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文정부 공약실행, 블라인드 채용 실시.

by 5기이연인기자 posted Aug 12, 2017 Views 1529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현행 개선.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기 이연인기자]

 지난 8월 9일 인사혁신처가 새로 개선될 공공기관 이력서를 발표했다. 더욱 공정하고 체계적인 선발을 취지로 개선 대상은 공공기관에만 해당되며 8월 말부터 시행된다. 새로 개선되는 이력서에는 기존 이력서에서 요구 됐던 인물사진, 가족관계, 학력, 키, 몸무게, 시력 등 채용 기관과 관계없는 요소를 배제하며 자격증이나 경력 등 오로지 지원자의 능력만 판단할 수 있는 내용만 기재하게 된다. 이는 블라인드 채용의 시작으로 '일자리 창출' 중 스펙 없는 이력서를 만들자는 文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 실행된 것이다. 

 2005년 부터 학력란을 폐지하거나 구조화 하는 면접을 도입해 시행하고 있었지만 각 부처나 기관에 따라 필요없는 인적사항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앞으로 공공기관 전  부처  공통의  표준서식을 개선된 이력서로 지정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인물 사진란을 없애며 외모로 가질 수 있는 선입견을 배제할 수 있고 지원자의 능력만 보며 인재 발굴에 긍정적 영향을 불러올 수도 있게 되었다. 

