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조선 최고의 식목왕, 정조

by 4기최지민기자 posted Feb 28, 2017 Views 1597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green-719106_960_720.jpg

녹색 도시 [이미지 제공=IsaThalheim]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녹색 도시에 대해 들어보신 적 있나요? 녹색 도시의 조성은 산업화로 병든 지구를 고쳐내기 위해 사람들이 과거 선조들이 살았던 환경처럼 우리 생활 공간 내의 녹지를 풍부하게 키워내려는 움직임입니다. 이 추세에 따라 현재 세계 곳곳에서 식재, 즉 나무 심기의 문화는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산업화 이전 우리 선조들의 역사에서는 식재 문화가 어떻게 나타났을까요? 지금부터 여러분과 조선으로 들어가 이를 탐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타임머신.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최지민기자]


  우리가 흔히 아는 45일 식목일은 조선 제9대 임금 성종이 친경한 것을 기념하는 날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때부터 매년 식목행사가 열렸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가장 실제적으로 식목 문화를 선도한 왕은 누구일까요? 바로 조선의 중흥을 이끈 것으로 유명한 정조입니다.



Portrait_of_Jeongjo_of_Joseon.jpg

정조 초상화 [이미지 제공=Sithijainduwaraparanagama]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정조는 모든 환경 관리의 근본이 식목에 있다고 생각했는데요. 일례로 "홍재전서"에 따르면, 산 보전을 위해서는 관리보다 식목이 더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산이 무너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었다는데요.


  그래서 정조는 관리들에게 나무심기를 굉장히 엄격하게 시행했습니다. "비변사등록"에 따르면 한 번은 지방관과 병사가 소나무를 심으라는 명령을 따르지 않았더니 파직시켰다고 합니다. 또 반대로 "대전통편"을 보면 소나무 1,000그루를 심어 키운 사람에게 상을 내리며 식재를 유도하기도 했다는데요. 이처럼 정조는 당근과 채찍을 효율적으로 사용해 나무심기를 관리했으며, 그에 대한 정보를 철저히 조사하면서 식재를 중시하였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정조는 왜 이리도 지극정성으로 나무를 심게 된 걸까요? 당시 나무는 백성들의 생계유지와 직결되는 존재일 뿐만 아니라 자식을 대신하여 부모를 지킨다는 의미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를 여의고 그에 대한 효심으로 식목을 시작했는데, 그것이 결국 백성의 행복을 추구하며 ,그들의 미래를 준비하는 임금이자 어버이로서의 식목으로 이어졌다고 합니다. 그 증거는 사도세자의 무덤 근처에 위치한 수원화성의 녹지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화홍문.jpg

수원화성 [이미지 제공=Thomasrhee]

-저작권자로부터 이미지 사용 허락을 받음


 가장 처음에 제가 언급했던 이야기로 돌아가 봅시다. 녹색 도시. 정조가 현재 녹색 도시를 추구하는 우리 현대인들에게, 남겨진 울창한 녹지를 통해서 어떤 교훈을 전해주고 있는 것일까요?


  백성과 환경을 살리는 식목을 열정적으로 추구했던 정조라는 인물. 나무에 깃든 그의 얼과 정신은 자연과 인간 모두가 어울려 사는 이 녹색도시를 진정으로 건설하기 위한 일종의 지침을 제시해주고 있을 것입니다.

 정조의 사람에 대한 사랑과 관심, 그리고 환경에 대한 애정.

 그것이 바로 그에 대한 답이 아닐까요?



