은 다른 용도로 사용을 한다. 절벽 밑에 철썩이는 파도 소리와 감귤의 향기로운 내음을 즐기니 '내가 정말 제주에 왔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제주도의 해안 도로를 따라 차로 이동하던 중, 바닷가에서 제주의 상징인 해녀 분들을 뵈었다. 텔레비전에서만 보았던 까만 해녀복을 입고 많지 않은 수의 할머니들께서 물질을 하러 바다로 들어가고 계셨다. 제주의 해녀는 세계적으로 희귀한 존재로서 끈질긴 생명력과 강인한 개척정신으로 어려운 작업 환경을 이겨내고 생계를 이어갔던 제주 여성의 상징이라고 한다. 그 모습을 가만히 지켜보던 나는 숙연해졌고, 점점 사라져가는 해녀의 역사를 지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KakaoTalk_20170815_14391974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예쁜 자연경관을 본 첫째 날에 이어 제주도 여행의 둘째 날이었다. 배를 타고 오분에서 십 분쯤 이동하자 또 다른 섬인 우도에 도착했다. 우도는 제주특별자치도의 부속도서 중 가장 면적이 넓은 섬이고, 섬의 형태가 소가 드러누웠거나 머리를 내민 모습과 같다고 하여 우도라고 이름이 지어졌다고 한다. 한창 방영하였던 '푸른 바다의 전설'의 드라마 촬영지로도 유명한데, 그에 걸맞게 각각 다른 매력을 가지고 있는 아름다운 바다들을 여기서 볼 수 있다.


난생처음 검은 돌 사이에서 하얀 모래가 찬란히 빛나는 백사장도 보았는데, 이곳은 많은 관광객들이 발길을 멈추는 '검멀레해변'이다. 폭이 1백여 미터에 달하는 작은 해변이지만, 검은 모래사장을 뛰어 바다로 향하면 금방이라도 손에 잡힐 듯한 태양과 해변 끝에 고래가 살았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신비한 곳이다. 해변의 특이한 이름의 유래로는 현무암이 부서져 검은빛을 띠는 모래를 보고 제주말인 '검멀레'로 부르기 시작하였다고 한다. 이 해변 끝으로 향하면 동굴의 떨어지는 물을 받아 마실 수 있는 즐거운 체험도 할 수 있다.


검멀레해변 바로 옆에 있는 '검멀레해변 동굴'은 더 재미나다. 소의 콧구멍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검은 코꾸망’이라는 수중 동굴이 있는데, 밀물 때는 동굴의 윗부분밖에 볼 수 없지만 물이 빠지면 동굴의 전체를 볼 수 있다. 그 동굴을 지나면 또 하나의 동굴이 더 나타난다. 동굴 내부가 온통 붉다 하여 ‘붉은 코꾸망’이라고 부른다. 검멀레 해수욕장의 얽힌 신기한 유래와 살아 숨 쉬는 자연을 함께한다면 시간 가는 줄 모를 것이다.


KakaoTalk_20170815_15354609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박정민기자]


여행하면 빠질 수 없는 음식. 그동안 한 번도 먹어보지 못했던 톳 무침 요리와 제주의 자랑인 해녀가 물질해온 전복 등의 푸짐한 해산물을 맛볼 수 있었다. 무엇보다 흑돼지 삼겹살도 난생처음 먹어보았다. 제주도에서는 일명 똥돼지라고도 부르며 사람의 인분을 먹여 사육하였는데 그런 특이한 사육 방식으로 돼지의 질병에 대한 저항력과 면역력을 강화시켰다고 한다. 흑돼지와 얽힌 이야기를 듣고 나니 배를 타고 바다를 건너면 금방이지만 여러모로 육지와 많이 다른 생활방식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섬의 신비함이 더욱 느껴졌던 것 같다.


단 세 장의 사진으로 그때의 모습을 다 표현할 수는 없지만, 제주도는 정말 예쁜 자연환경을 즐길 곳이 많은 것 같았다. 분명 같은 나라이지만 사뭇 다른 나라인 것 같이 느껴진 제주도를 직접 여행하고 그곳에서 가족들과 좋은 추억을 쌓은 것 같아 정말 기뻤고, 겨울방학을 어느 때보다 알차게 보낸 것 같다. 이번 여행을 통해 제주는 내게 나중에라도 기회가 된다면 다시 한번 꼭 가고 싶은 여행지가 되었다. 평소 일에 지치셨던 부모님께서도 제주의 후한 인심과 한적한 분위기에 만족해하셨다.


