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하멜은 조선에게 무엇을 주었는가

by 4기김용준기자 posted Jun 28, 2017 Views 151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17세기에서 19세기까지 서양인들이 조선을 접할 수 있는 책은 하멜 표류기가 거의 유일했다. 하멜 표류기는 하멜이 13년간 밀린 임금을 받기 위해 동인도회사에 제출한 보고서이다. 서구 중심적이고 조선을 폄하하는 내용이 많이 담겨 있다는 비판도 존재하나 17세기 조선의 생활사를 자세하게 기록한 최초의 서양 도서라는 점에서 역사적 의의가 있다.

KakaoTalk_20170625_12513949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용준 기자]

하멜은 1652년 일본 나가사키로 향하던 중 제주도 부근에서 폭풍을 만나 표류하게 된다. 정부에서 보낸 군대에 의해 압송되어 한 달간 한양으로의 긴 여정을 하는 중 조선에 큰 관심을 갖게 된다. 당시 북벌을 계획하던 효종이 하멜을 기술자로 이용하려 훈련도감에 소속시키지만 일반 선원이었던 그는 딱히 정부에서 원하는 기술들을 갖고 있지 않았다. 그래서 하멜 일행은 효종의 친위대로 이용된다. 신기한 외모에 우람한 체격이 효종의 권위를 높여준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런데 하멜 일행 중 두 명이 탈출을 시도하는 사태가 벌어지면서 정부에서 이들을 신뢰하지 못하게 된다. 사형 직전까지 갔던 일행은 효종의 극심한 변호로 전라병영 유배로 감형된다. 1666년 즈음 일행은 전라 좌수사가 요구한 노역을 회피하고 돈을 모아 동네 어부의 어선을 구매한다. 북벌에 대한 희망도 사라지고 하멜의 기술력 또한 별 볼 일 없으니 정부에서 이들의 탈출을 방조했다는 설도 있다. 일본에서 1년간의 체류 후 네덜란드로 송환된 하멜이 펴낸 책이 하멜 표류기와 조선 왕국기이다. 하멜 표류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자 동인도회사에서는 하멜에 13년 치 봉급을 모두 지급하고 조선과 직접 교역할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일본의 반대로 무산된다. 한편 일본은 하멜의 일본 체류 당시 조선에 대한 정보를 캐물을 목적으로 억류시켰다고 한다. 하멜 표류기에 있는 몇 가지 주요 내용을 보면서 조선의 당시 상황을 파악해보자.

-이 나라는 인구가 많지만 생산력이 풍부해 삼남지방의 곡물과 면화로 자급자족한다.

-조선은 산맥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 양반과 노비는 세금을 내는 것 외에는 의무가 없으며 국민의 절반은 노비다.

- 왕에게 항거하거나 왕위를 찬탈하려는 사람은 멸족을 당했다.

- 조선인들은 단지 12개의 국가만 알고 있으며 우리를 남만국으로 불렀다.

- 승려들은 거의 존경을 받지 못하며 그 나라의 노비와 다를 바 없었다.

- 일반인들은 장님이나 무당을 의사로 삼으며 그들의 충고를 따랐다.

- 양반과 평민들은 자식들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다.

- 남자는 그의 부인이 몇 명의 아이를 낳았어도 내쫓을 수 있고 다른 여자를 부인으로 맞아들일 수 있었다.

- 부모가 여든 살 정도 되면, 맏아들이 재산을 물려받아 부모의 여생을 돌봤다.

