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김해시 대학병원 유치 실현에 시동걸어

by 4기사회부김규리기자 posted May 05, 2017 Views 1718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70505_150149.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김규리기자]

인구 60만 명에 육박하는 김해시에는 번듯한 대학병원이 하나도 없어 시민들의 의료공백과 불편이 가중되어 왔다. 인제대와 동아대가 대학병원 부지를 매입한 채 약 20년간 방치만 해 놓고 있기 때문이다.

인제대는 대학병원 건립을 목적으로 199612월 삼계동 일대에 34천여 제곱미터의 부지를 사들였고 동아대 역시 같은 목적으로 2001년 장유에 1만여 제곱미터의 부지를 매입하였다. 그러나 두 곳 모두 장기 불황을 이유로 병원 건립을 미루고 있다.

이에 김해시는 대학병원 유치 실현을 위해 지난 118일부터 대학병원 유치 전담 TF 팀을 구성해 대학병원 유치 활동에 돌입했다. 전담 TF 팀은 보건소장이 총괄 책임자로 유치 추진팀, 유치 지원팀, 유치 홍보팀으로 구성하였다.

김해의 종합 병원급 병상당 인구수는 인근 다른 도시에 비해 2배가량 높은 편으로 대학병원을 유치했을 때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는 시의 판단이다. 시는 우선으로 인제대, 동아대와 접촉해 병원 설립에 대한 입장을 다시 확인할 계획이다. 시는 이들 대학이 난색을 보일 경우 기존의 삼계동 인제대학병원 부지에는 수도권 대학병원 분원 유치를, 장유의 동아대학병원 부지는 암센터와 심 뇌혈관질환 센터 등 특성화된 병원 유치도 고려할 방침이다. 그러나 당사자인 인제대와 동아대는 시의 입장에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있는 분위기이다. 두 대학은 지난해 5월 이미 김해시 보건소와의 접촉에서 대학병원 유치가 사실상 어렵다는 견해를 밝힌 바 있고 시가 추가적인 제안 없이 보도자료만 내놓은 상황에서 새로운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는 견해다.

