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19대 대선의 여담

by 4기강민기자 posted May 21, 2017 Views 1075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어느덧 19대 대선이 끝났다. 원래는 2017년 12월 20일 실시 예정이었으나 2017년 3월 10일, 박근혜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2017년 5월 9일 조기 선거가 치러졌다. 그리고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최종 득표율 41.1%, 최종 득표수 13,423,800 표를 얻어 당선되었다.



이번 19대 대선은 특수한 상황에서 치러져서 인지 흥미로운 결과를 많이 남겼다.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자.


#1: 역대 1-2위 후보 최대 표차 선거

지난 17대 대선 당시, 한나라당의 이명박 후보는 대통합민주신당의 정동영 후보를 약 531만 표 차이로 이겼다. 그러나 이번 19대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약 557만 표 차이로 꺾어 최다 표차 기록을 경신했다.


#2: 군소 후보들의 난립

총 15명이 후보로 등록하여 17대 대선 당시의 12명을 갱신하였다. 그러나 기호 11번 통일한국당의 남재준 후보와 기호 13번 한반도미래연합의 김정선 후보가 사퇴하여 총 13명이 출마하였다. 후보자가 많음에 따라 투표용지의 길이가 길어져서 28.5cm가 되었다. 이는 역대 대선 투표용지의 길이 중 최고 기록이다.


#3: 대통령 선거 적중률 100%의 신통방통한 지역

제주특별자치도와 충청남도 금산군은 지금까지의 모든 대선에서 적중률 100%를 보여왔다.

문재인 후보는 제주도에서 45.5%, 충남 금산군에서 34.2% 의 득표율을 기록해 두 지역의 징크스는 이번에도 깨지지 않았다. 특히 제주도는 모든 읍, 면, 동 지역에서 문재인 후보가 1위를 하였다.


#4: 청소년의 표심은 달랐다?

한국 YMCA 전국연맹에서는 모의투표를 주최하였다.약 5만여 명의 청소년이 참여하여 39%의 득표율을 올린 문재인 후보가 1위를 하였다. 실제 대선에서는 문>홍>안>유>심 후보 순으로 득표를 하였지만 청소년 모의투표 결과로는 문>심>유>안>홍 후보 순으로?득표하였다.


#5: 경상남도의 표심은 어디로?

당선권에 드는 세 후보의 고향이 모두 경상남도라 유권자들의 이목이 집중되었던 지역이다.

문재인 후보는 경남 거제시, 홍준표 후보는 경남 창녕군, 안처수 후보는 경남 밀양시가 고향이다.

문재인 후보는 민주당계 후보로서는 처음으로 동남권(PK)에서 승리하였다. 부산에서는 16개 선거구

중 13곳에서 승리하였다. 문 후보는 38%를 득표하며 2위인 홍 후보와 약 7% 차이로 승리하였다.

울산에서는 문 후보가 약 38%를 득표해 27%를 득표한 홍 후보를 제쳤다. 경상남도 전체로는

서부경남 VS 동부경남 의 결과가 달랐다. 일명 '낙동강 벨트'로 분류되는 노동자가 많은 김해, 양산, 창원, 거제 등지에서는 문재인 후보가 승리하였지만 진주시, 합천군 같은 서부경남에서는 홍준표 후보가 승리하였다. 전체 득표율로 보자면 홍준표 후보가 약 1% 차이로 문재인 후보에게 신승을 거뒀다.


#6: 재외국민의 표심은 어떨까?

재외국민 투표 제도가 실시된 이후, 역대 최대 투표율인 77.2%를 기록하였다. 재외국민 투표의 승리자는 문재인 후보로 59.2%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2위는 안철수 후보로 16.2%를 기록하였다.


KakaoTalk_20170521_003719424.jpg

▲19대 대선 후보들의 포스터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강민 기자]


