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유엔인권 이사회, 북한 인권 결의안 무표결 채택

by 4기이승민기자 posted Mar 26, 2017 Views 1093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제 34차 유엔 인권이사회의 정기이사회가 지난 27일 스위스 제네바의 유럽 유엔본부에서 개막했다.

유엔 인권 이사회(UNHRC)는 24일 북한 인권 결의안에 대해 무표결로 채택했다.

올해로 2년 연속 북한 인권 결의안이 표결 없이 합의 방식으로 채택되었다.


이번 결의안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55개국이 공동 제안국으로 참여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북한은 이번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중국, 러시아, 쿠바, 베네수엘라 등 6개 국이 특정국가에 대한 결의안에 반대하였으나, 표결은 어느 나라도 요청하지 않았다.


결의안 채택에 앞서 제네바 주재 일본대표부의 시노 미츠코 차석대사가 제안설명을 했다.

시노 미츠코 차석대사는 "일본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는 조직적이고 광범위하며 중대한 북한의 인권 유린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 북한이 즉각 국제사회의 이 같은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취하고, 국제사회와의 건설적인 대화에 나서야 한다. "며 북한의 인권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했다.


올해 결의안은 북한 정부에 인권 유린을 인정하고 이에 대한 책임 규명의 강화를 목적으로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을 이번 회의에 초청하고 북한과 관계있는 유엔 회원국에 북한이 인권침해를 종식시킬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라고 요구했다.


특히, 서울사무소를 비롯한 유엔 인권 최고 대표 사무실의 역량을 확대하고,

북한 인권유린을 감시하고 이를 기록하는 작업을 위해 정보, 증거를 보존할 시설의 설치와 정보 및 증거를 분석할 법률전문가를 임명하는 것을 강조했다.


이 외에도 북한 주민들에게 온라인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내용, 북한 인권 특별 보고관의 임기를 1년 연장한다는 내용 등 을 포함하고 있다.


이번 의결안에 대해 국제 인권단체인 '휴먼 라이츠 워치'는 "유엔 인권 이사회가 북한의 인권범죄에 대한 책임 규명과 처벌에 한 걸음 더 진전했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외교부는 결의안 채택 직후 논평을 통해 "2003년부터 채택된 역대 유엔 인권이사회의 결의 중 가장 강력한 내용을 담은 것으로 평가된다."며 "북한이 주민들에 대한 인권침해를 즉각 중단하고 결의안을 성실히 이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전했다.


캡처.PNG

[이미지 제공=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이승민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4기 이승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24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006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5167
일본과의 전쟁 그에 맞선 대한민국 file 2019.09.25 박채리 10186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607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903
와하! 난민 신청 여성 이주민들의 오아시스 같은 공간 file 2019.09.23 최윤영 12209
조국 청문회가 남긴 숙제는? file 2019.09.20 정예람 34868
물가 하락, 디플레이션이라고? file 2019.09.17 박고은 12495
인천시민의 필수품 '인천e음카드' file 2019.09.09 하늘 12359
지소미아로 보는 협정, 조약, 선언의 차이 file 2019.09.04 유승연 13557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5071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1836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11149
사지 않습니다, 가지 않습니다, NO JAPAN file 2019.08.29 선혜인 13849
일본 불매운동, 왜? file 2019.08.28 김민경 13617
한일 갈등과 불매 운동, 그 속으로 file 2019.08.27 박은서 11527
日 불매운동, 끝까지 간다 file 2019.08.26 최은서 14414
북한의 연이은 도발 1 2019.08.26 윤대호 10142
대한민국, 일본 계속 되는 무역전쟁 우리가 받는 피해만 있을까? file 2019.08.20 정예람 15704
벼랑 끝에 선 한의학, 해결 과제는? file 2019.08.19 최양현 11307
한일 무역전쟁과 깊어지는 한일 갈등 file 2019.08.19 윤대호 11650
달라진 미국 비자 발급... 내 개인정보는? file 2019.08.16 유예원 15531
일본의 교과서 왜곡과 영유권 주장 file 2019.08.16 백지수 15130
일본의 경제 보복, 그 진실에 대하여 file 2019.08.12 박고은 14142
플라스틱 폐기물에 전 세계가 몸살 file 2019.08.05 유승연 13843
좁혀지지 않는 일본과의 갈등 file 2019.08.05 백지수 13739
날마다 변화하는 “매미나방의 피습” file 2019.08.05 김선우 13021
칭다오 세기공원의 한글 사용 실태 file 2019.08.02 유채린 15315
시민의식,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8.01 엄태강 18151
스마트폰 중독,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8.01 유재훈 13100
가게에 직원이 없다? 커져가는 키오스크 시장 file 2019.08.01 김사랑 18175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9340
이제는 종이컵이 아닌 리유저블컵 1 file 2019.07.31 방민경 15535
아이들이 듣는 성차별 언어 1 file 2019.07.31 김현지 13855
일본과 한국, 또 다른 갈등 2019.07.30 이지환 11620
일본 불매운동의 시작, 그리고 의문 file 2019.07.29 안광무 18242
"NO JAPAN" file 2019.07.29 김의성 15835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3504
오랜 침묵을 깬 국제앰네스티, '군형법 제 92조 6조항을 폐지하라' 2019.07.19 신주한 11365
일본 수출 규제와 한국의 불매운동 5 2019.07.19 양지훈 19260
국제우주정거장의 민영화 file 2019.07.15 이민재 14247
과연 우리가 사는 곳은 보안이 잘 지켜지고 있을까? file 2019.07.15 신여진 12803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5667
세금은 왜 내야 하는 걸까? file 2019.07.11 송수진 15903
미국 수능 SAT의 불편한 진실 file 2019.07.03 이민재 14349
모두의 은행, 블록체인 1 file 2019.07.02 봉하연 12851
유기견들의 다양한 기다림 그리고 인내 file 2019.07.02 정수민 12568
정규직과 비정규직에 대해서 file 2019.07.02 송수진 13623
조현병, 사회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file 2019.07.01 박경주 13394
세종시 공공임대아파트 분양전환 갈등 2019.06.27 황수빈 174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