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by 2기김다윤기자 posted Feb 23, 2015 Views 3307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121-888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 19 홀트 아동 복지회 (합정동, 합정오피스빌딩)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홀씨 서포터즈, 그 발대식 현장으로!

 -“6개월 동안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좋은 추억 만들고 싶어요.”


그림3.png

(제공 : 홀트 아동복지회)


지난 6, 서울시 마포구 홀트 아동 복지회 본부에서 홀트 서포터즈의 발대식이 개최되었다. 1960년에 설립된 홀트 아동 복지회는 장애인, 미혼모, 아동 등의 소외계층을 돕기 위한 복지단체로, 홀트 서포터즈는 홀트 아동 복지회를 도와 6개월 동안 활동을 하게 된다. 홀씨 서포터즈는 2014년 5월에 1기로 시작했으며, 올해 상반기 2기의 활동이 시작된다.

"6개월 동안 세상을 살짝 변화시키고 싶다면?" 이라는 문구로 모집된 서포터즈는 말 그대로 '일 벌리기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였다. 서포터즈의 정식 명칭은 홀씨, 퍼져나가는 홀씨처럼 홀트 아동 복지회와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6일의 발대식에는 위촉장 수여, 홀트 아동 복지회 소개와 조 편성이 이루어졌다.

조는 각자의 역량에 따라 블루 홀씨(온라인 팀), 민트 홀씨(정기 후원 팀), 레드 홀씨(캠페인 1팀), 퍼플 홀씨(캠페인 2팀)의 최종 4팀으로 나누어졌다.

조별 모임에서는 조장 선출과, 모임 시간을 정하는 시간이 있었다. 휴대 전화 번호 교환도 이루어졌는데, 이를 토대로 온라인에서의 활동 또한 본격화 될 것이라고 한다.

처음 만나는 발대식 자리여서 어색함이 감돌았지만, 홀트 서포터즈라는 공통점으로 곧 어색함은 해소될 수 있었다. 일부 서포터즈들은 준비된 다과로 어색함을 풀기도 하였다.

“6개월 동안 하고 싶은 거 하면서 좋은 추억 만들고 싶어요.” 라며 소감을 말한 서포터즈 이OO2기 활동에 대한 기대와 포부를 드러냈다.


올해 15일부터 123일까지 모집된 서포터즈는 총 30명으로 의사, CEO, 교사, 학생 등 다양한 사람들이 모인 만큼 다채로운 활동이 기대된다. 함께 일 벌이기 좋아하는사람들이 모인 홀씨 서포터즈는 향후 6개월 동안 홀트 아동 복지회와 함께 캠페인을 기획하고 운영하며, 모금활동, 홍보활동, 봉사활동 등도 할 예정이다. 지난 1기가 좋은 성과를 보여준 것을 보아 이번 2기의 활동에도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2기 홀씨 서포터즈의 다음 모임은 2월 28일 토요일으로, 오전 11시에 홀트 아동복지회 본부 6층 강당 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다가오는 모임에서는 더욱 구체화된 홀씨 서포터즈로서의 활동이 예정되어 있어 홀씨 서포터즈의 "홀트 아동 복지회와 세상에 사랑을 퍼뜨릴" 이라는 목표에 한 발 더 다가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홀트 아동 복지회와 홀씨 서포터즈의 활동은 홈페이지 (http://www.holt.or.kr/) 에서 만나볼 수 있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2기

김다윤 기자(worldwhale@naver.com)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2기박하영기자 2015.02.23 18:17
    정말 좋은 일인것 같아요! 앞으로 이러한 서포터즈 활동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
    2기손유라기자 2015.02.23 19:27
    아동 복지회를 도와 봉사활동 등을 한다니 의미 있고 좋은 단체네요. 앞으로의 활동이 기대됩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767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531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31603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809
9시 등교, 새로운 제도를 대하는 학교의 방법 2014.09.25 최희수 20034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358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577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361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234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577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207
9시 등교, 진정 조삼모사인가? 2014.09.21 임수현 19323
9시 등교, 폐지 아닌 개선 필요 2014.09.21 김민기 20054
9시 등교,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정책인가 그저 빈 껍데기인가 2014.09.21 박민경 21957
9시 등교, 확실한가 2014.09.29 오선진 26379
9시 등교는 꼭 필요하다!! 1 2014.09.25 김영진 21409
9시 등교는 학생 주체 교육제도의 첫 시작으로 남을 수 있을 것인가 2014.09.23 박민아 20770
9시 등교를 원하세요? 2014.09.25 명지율 23565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756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453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565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930
9시 등교제가 과연 좋은 영향만을 가져다 주는 것일까? 2014.09.22 김아정 20246
9시등교 과연 옳은것일까 2014.09.25 이지혜 23083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267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528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513
9시등교 아싸! 2014.09.24 박승빈 25550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462
9시등교 학생들을 위한 것일까 2014.09.24 신윤주 20485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715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254
9시등교, 과연 학생들은? 2014.09.21 박채영 20516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541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4137
9시등교, 진정으로 수면권을 보장해주나? 2014.09.21 정세연 20801
9시등교, 최선 입니까? 2014.09.21 전지민 20811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351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462
9시등교제, 옳은 선택일까 2014.09.25 김혜빈 21731
AI 가니 구제역 온다 2 file 2017.02.10 유근탁 15793
AI 사태 100일 째, 아직도 끝나지 않은 AI(조류 인플루엔자) 1 file 2017.03.26 윤정원 11583
AI 온지 얼마나 되었다고 이젠 구제역?! 5 file 2017.02.15 정소예 14879
AI 직격탄 계란값....도대체 언제쯤 복귀할까? 6 file 2017.01.23 김서영 18312
AI의 완화... 계란 한 판 '6~7000원'대, 닭고기 가격 상승 2 file 2017.02.21 이수현 16037
Because you are right, Bernie. You're right! file 2016.05.04 박정호 17248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990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5 file 2016.03.20 정현호 35627
D-15 19대 대선, 달라지는 sns 선거운동 4 file 2017.04.25 윤정원 13572
EPR. 생산자도 폐기물에 대한 책임을 문다. file 2018.04.30 이기원 11840
EU의 중심, 영국마저 저버린 의무적인 배려...과연 누가 따를 것인가? 1 file 2016.07.25 김예지 161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