이렇게 19대 대선의 여담을 알아보았다. 제6공화국의 세 번째 정권교체가 일어났고, 더불어민주당은 제3기 민주 정부를 수립했다. 예전 사례를 반면교사로 삼아 대한민국을 잘 이끌어 주시길 바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강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최민규기자 2017.05.21 08:33
    앞으로 대한민국을 문재인 대통령님께서 잘 이끌어 나가시기를 바랍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김수희기자 2017.05.21 21:27
    이번 대통령이 정말 책임감이 막중하다고 생각하는데 잘 이끌어 나가길 바라네요! 기사 잘 읽고 가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404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148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6428
우리의 촛불은 꺼지지 않는다. 제 17차 촛불 집회 열려 1 file 2017.03.01 안준혁 16421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883
우리의 일상을 바꿔놓은 코로나19, 백신이 나왔다? 1 file 2020.08.18 권혁빈 7954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는 주범, 미세먼지를 알아보자 2 file 2018.05.23 배민정 10489
우리의 땅 제주 이대로 가도 될까? 1 file 2015.05.25 박다혜 23538
우리의 교과서에 '위안부'가 사라진다 18 2016.02.28 하지희 19942
우리생활속의 법 '우리는 아르바이트가 가능할까?' 1 file 2016.07.18 김현승 17804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1029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발생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 및 대책 file 2016.06.25 조해원 17786
우리나라는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나라다? file 2016.09.24 최시헌 17303
우리나라 먹거리의 잔혹사 첫 번째, 우지파동 3 2017.09.04 오동민 16864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20792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1 file 2017.08.17 김나영 12267
우리나라 가계부채 명목 GDP 대비 106.5%…가계경제 비상등 켜지나 file 2022.01.18 윤초원 10857
우리가 한번쯤 생각해봐야 할 문제, 고독사 2020.02.19 이수미 11204
우리가 즐겨하는 게임, 과연 바람직하게 하는 방법은? 2 file 2018.05.16 석근호 11469
우리가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할 세월호 1 file 2017.04.09 양희원 11608
우리가 얼마나 소중한지, 당신은 알고 있나요? 2 file 2018.02.26 임희선 12619
우리가 쓰는 화장품에 가려진 동물실험 3 2020.03.23 신재연 11970
우리가 쓰는 하나의 색안경, '빈곤 포르노' 1 file 2018.12.17 이지우 12443
우리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부의 불평등 2 file 2017.05.16 양현서 12741
우리가 류샤오보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3 file 2017.07.18 박우빈 11721
우리가 기억해야 할 그 날의 용기 4 file 2017.09.01 이다빈 19076
우리가 기억해야 할 국제기구. 세계의 평화를 지키는 국제연합(UN) 1 file 2017.10.25 이수연 14434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20452
우리 사회의 문제, 평균 결혼 연령 상승의 원인은? file 2019.05.07 서민영 20527
우리 사회 이대로 안전한가? 1 file 2017.09.04 김하늘 10955
우리 모두 잊지 말아요... 8월 14일 그 날을... 4 file 2017.08.23 김채현 10291
우리 개는 안 물어요, 안전해요! 1 file 2017.10.30 김나림 12705
용인 백현고 소음의 주범 1 file 2016.04.24 김수미 17552
용가리 과자먹고...위에 구멍 생겨... 4 2017.08.17 고은경 11258
욕망과 자유 사이 '리얼돌'에 관하여... 2021.01.27 노혁진 8137
요즘 뜨고 있는 비트코인...도대체 뭘까? file 2017.12.18 임채민 21058
요동치는 '불의고리',우리나라는 안전할까? 5 file 2016.04.26 황어진 21745
외래종(外來種)의 세계화,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6 조원준 11391
외국어 간판이 ‘갑’, 쫓겨난 한글 간판 8 file 2016.03.19 반나경 38822
외고 자사고 폐지, 과연 대한민국 교육의 미래는? 3 2017.06.27 고은빈 12268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737
왜 이렇게 덥지? 3 file 2018.07.30 고다은 12435
왜 우리는 알고 있는데도 실천하지 않는가 2 2018.07.25 임서정 11340
왜 대한민국은 트럼프 대통령에 반감을 가지게 되었는가 2018.03.01 박세준 11289
왜 그것은 말할 수 없는 비밀이 되었는가? 2 2018.01.29 김민소 9793
완전히 베일 벗은 국정교과서, 과연? 2 file 2017.02.13 권지현 15791
와하! 난민 신청 여성 이주민들의 오아시스 같은 공간 file 2019.09.23 최윤영 12230
올해만 벌써 다섯 번째…사라져가는 아이들 8 file 2016.03.26 신민정 16384
올해만 7차례 지나간 것은 무엇인가 1 file 2019.11.15 김선우 10546
올해 최강 한파에도 꺼지지 않는 촛불 들. 10 file 2017.01.19 최예현 17243
올해 다사다난했던 영국 사건들 1 file 2017.06.27 이태호 105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