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계속되는 남성 성추행 논란, 이유는?

by 4기정주연기자 posted Feb 15, 2017 Views 159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G_3420.JPG최근 한 팬덤 사이에서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었다. 그것은 바로 그들이 좋아하는 가수를 성희롱한 것이다. 한 팬이 1년 동안 꾸준히 한 남자 가수에 대해서 성기 농담, 성 소수자 농담 등등 지나친 성희롱적 발언과 더불어 사실 왜곡을 했다는 것이 화근이었다. 하지만 이것은 비단 한 열성 팬 사이에서만 일어나는 일은 아니다. 몇몇 방송 프로그램에서도 남자에게 첫 경험이 언제예요?’와 같은 성적 농담을 해도 그게 뭐 어때서?”, “남자가 쩨쩨하게 그런 거에?가지고 연연해 하나?”등과 같은 반응을 보이는 것이 다수입니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주연 기자]

이렇게 남성들에게만 관대한 성적 농담이 빈번히 발생하는 이유는 사람들의 인식 문제점뿐만 아니라, 처벌이 강하지 않기 때문도 있다. 한 예로, 최근 한 프로그램에서 여자 개그우먼인 A씨는, 한 남자 가수의 성추행(남성 성기를 만지는 묘사)을 한 것과 같은 영상이 올라왔다. A씨는 뒤늦게 사과문을 올리고 해당 프로그램을 하차했지만, 경찰 조사를 받고 결국 무죄로 풀려나고 말았다. 하지만 과연 남성 연예인이 이와 같은 짓을 여자 가수에게 했어도 이와 같은 반응이었을까라는 의문점이 든다. 아마 그 남자 연예인은 해당 프로그램 하차는 물론, 다시는 연예계에서 활동을 못했을 수도 있다.