 편견이 개입될 수 있는 항목을 삭제한 대신 직무역량 중심의 평가를 높이기 위한 조치는 더욱 강화되었다. 경력 채용을 주관하는 부처는 응시자가 수행해야 할 직무내용과 업무수행에 요구되는 능력과 지식을 밝힌 '직무기술서'를 작성하고 이를 시험 공고시에 반드시 넣어야 한다. 이는 응시자가 지원 부처와 무관한 불필요한 스펙을 쌓는데 들이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직무관련 능력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인사혁신처의 김판석 처장은 “블라인드 채용은 일부에서 말하는 '깜깜이 채용이 아니라', 학력, 지역, 외모와 같은 편견요소는 배제하고 직무수행능력을 제대로 따지는 '꼼꼼이 선발방법'”이라면서, “이러한 채용이 정착되면 눈에 보이는 스펙이나 선입견을 넘어  청년들의 진정한 실력을 편견없이  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며, 앞으로도 블라인드 채용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새롭게 개선되는 이력서는 현재 공공기관에만 해당되지만 점차 민간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블라인드 채용으로 그동안 취업준비생들의 성형수술이나 채용 기관과 관계없는 스펙쌓기 등의 부담을 덜고 오로지 능력만으로 채용되는 공정한 선발과 인재 향상에 기대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이연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김세령기자 2017.08.12 23:40
    우리 사회에 유용한 정책으로 자리잡았으면 좋겠습니다.. 하루 빨리 변화된 사회를 만나고 싶네요!!
  • ?
    5기정윤재기자 2017.08.14 11:27
    정말 우리사회가 능력중시위주의 사회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 ?
    5기조시현기자 2017.08.16 02:05
    유익한 기사네요!
  • ?
    5기박지혁기자 2017.08.16 08:12
    블라인드 채용이 능력중심사회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5기김민경기자 2017.08.16 20:40
    편견이 사라지고 능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우리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 ?
    5기김민경기자 2017.08.16 20:41
    편견이 사라지고 능력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우리 사회가 되길 바랍니다
  • ?
    5기서채영기자 2017.08.17 22:03
    점점 공정한 사회가 되어가는 것 같아서 좋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하네요!!
  • ?
    5기정용환기자 2017.08.20 01:11
    외국의 경우 사진 등 외모나 신체에 대한 정보를 적지 않는 것을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던 적이 있어요.
    우리나라는 언제쯤 이렇게 될까 싶었는데, 이번 정부에 아주 좋은 법안이 나온 것 같아 만족스럽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5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87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094
비가 와도 함께한 1271번째 수요일... 일본정부의 진정한 사죄를 촉구하는 수요시위 현장 9 file 2017.02.22 정지윤 15394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355
들썩이는 불의 고리, 지진 대처법은? 1 file 2016.04.26 김정현 15350
'탄핵 지연 어림없다' 광화문을 밝힌 84만 명의 사람들 4 file 2017.02.19 김현수 15340
눈 감을 수 없는 아이들, 눈 감아서 안되는 우리들 2 file 2016.03.25 이봄 15337
이제는 종이컵이 아닌 리유저블컵 1 file 2019.07.31 방민경 15333
TV, 혈전으로의 죽음 위험증가 file 2016.07.28 양유나 15299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297
文정부 공약실행, 블라인드 채용 실시. 8 file 2017.08.12 이연인 15295
통화녹음 알림 법, "사생활 침해 vs 약자 보호" 4 file 2017.09.04 전영은 15289
월드컵으로 경제 한걸음 - 러시아 월드컵 중계와 시장 경쟁 file 2018.07.16 김민우 15278
아직도 논란이 계속되는 난민문제, 난민들의 휴식처는 어디에...? 1 file 2016.08.17 박가영 15268
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특검 연장을 요구하는 국민들, 레드카드를 치켜들다. 4 file 2017.02.25 소지인 15267
태극기 집회에서 그들의 정의를 듣다 2 file 2017.02.17 장용민 15255
박근혜 정부는 일본에게 ‘면죄부’를 주고 말았다? 3 file 2017.02.16 김지민 15253
특검,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02.16 김예진 15249
세월호 4주기, '잊지 않겠습니다.' 2018.04.23 노영석 15242
정치인에게 책이란? 4 file 2017.02.23 강민 15230
한국 청소년들, 정치에 관심 없다 2 file 2019.11.25 이세현 15221
안철수, 대전서 '김밥 같이 드시래요?' 2 2017.02.17 한훤 15211
그야말로 혼용무도 삼권분립은 어디로? 6 file 2016.02.27 이민구 15208
인천의 구 명칭 변경, 과연 옳은 결정일까? 2 file 2018.01.03 박환희 15202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5189
文 정부가 임용 대란의 해결사라 생각하는 1교실 2교사제란? 2017.11.16 박환희 15186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② 자이가르닉 효과 2 file 2019.02.18 하예원 15184
박근혜, 그녀는 좋은 대통령이었다. 덕분에 국민 대단합 이뤄.. 5 file 2017.04.16 이지연 15167
제1268차 정기 수요집회, 소녀의 잊지못할 그 날의 아픔 5 file 2017.02.20 김연우 15164
바른정당 광주·전남도당 창당대회 개최 “친박은 배신의 정치인” file 2017.03.07 황예슬 15154
서울 시내버스 음식물 반입금지조례 "과도한 규제 vs 합당한 대응" 1 file 2018.03.26 정준교 15152
기상이변, 넌 어디서왔니! 4 file 2016.09.01 김나림 15141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136
난민 수용, 어디까지 가야 할까? 1 file 2019.10.22 전순영 15131
"앞으로 생리대 뭐 써요?" 아직도 논란이 되는 생리대 해결방안은 file 2017.09.27 한유진 15125
애국자인가 반역자인가? 4 file 2017.02.22 심지수 15113
장 마감 직전 10분 동안 급락한 신풍제약…코로나19 이후 과열된 주식 시장 file 2020.07.31 이민기 15112
학생인권침해에 나타난 학생인권조례, 우려의 목소리 file 2018.07.23 정하현 15110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5106
모두를 경악하게 만든 코로나의 또 다른 습격...해결 방안은? 9 file 2020.08.25 염채윤 15104
저출산/고령화현상 이제 무시해서는 안됩니다. file 2017.02.24 신규리 15103
“여자들이 나를 무시해서 그랬다.” 4 file 2016.06.14 장은지 15101
국정교과서, 누구를 위한 역사 통합인가 7 2017.03.02 방예진 15087
한국 드디어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하나? 김빛내리 교수와 코로나19 바이러스 file 2020.04.24 윤혜림 15076
광복절 특사, 국민 대통합? 이젠 국민 취급도 안하나? 4 file 2016.08.15 오성용 15075
갈수록 난민혐오 심해져. 2 file 2016.03.25 임유희 15074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5068
언어는 차별의 결과가 아닌, 시작이다 2 2018.10.12 유형민 15051
각 나라의 코로나19 대처법은? file 2020.04.09 이채영 15050
청소년을 보호하는 소년법, 개정 혹은 폐지? 4 2017.11.09 박찬영 15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