- 조선인들은 너무나 착하여 남의 말을 쉽게 듣는 대신에 훔치고, 거짓말하는 등의 성격이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김용준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4227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802281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8329
세븐, 이다해 결혼식...YG 패밀리 한 자리에 file 2023.06.01 박태양 8527
한국교육개발원, ‘2023 한-OECD 국제 세미나’ 개최 file 2023.01.12 이지원 8534
스포넥트, ‘2022년 대학생 87km 비치대장정’ 시작 file 2022.08.23 이지원 8536
부산광역시도시재생지원센터, ‘도시재생과 로컬, 닮음 속에서 다름을 찾다’ 세미나 개최 file 2022.11.09 이지원 8548
마포구 청소년을 위한 학습멘토링 ‘아름다움’ 운영 file 2022.06.20 이지원 8558
다이소, 소중한 마음을 전하는 ‘발렌타인데이 기획전’ file 2023.01.27 디지털이슈팀 8567
서울문화재단, 예술 사각지대 지원하는 ‘서울예술인희망캠페인’ 시작 file 2022.06.28 이지원 8574
경쟁보다 성장이 우선된 ‘제22회 대한민국청소년미디어대전’ 성료 file 2022.12.06 이지원 8576
도서출판 블록체인, ‘기후 테크 컨퍼런스 2023’ 12월 7일 개최 file 2022.11.18 이지원 8588
[포토] 일상을 감성 여행으로...부산 요시고 사진전 file 2023.07.26 진혜원 8590
국산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4 최영서 860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도전.한국: 국민주도형 작은연구 공모전’ 개최 file 2022.07.29 이지원 8616
'거신 바람의 아이', 국내 애니메이션 흥행에 도전하다 file 2023.06.29 김휘진 8618
서울문화재단, 서울예술교육 16년 한눈에 살피는 ‘2022 서울예술교육축제’ 개최 file 2022.10.22 이지원 8645
학생 선수와 일반 학생이 함께하는 2022 청소년스포츠한마당 스쿼시대회 개최 file 2022.08.08 이지원 8657
삼성전자, 갤럭시 익스피리언스 스페이스 24개 도시서 운영 file 2023.02.08 디지털이슈팀 8670
한국장애예술인협회, ‘2022 장애예술인수첩’ 발간 file 2022.12.09 이지원 8677
아름다운가게, 명품 의류를 활용한 ‘업사이클링 캠페인’ 선봬 file 2022.12.19 이지원 8697
우리나라 대표 벚꽃 축제 '진해 군항제'를 소개합니다 file 2023.04.07 이설현 8713
서울시, 15개 지자체와 청소년 문화 교류 추진 file 2023.03.03 디지털이슈팀 8716
신나고 흥미로운 연수구 도서관 여행 file 2022.06.02 최인영 8726
게임문화 가족캠프, 가족 화합의 도구로! file 2022.12.16 이지원 8732
팬데믹 속 숨통이 되어주는 문화생활 1 file 2022.02.03 임민영 8746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개관 40주년 기념 ‘장애인복지관 디지털 전환’ 온라인 세미나 개최 file 2022.11.29 이지원 8751
우체국예금·보험과 함께하는 2022 우체국 문화전 file 2022.06.07 이지원 8755
한국청소년연맹, 코로나19 이후 첫 축제형 청소년 국제행사 ‘ESG 희망포럼’ 개최 file 2022.07.12 이지원 8756
외로운 이들에게 바치는 영화, '거울 속 외딴 성' file 2023.04.19 유영진 8758
시립강동청소년센터, 가족환경 봉사활동 프로그램 ‘우리마을 환경 家꿈단’ 운영 file 2022.11.25 이지원 8760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WE' file 2023.03.27 고민서 8771
서울시립미술관, '에드워드 호퍼: 길 위에서' 전시 개최 file 2023.06.29 이민주 8775
2년 만에 개최된 서울모빌리티쇼...관람객 '북적북적' file 2023.04.18 박서율 8789
강남구립 역삼청소년수련관, ‘강남구 아동정책참여단’ 정책 제안 활동 진행 file 2022.11.22 이지원 8810
한국교육개발원, 건강장애학생 교육 기회 확대 및 소통을 위한 메타버스 온라인 미술캠프 개최 file 2022.11.01 이지원 8830
뮤지컬 ‘나는나비’, 세상의 모든 나비들에게 전하는 메시지 file 2023.06.13 최승현 8841
아름다운가게, 창립 20주년 기념 엠블럼 발표 file 2022.09.02 이지원 8850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국내외 명화를 만나는 미술관 여행” 온라인 무료 특강 개최 file 2022.10.18 이지원 8876
서울문화재단, 삼일로창고극장 11일부터 '창고 개방' 기획 사업 개최 file 2022.10.07 이지원 8889
하자센터, ‘지구의 회복탄력성을 연구하는 실험실, 탱탱랩’ 환경프로젝트 진행 file 2022.06.07 이지원 8902
사회적협동조합 빠띠, 디지털 기술 활용 제안하는 온라인 민주주의 캠프 진행 file 2022.09.05 이지원 8908
시립문래청소년센터, 2023년 청소년환경축제로 청소년의 생태문화 만든다 file 2022.11.22 이지원 8910
충청남도청소년진흥원, ‘제2회 충청남도 미래세대 SDGs 발표대회' 성료 file 2022.11.09 이지원 8916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2022년 지역맞춤형 안녕캠페인 공모사업 성료 file 2022.12.23 이지원 8916
영화 '거울 속 외딴성' 오는 12일 개봉...한국 박스오피스 상륙 file 2023.04.11 최나린 8924
아이러브북, 제1회 이달의 책 공모전 개최 file 2022.12.28 이지원 8931
니트 청년의 진로 방향 위한 ‘니트인베스트먼트’ 최종 공유회 ‘일 좀 내볼까’ 개최 file 2022.07.21 이지원 8933
날컴퍼니, 생명존중 뮤지컬 '나는나비' 공연 개최 file 2023.05.29 박주영 8951
LX한국국토정보공사, ‘LX국토 브릭아트 공모전’ 개최 file 2022.06.04 이지원 8958
경기도 청소년방과후아카데미, 환경의 날 맞이 공동 플로킹 챌린지 진행 file 2022.06.09 이지원 895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