지금까지 대한민국은 남성 성희롱에 대해서 외면하거나 무시하기 일쑤였지만 성희롱은 대상이 누구든지에 관계없이 불편함을 느껴야 한다. 또한, 단순히 극성 지지자들의 발악, 또는 재치있는 농담’, ‘쿨한 농담으로 여겨서도 안 된다. 또한, 연예인들에 대한 성희롱 범죄의 처벌 역시 강화해야 한다. 이렇게 개인적으로, 국가적으로 노력할 때 비로소 성희롱이 중대한 범죄라는 것을 깨닫게 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4기 정주연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추연종기자 2017.02.16 01:31
    여성성추행보다는 상대적으로 남성성추행은 그냥 넘어가는 경향이 있는것 같습니다. 이러한 잘못된 사회적 인식들을 그냥 넘기기 보다는 자신도 당할 수 있다고 생각하며 적극적으로 고치기 위해서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습니다. 좋은기사 잘 읽고갑니다.
  • ?
    4기이세화기자 2017.02.16 16:25
    사회가 여성이 남성을 성추행하는것에 비하여 남성이 여성을 성추행하는것을 더 안좋은 인식으로 본다는 사실은 부인할수 없는 진실인것 같습니다.남성성추행의 심각성을 알수 있는 기사였습니다.좋은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4기오경서기자 2017.02.16 16:31
    그 주체의 성별에 관계없이 상대에게 모욕감을 주는 성희롱은 장난이 아니라는 인식이 사람들에게 필요할것 같아요. 또 대중들에게 매체를 통해 영향력을 행사할수있는 연예인들은 특히 자신들의 언행에 있어 조심해야 할것입니다. 좋은기사 잘봤어요!
  • ?
    4기유림기자 2017.02.19 19:00
    사회에서 여성 성추행 논란이 남성 성추행 논란보다 더욱 큰 것이 사실입니다. TV 프로그램에서 위 기사 내용처럼 성희롱, 농담등이 오갈 때마다 '남자와 여자의 입장이 바뀌었더라면 이렇게 웃음으로 넘기진 않았을텐데'라는 생각이 듭니다. 사회의 이런 평등하지 않은 인식이 하루 빨리 바뀌길 바라는 바입니다. 좋은 정보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79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64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622
고 김용균, 비정규직의 안타까운 죽음을 애도하다 file 2019.01.28 최경서 9628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438
계속되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부동산 가격 떨어지나 2021.12.28 유지훈 7154
계속되는 폭염,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2 2018.07.25 김성백 10899
계속되는 제주 난민수용 갈등, 어느것이 옳은 선택? 2018.07.26 고유진 9951
계속되는 엔화 환율 하락… 이유는? file 2018.01.03 유진주 13836
계속되는 소녀상 수난, 대책 서둘어야... 3 file 2017.03.13 박현규 10960
계속되는 남성 성추행 논란, 이유는? 4 file 2017.02.15 정주연 15948
계속되는 계란의 수난, 이제는 찬밥 신세 file 2017.08.27 한채은 10493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588
계속되는 '욱일기' 논란... 욱일기는 무엇인가? file 2017.03.18 허재영 13763
계속되는 'ME TOO' 운동, 이대로 괜찮을까? 1 2018.04.20 윤예진 12157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361
경찰, 경희대 국제캠 총학생회 '업무상 배임 혐의' 내사 착수 file 2023.05.16 디지털이슈팀 6724
경찰 머리채 논란 과연 과잉대응이었을까? 1 file 2018.09.03 지윤솔 11255
경제효과 5조 원, ‘방탄이코노미’ 1 file 2019.12.11 백지민 11220
경제학이多 - 후생경제학 1 file 2018.10.25 김민우 16115
경제학이多 - 행동경제학 file 2018.10.19 김민우 16151
경제학이多 - 정보경제학 file 2018.11.01 김민우 15881
경제학이多 - 미시경제학과 거시 경제학 file 2018.10.15 김민우 22105
경제학이多 - 마르크스 경제학 file 2018.11.05 김민우 15659
경제학이多 - 국제경제학 file 2018.11.12 김민우 15415
경제학이多 - 경제학의 흐름 2 file 2018.11.23 김민우 18779
경제를 움직이는 빨대효과 file 2019.02.19 김해인 11958
경제가 시사하는게 ISSUE - 통일과 합리적 선택 file 2018.10.01 김민우 16306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터키 리라화 급락과 환율 시장 file 2018.08.22 김민우 14412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최저임금 제도와 정부의 개입 1 file 2018.08.20 김민우 13928
경제가 시사하는 게 ISSUE - 공급과 공급의 탄력성 file 2018.08.27 김민우 17205
경제 성장과 환경 보호, 중국이 쥔 양날의 검 3 file 2018.05.11 김명진 11672
경상북도 안동에서의 위안부 소녀상 건립, 그 미래는? 1 2017.07.01 윤나민 11822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744
경기도지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20대 대통령 후보로 확정 file 2021.10.15 고대현 7239
경기도 야간자율학습 폐지 찬반논란 1 file 2016.10.23 박채운 18158
경기도 6개 시 vs 정부, 치열한 공방전 file 2016.05.24 김지율 14469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9392
격화되는 G2 무역전쟁, 그 위기 속 해결방안은... file 2018.11.20 이유성 14943
격해지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과 유승민 전 의원의 표절 공방 file 2021.09.27 송운학 10295
겨울철 끊이지 않는 레저스포츠사고,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8.03.01 강민지 11040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719
게놈, 코로나19를 종식시킬 수 있는 키 file 2020.09.07 김정원 7781
검찰 개혁,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2017.05.19 한훤 9326
건국대, 학과 통폐합 강행에...문과대학 학생들 '반발' file 2024.05.06 김태홍 6024
거리로 나온 청소년들과 선거연령 인하 4 file 2016.11.25 김혜빈 16006
거듭된 욱일기 사용 논란, 우리가 예민한 걸까? file 2018.09.27 서호진 14743
거대정당 독식하는 선거제도 개혁해야... file 2018.11.22 박상준 11294
개학이 두려운 학생들-'새 학기 증후군' 13 file 2016.02.25 김지율 16657
개인투자자 급증,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20.04.06 이민기 10241
개인의 문제가 아닌 모두의 문제 2 file 2018.02.21 신화정 110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