위의 이미지는 사용 허락을 받은 사진(이미지 제공)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4기 최지민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3.03 01:32
    정조하면 화성밖에 생각나지 않았는데 환경관리와 녹색도시에도 많은 업적을 남겼다는 점이 놀랍네요. 전 세계적으로 많은 수의 나무를 베어서 환경파괴가 심각한데 조상들의 지혜에서 배울 수 있듯이 환경을 아끼고 보존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최지민기자 2017.03.06 23:37
    기사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환경과 관련된 정조의 업적을 많이 알고 가게 되시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네요~
  • ?
    4기최윤경기자 2017.03.03 20:16
    정조가 식목문화를 선도했는지 오늘 처음 알게 되었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ㅎㅎㅎ
  • ?
    4기강단비기자 2017.03.05 15:46
    정조에 대해 몰랐던 것을 알 수 있게 된 유익한 기사였어요. 재밌게 읽고 갑니다. 오늘날 필요할 태도에 대한 과거의 지침서가 있었군요. ^_^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7576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8418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99011
쿠키 하나 속 따뜻한 마음 1 file 2017.09.29 조영서 16164
WORLDCUP IN KOREA 2 file 2017.03.12 박승재 16164
5.18의 정신, 하나로 달리는 마라톤 file 2016.05.22 3기김유진기자 16163
나눔의 가치를 알리는 청소년들, 남양주시 청소년 자원봉사 홍보단! 1 file 2017.02.22 정현지 16162
논란의 중심에 선 생리대, 그 해결책은? 1 file 2017.09.21 주은비 16159
얼마 남지 않은 프로야구 개막, D-2 file 2018.03.23 최민주 16155
10대의 화이트데이는 '별 의미없는 날…'이다? file 2017.03.17 권나규 16155
프로야구, 최악의 위기를 맞이하다 1 2016.11.14 김지현 16153
우리의 아픈 역사가 있는 곳, 서대문형무소를 다녀오다 6 file 2017.02.23 한유진 16152
“RISE”, 워싱턴 대학에서 개최한 설날 축제 2 file 2017.02.20 이민정 16151
수면·명상 앱 코끼리, 10월 세계 정신건강의 달 ‘감정 일기 쓰기’ 캠페인 진행 file 2022.10.24 이지원 16150
WWDC 2017 애플 또 다른 변화 file 2017.06.06 한윤성 16150
내 상사가 유튜버라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2 file 2020.06.15 류혜성 16149
최북단 동해바다와 금강산이 함께 숨 쉬는 곳, 고성 통일 전망타워 방문기 file 2019.03.08 진시우 16149
마음의 양식, 독서 1 file 2018.12.07 서인하 16148
`2018 화순 국화향연`이 펼쳐지다 file 2018.11.29 조햇살 16148
추석 연휴 뒤, '명절 증후군' 극복법 1 file 2016.09.17 김혜린 16148
겨울궁전으로 본 러시아의 역사 file 2018.04.02 장세은 16143
할머니의 마음에도 광복이 올까요? 2 file 2017.10.09 최효설 16143
100m 안에만 3군데… 그 이유는? 9 file 2017.02.25 정세은 16142
우리가 직접 부모를 고르는 시대, ‘페인트’ 2 file 2019.10.29 송이림 16141
독도를 위한 반크의 움직임, 디지털 독도 외교대사 발대식 ! 1 file 2016.04.11 황지연 16141
게임과 만화마니아들은 다모여라~!. "코믹월드" 7 file 2017.02.21 전현동 16140
뜨거운 감자 ‘연예인 SNS’, 제한 필요한가? 7 file 2017.04.10 김현정 16138
광주 트라우마센터 치유의 인문학 시인 박준, "슬픔은 자랑이 될 수 있다" 1 file 2017.09.25 이세림 16132
성추문의 케이시 애플렉, 우리는 그저 그를 축하해야 하는가? 1 file 2017.02.27 한지나 16123
일제의 탄압을 이겨낸 민족의 목소리 file 2016.06.12 전지우 16123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6122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스키점프에 관한 거의 모든 것 2018.03.02 김종원 16122
청소년이 청소년에게, 2016수원화성방문의 해 file 2017.02.25 양수빈 16120
라라랜드를 걷어찬 엠마왓슨의 복귀작 미녀와야수 1 file 2017.03.24 김민재 16119
왜 우리에겐 페미니스트 선생님이 필요할까. 3 2017.09.20 박수지 16118
어린이들의 날! 다양한 체험과 함께하다 1 file 2016.05.12 황지연 16117
소프트웨어, 체험하면서 배워요! '2018 광주SW 체험축전' file 2018.11.12 손민경 16116
역사 속으로, 동래읍성 역사축제 file 2018.10.18 유채영 16114
부활하는 한국 축구.. 벤투호에 거는 기대 1 file 2018.10.01 이준영 16112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6107
국제청소년교류캠프... 이번 강원도 평창에서 열리다. file 2017.10.30 김예진 16106
2018 평창올림픽, 경기에 대한 해외 반응은? file 2018.03.05 김세현 16105
'맛있으면 0칼로리!' 2017 서울 디저트 페어-초코전 열려 14 file 2017.02.14 유현지 16102
두산베어스 또 한번 정상에 서다 1 file 2016.11.04 김나림 16102
다문화의 바람, 맘프 file 2018.04.05 김세영 16098
아름다운 '스칸디나비아반도'로의 여행! 1편- 핀란드 2017.09.01 김성미 16097
[MBN Y Forum] 불가능을 잊고 즐겼던 2017 MBN Y Forum 2 file 2017.03.04 박수연 16096
K리그 안의 또 다른 재미, 경인(인경)더비! 1 file 2018.04.09 김도윤 16095
전주하면 비빔! 전주비빔밥축제에 가다 1 file 2018.11.02 김수인 16094
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 노래하는 바람개비 2017.09.26 안세은 16094
'포켓몬 고'안전불감증, 이대로 괜찮은가 7 file 2017.03.01 성유진 160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