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자사고 폐지 찬반 여론? "학생 없이 교육 없다."

by 4기한훤기자 posted Jul 19, 2017 Views 1175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대표 없이 과세 없다."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이 슬로건은 미국 독립 전쟁 당시에 사용된 것으로 미국이 영국의 식민지 시절 가지고 있었던 비애를 가장 적나라하게 표현하였다고 평가받는다. 당시 영국은 7년 전쟁이 남긴 막대한 빚을 충당하기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였다. 영국은 이 같은 문제를 비교적 쉽게 해결하고자 당시 식민지였지만 의원을 가지고 있지 않은 미국에 설탕법이나 인지세법 등을 통과시켜 세원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미국은 이에 불복하였고 보스턴 차사건을 계기로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식민지인들을 무시하고 깔보았던 영국이 제대로 곤욕을 치르게 된 사건이었다.


대한민국 교육 그리고 청소년 관련 문제들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올해 크게 대두되었던 교육 및 청소년 관련 문제는 만 18세 투표권과 문재인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자사고 폐지 공약이다. 찬성과 반대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문제들이었고 실제로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사회 문제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두 문제에는 불편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당사자들이 빠져 있다는 점이다. 만 18세 투표권아 가장 영향을 많이 끼칠 사회 집단은 만 18세이다. 자사고 폐지 정책이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칠 사회 집단은 대한민국의 현 초, 중, 고등학생이다. 하지만, 그 누구도 이들의 목소리에 귀담고자 하는 노력을 한 적은 없었다. 만 18세 투표권에 반대하는 주요 입장은 고등학교 교실의 정치, 선거장화이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을 한 것은 주로 학교와는 거리가 먼 고령층이었다. 찬성 여론도 마찬가지였다. 일부 정당의 경우, 만 18세 투표권이 대상자들에게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보다는 자신의 정당의 유리한지 불리한지를 비교하고 입장을 바꾸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자사고 찬반 여론도 마찬가지이다. 양측 모두 사교육비와 소득 계층이 어느 학교에 많이 분포하는가? 등으로 정치적 선동 요소가 다소 포함된 것들에만 온 관심을 집중시켰고 학생들이 사교육비로 느끼는 불행이라던가 아니면 자사고와 관련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정말로 교육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모색해 본다는 노력은 정당, 언론, 정부를 막론하고 어느 집단에게도 보이지 않았다.

39bcd06df979f773a0e5d025085719c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한훤기자]


학생들이 이러한 사회 문제에 무관심하여 벌여진 것은 아니었다. 인터넷 커뮤니티 상에서도, 아니면 학교 자체에서도 학생 및 청소년에 관련된 문제는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다루어져왔다. 단지, '어른 세계'는 이것이 정치적 혹은 경제적 이익이 되지 않았기에 가볍게 무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어른 세계'에서 학생의 행복, 권리, 생활 등의 보편적인 것들은 챙기기에는 너무 보잘것없이 보였던 것이다. 그야말로 학생은 '대표 없는 식민지인'에 불과한 것이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한훤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895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627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3152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공급과 공급의 탄력성 file 2018.08.27 김민우 17624
인도 발전의 주역, 바지파이 전 인도 총리 별세 file 2018.08.27 서은재 10058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1104
심각한 낙동강 녹조, 해결방안은? 1 2018.08.29 고효원 14480
美 상원의원 존 매케인, "지금의 위기 앞에서 절망하지 말라" 유서 남기고 서거 file 2018.08.30 장혜성 9472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1005
사형집행은 사형집행관이 한다 1 file 2018.08.30 정해린 10990
'사회의 악' 여론 조작,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8.30 최예은 10652
‘청소년 정책 총괄’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에 진선미 의원 file 2018.08.30 디지털이슈팀 11276
청와대 국민청원 '시작은 좋았으나' 2 file 2018.09.03 김지영 10968
기록적인 폭염속에..정부 누진제 개편안 발표 2018.09.03 신유빈 9944
국민을 기만하는 가짜뉴스, 대처방안은? 2 file 2018.09.03 박민서 13549
美 폼페이오 방북 취소, 어떻게 봐야 할까 file 2018.09.03 이윤창 8866
경찰 머리채 논란 과연 과잉대응이었을까? 1 file 2018.09.03 지윤솔 11488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683
생계형 난민의 폭풍... 그리고 유럽의 반난민 정책 1 file 2018.09.05 조제원 11672
환경 오염의 주범 일회용 컵, 정부가 규제한다 2 file 2018.09.11 이승은 15614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1422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669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10194
"낙숫물이 댓돌을 뚫는다." 1 2018.09.27 유하은 12839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또다시 갈등의 대한민국으로 들어갑니다." 2 file 2018.09.27 마민찬 11609
청소년이 보는 소년법 "법의 헛점을 노린 교묘한 범죄 잇따라..." file 2018.09.27 8기심채은기자 10937
'여성 혐오'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9.27 홍유진 11975
인터넷 실명제, 누구의 손을 들어야 하는가 file 2018.09.27 유지원 11459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file 2018.09.27 서호진 15055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10165
‘이슬람포비아’에 잡아 먹힐 건가, ‘이슬람포비아’를 뛰어넘을 것인가? file 2018.09.28 이혜림 10192
살색이 아닙니다. 살구색입니다. 3 2018.09.28 박시현 12263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6662
남북정상회담, 그 효과와 발전방향은? 2 file 2018.10.01 김도경 12043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 변동 1 2018.10.01 권나영 12819
경제가 시사하는게 ISSUE - 통일과 합리적 선택 file 2018.10.01 김민우 16795
사후 피임약, 의사의 처방 없이 구매할 수 있어도 될까? file 2018.10.01 박효민 15954
구)공주의료원 어떻게 활용될까? 1 file 2018.10.04 김예경 13470
'스몸비', 좀비가 되어가는 사람들 1 file 2018.10.04 신미솔 12033
탈코르셋, 페미니스트... 왜? file 2018.10.05 김혜빈 15036
카페 안에서 더 이상 일회용컵 사용 불가?, 환경부의 단속! 1 file 2018.10.08 김세령 11309
청소년 지능범, 보호해야 하나? 2 file 2018.10.11 남승연 11400
언어는 차별의 결과가 아닌, 시작이다 2 2018.10.12 유형민 15297
사우디아라비아의 많은 변화, 여성들 새 삶 출발하나? 3 file 2018.10.12 이민아 11490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file 2018.10.15 이수지 10719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546
정보 사회 도래에 따른 성공적인 산업 및 기업의 변화 file 2018.10.15 서지환 11003
성공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기원하며 file 2018.10.15 양나겸 9655
이외수작가의 "화냥기". 문학적 표현인가, 시대착오적 사고인가? file 2018.10.16 김단아 11932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858
리벤지 포르노, 단순한 복수가 아닌 엄연한 범죄 file 2018.10.17 이채언 1064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