김해시민들의 입장에서는 오랜 염원 사업인 대학병원 유치가 가시화됨에 따라 반기는 분위기이다. 김해시가 대학병원 유치에 발 벗고 나선 가운데 앞으로 차질 없는 추진으로 시민들의 의료 숙원을 풀어 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4기 김규리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이나경기자 2017.05.05 19:59
    김해시를 생각하면 대도시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대학병원이 없었다니.. 좀 놀랐습니다. 강원도의 한 지역인 저희 지역도 대학병원이 두개가 있는데 인구 60만이 넘는 도시에 아직 대학병원이 없었다니ㅠㅠ 정말 시민들이 얼마나 불편했을지.. 그래도 이제 본격적으로 유치를 하는것 같아 다행입니다! 좋은기사 감사해요~
  • ?
    4기사회부김규리기자 2017.05.05 22:00
    기사 잘읽어주셔서 감사해요! 이나경기자님!!!♥
    취재하면서 알아보니 시행착오가 많은것 같던데ㅜㅠ 시민들을 위해 꼭 추진되었으면 싶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8090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91620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203830
세계, ‘혼자’의 편견을 부수다! 22 file 2017.02.03 강건화 17126
방문해보세요, 원전하나줄이기정보센터 file 2016.06.25 김영현 17126
학생들이 스스로 만들어나가는 독서토론 문화, '읽다, 나누다, 느끼다' file 2017.09.11 오우택 17125
무더위도 잊게 만드는 뜨거운 과학 열기 속으로 1 file 2017.08.25 이지호 17124
공정무역이란? 2017.11.02 최인혜 17123
서대문독립민주축제, 역사가 살아 숨 쉬는 곳 1 file 2019.08.19 노주영 17121
주민들간에 소통의 벽을 허물어준 평화동네 작은 음악회 2 file 2017.07.13 최희주 17121
가나, 우주 경쟁에 뛰어들다! 2 file 2017.08.07 한동엽 17120
환경운동연합 <350 캠페인> file 2017.02.28 양정윤 17120
전 어디에 가야 하나요? file 2016.08.22 박나영 17119
화성 효 마라톤 대회 그열정의 현장 속으로 file 2016.05.29 신수현 17119
잠자는 청소년의 의식을 깨운다! '청소년 자원봉사 여름학교 - 학교폭력 예방 캠페인' file 2017.08.21 김현서 17118
대전국립중앙과학관, 과학체험의 장을 열다. file 2017.04.24 김세영 17118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섬, 오륙도 8 file 2017.02.04 정유진 17118
한국에서 접하는 이슬람, '한국이슬람교 부산성원' file 2017.05.14 허재영 17116
관객을 속이는 영화, 맥거핀의 집합체 file 2016.07.26 김현구 17113
미세먼지, 그 해결책은? 4 file 2017.04.02 박민경 17110
커피 한잔으로 좋은일 하기, 공정무역카페 file 2018.12.21 정유현 17109
임산부 뺏지를 아시나요 2 file 2016.04.28 이서연 17107
종이를 만나다, <Paper, Present: 너를 위한 선물> 4 file 2018.01.23 김민하 17106
ASMR, 당신은 사용하시나요? 4 file 2017.09.21 안현진 17106
한국걸스카우트 국제야영 "Act! Connect! Empower!" file 2017.08.23 김주희 17099
시인 정지용의 '제32회 옥천 지용제' file 2019.05.27 양유빈 17095
면역력 관리가 중요한 여름, 면역증진에 도움 되는 식품은 무엇일까? 1 file 2020.06.12 이한나 17092
청소년의 '피, 땀, 눈물'은 어디로 갔을까 [청소년 아르바이트] 2 file 2017.04.24 이채은 17092
웹드라마 '독고빈은 업뎃중', 8월 28일 첫 방송 file 2020.08.26 노연우 17090
꿈의 컴퓨터, 양자 컴퓨터 file 2019.08.27 김채운 17089
신사임당, 그녀는 누구인가 1 file 2017.02.27 박혜민 17089
청소년에게 꿈을! 인동고 MBC, 구미 청소년 문화존에 참가하다. file 2017.05.24 김민정 17088
퀴어, 광주를 무지개로 밝히다; 제1회 광주퀴어문화축제 3 file 2018.10.25 김어진 17086
과학 호기심이 활짝 피다-국립대구과학관으로 오세요 file 2017.03.25 이영준 17086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7085
새 학기 가방고민, 한방에 해결하기! 1 file 2017.02.24 이서영 17085
137년 vs 14년, 한 맺힌 팀들의 대결…UCL 결승 6월 1일 개최 file 2019.05.31 권진서 17084
중국의 추석, 중추절 file 2017.10.23 이진하 17084
달콤함의 향연, '슈가플래닛'에 다녀오다! file 2018.12.17 송지윤 17082
WBC, 이스라엘이 한국에게 전하는 메세지 4 2017.03.15 조성민 17081
점 하나의 기적, 블랙 닷 캠페인 9 file 2017.02.16 김효원 17081
카이스트가 해냈다! 이제 집에서 신경치료 하자! file 2018.11.16 백광렬 17080
평화의 소녀상의 거제 나들이 2 file 2018.01.29 최다영 17075
수화가 아니라 수어라고? - 조금은 특별한 봉사활동 file 2017.10.24 홍정연 17073
저널리스트의 꿈을 꾸다 1 file 2017.12.04 김연주 17071
뉴욕과 파리도 제친 서울의 물가, 세계 물가 6위를 차지하다 1 file 2017.04.15 박유빈 17071
서울시교육청 전자책 서비스 See, 한번 이용해 볼까요? 5 file 2016.02.24 지예슬 17070
전주 한지 온누리에 펼치다 2 file 2017.06.04 설서윤 17063
우리나라의 의생활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 file 2021.12.03 김민정 17057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으로 교류 캠프를 떠나다 1 2017.08.09 오세민 17056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70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