사시사철 언제 떠나도 예쁜 제주도. 경쟁에 치여 빠르게 뛰던 걸음을 잠시 멈춰보자. 그럼 제주도가 그런 지쳐있던 몸과 마음을 보듬고 달래줄 것이다. 나의 곁에 있는 가족, 친구, 연인까지. 사랑하는 사람들과 함께 제주의 매력에 푹 빠지러 떠나보는 것은 어떨까.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5기 박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788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1174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13590
'관중 친화적' MLB급의 창원NC파크 2019.03.26 백휘민 21156
토론을 통하여 환경, 인권 문제를 생각해 보아요! file 2017.08.04 최은수 21171
2018 평창올림픽의 숨은 조력자를 찾아라! 5 file 2017.02.09 이지희 21173
2018 평창 동계올림픽 D-22 3 2018.01.22 김민지 21180
차준환, 남자 피겨의 역사를 새로 쓰다 file 2018.11.01 정재근 21200
설날인가, 가족모임인가 26 file 2016.02.13 김나림 21222
MBN Y 포럼, 2030년도의 미래 인재들에게 글로벌 멘토링을 전하다! file 2019.02.13 배연비 21224
'오늘 엄마가 죽었다. 아니, 어쩌면 어제. 모르겠다.' 2 file 2019.09.30 김민경 21243
거울아, 세상에서 가장 한복이 잘 어울리는 사람은 누구? 1 file 2019.04.05 오서진 21246
'2020년 실패박람회 슬로건 아이디어 공모전' file 2020.04.14 이채원 21288
김포공항 가기 힘든 김포공항역 ... 이용객 불편 증가 1 file 2017.03.27 경어진 21292
대한민국의 자랑스러운 로봇공학자, 한재권 교수를 만나다. 1 2017.02.26 정보경 21305
코로나 시대 소외당하는 청각장애인 1 file 2021.06.09 김지윤 21307
리우 올림픽, 정말 끝일까? 4 file 2016.08.25 신수빈 21312
현대자동차, 그랜저 시트주름 출고 6개월 이내 차량.. 결국 무상교체 조치... 2 file 2017.02.24 김홍렬 21313
진주아카데미, 학생들의 진로개척에 도움을.. file 2016.06.07 안성미 21316
한·중·일 초청 청소년 축구대회 "파주 FC 우승" file 2019.08.01 고요한 21317
학생 스트레스와 성적의 상관관계 file 2016.07.22 이유진 21324
스마트폰 등장 13년, 소비자들에게 국경은 없다, 스마트폰의 미래 2020.05.19 정미강 21353
오로라를 품은 땅 스웨덴 키루나, 그 이면의 문제점 1 file 2021.03.29 문신용 21358
쿨한 그녀들의 화려한 SNS라이프, '언프리티 소셜스타' file 2018.03.13 박선영 21366
일본의 대국민 사과가 알려지지 않은 이유 4 file 2017.09.07 류희경 21380
스타필드 코엑스몰 별마당 도서관을 방문하다 2 file 2019.01.24 박희원 21393
고요와 휴식의 낙원, 말레이시아 코타키나발루 여행기 3 file 2017.02.21 박형근 21395
뭐라꼬? 해운대라꼬 빛축제! 10 file 2016.02.21 현경선 21402
제17회 영상제:안동여자고등학교와 안동고등학교의 합작 2 file 2017.02.19 윤나민 21411
그냥 정수기 물을 마신다고? - 미네랄의 효능 2018.07.25 임서정 21417
부평 핫플레이스 '평리단길' 3 file 2019.05.14 하늘 21418
승자가 정해져있는 ‘인간 VS 인공지능 번역대결’ 2 file 2017.02.25 정진미 21423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의 흥행, 그리고 싱어롱 문화 1 2018.11.28 김수민 21443
무한질주 오디션 방송, 이젠 걸그룹이다 5 file 2016.02.24 박진우 21466
동성애에 대한 인식, 어떻게 바꿔야 할까? 2 2017.05.08 박수지 21473
손쉽게 만들 수 있는, 요즘 유행하는 홈카페 레시피 9 file 2020.03.19 박효빈 21494
부산시민공원, 포켓몬 고 대신에 '스탬프 투어'로 공원 100배 즐겨 보아요. 8 2017.02.22 최영 21512
제17회 신동엽 시인 전국 고교백일장, 신동엽 시인 50주기 맞아 뜨거운 문학의 열기 file 2019.04.16 정다운 21517
도시가 더 더운 이유는? 3 file 2017.07.30 김서영 21521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하늘마당, 빛과 그림자 file 2017.06.25 이세림 21522
서울역사박물관 '딜쿠샤와 호박목걸이 展'을 다녀오다 file 2019.03.20 이도은 21541
오감만족 1박2일부산여행코스 10 file 2016.02.22 문근혜 21544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만화콘텐츠 및 만화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 진행 1 file 2017.04.04 문정호 21548
베트남의 호찌민 - 경주세계문화엑스포 SNS 서포터즈를 소개합니다! 1 file 2017.09.05 홍여준 21548
스머프의 고향, 벨기에 만화박물관에 빠지다 1 file 2017.10.16 박미진 21566
송도, 유튜버들의 집합소가 되다 file 2019.09.23 김민진 21572
결코 즐길 수만은 없는 '김해 부경동물원' 1 file 2017.08.21 최희수 21573
전국학생 나라사랑 토론대회: 청소년이 말하는 한국 file 2017.02.28 최지민 21588
'시간을 파는 상점'-시간의 위대함 1 file 2018.03.14 박채윤 21597
왜 가을 하늘은 높고 푸를까? 1 file 2017.10.18 김나경 21609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과학 원리, 내부 저항값 측정으로 확인하는 배터리의 상태 2020.11.02 신찬우 216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