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by 4기양민석기자 posted Jan 23, 2017 Views 198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ㅇㅋ.jpg

[사진 제공=삼성전자/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음]


지난해 10월 단종된 삼성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7'의 발화 원인이 오늘 23일 서초 사옥에서 국내외 언론 30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공식적으로 입장을 발표하였다.


삼성전자 측은 "지난 몇 달간 철저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각각의 검증 단계와 제조 물품 보관 등 전 공정에서 원점에서부터 총체적이고 깊이 있는 조사를 했다"라고 설명했다.


고동진 삼성전자 IM 부문 무선사업부장 사장은 "노트7 소손 원인이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최종 분석됐다"라고 말했다.


고동진 사장은 “노트7에 탑재된 두 회사(삼성SDI, 중국 ATL)의 배터리에서 서로 다른 원인으로 발화 현상이 생기는 것을 확인했다”라고 밝혔다. 삼성SDI가 공급한 배터리는 음극 판이 눌리면서, ATL의 배터리는 양극판에 생긴 비정상적으로 큰 돌기가 절연 테이프와 분리 막을 뚫고 음극판까지 닿으면서 발화의 ‘씨앗’이 됐다는 설명이다.


또 "혁신적인 갤럭시 노트7을 만들기 위해서 배터리 사양에 대한 목표를 제시하였고 배터리 설계와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제품 출시 전 최종적으로 확인을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점에 대해서 통감한다"라며 "경영 전반을 걸쳐서 품질 최우선의 경영 체제를 강화하여서 제품 안정성에 있어서 새로운 혁신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8가지.jpg

[사진 제공=삼성전자/ 저작권자로부터 허락받음]


삼성은 "발화 사건 이후 테스트 검사, 제조 품질에 역점을 둔 8단계 프로세서를 만들었다. 그리고 배터리 밀도를 조금 낮추거나 발열 시 전원을 차단하는 기준 온도를 조금 낮추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이어 "노트7에서는 많은 실망감을 안겨드리고 불편함을 많이 끼쳐드렸는데 의미 있는 혁신과 여러분들이 기뻐할 수 있는 그러한 갤럭시 S8으로 소비자에게 찾아가는 것이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모든 임직원이 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KakaoTalk_20170120_174636000.jpg

[사진 출처= 제보자 인스타그램/ 저작권자로부터 사용 허락받음]  발화된 갤럭시 노트7 사진


갤럭시 노트 7은 지난해 8월 예약판매로만 40만 대 이상 팔려나가는 등 국내에서만 100만 대 이상,

전 세계적으로 300만 대 이상 판매량을 올렸으며 노트 시리즈 중 가장 사랑을 받은 제품이다.


하지만 노트7 발화로 신고가 들어왔고 삼성 측은 삼성SDI의 배터리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중국의 ATL 배터리로 교체하지만 계속되는 발화 신고로 인해 10월 삼성은 단종을 선언하였다.


단종을 선언하고 회수한 지 수개월이 흘렸지만, 회수율은 96% 나머지 4%는 여전히 노트7 사용하고 있다. 삼성 측은 안전을 위해서 각 통신사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서 노트7 배터리 충전을 15%까지 제한하였다.


하지만 노트7 사용자들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다던가 핸드폰을 끄고 보관을 해서라도 노트 7을 쓰고 싶다."라고 밝혔다.


차기 스마트폰 갤럭시 S8을 준비 중인 삼성전자는 배터리 안전 검사를 강화하고, 제품 생산의 전문성과 평가의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장치 등을 마련했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갤럭시 노트7로 잃어버렸던 신뢰를 반드시 회복하도록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삼성이 늘 신제품 출시를 해왔던 "MWC(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는 갤럭시 S8을 발표 안 한다"라고 밝혔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IT부=4기 양민석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신예진기자 2017.01.24 22:01
    삼성 스마트폰이 많은 사람들에게 지지받고 애용되어온 상품인만큼 실망이 컸었죠. 이렇게라도 발화의 원인이 밝혀지고 해결하고있다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다시는 이런 사태가 일어나질 않길 바랍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 ?
    4기양민석기자 2017.01.24 22:03
    저도 같은 생각이에요. 갤럭시 s8은 잘나왔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4662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1422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29940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387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1085
청주 서원구 미래통합당 최현호 후보 연이은 아쉬운패배 file 2020.04.28 한재원 9293
청주시 기록적 폭우, 사후 대책은 어떻게? 25일까지 수해피해신고 마감! 1 file 2017.07.24 조영지 12189
청천 프로젝트: 한중 공동의 미세먼지 해결법 2 file 2017.05.24 임형수 12625
청학고 새월호 참사 2주기 추모행사 3 file 2016.04.23 문채하 18687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8268
초·중·고교 사상 초유의 ‘온라인 개학’···문제점은? 2 file 2020.04.02 유시온 9461
초강력 허리케인 '어마', 카리브 해 연안 도서 및 美 남부 강타해 피해 속출 1 file 2017.09.11 이윤희 12552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521
초유의 '4월 개학' 확정 2 file 2020.03.19 류경주 8909
초콜릿은 모두에게 달콤하기만 한 것일까? file 2019.09.23 이채윤 10954
촛불 대통령에게 '레드카드'를 보내다 file 2017.05.16 김소희 11024
촛불과 함께한 모든 날이 좋았다. file 2017.03.20 김윤영 10039
촛불시민에게 ??? 문 대통령 세계시민상 수상 1 file 2017.10.02 문서연 11153
촛불의 시발점, 광화문 3.1운동 100주년 기념 file 2019.03.11 장민주 14207
촛불집회 100일...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나 5 file 2017.02.09 장인범 17678
촛불집회 노벨평화상후보에 오르다? 3 file 2017.04.15 한한나 12293
총기 규제에 대한 미국 내의 두 반응 file 2018.04.05 전병규 12758
총선 국면 돌입한 정치권...국민의힘, 민주 당내 갈등에 이목 쏠려 file 2023.11.22 김도민 4749
총선 투표율, 이대로 안녕한가? 3 file 2016.03.12 고건 18162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8376
최소한의 투표권도 얻지 못하는 청소년,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8.08.13 장혜성 10586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1080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의 변질: 블레임 룩(blame; 비난, look; 주목) 3 file 2017.02.28 조나은 16270
최순실의 특검 자진 출석..의도는? file 2017.02.13 박민선 22110
최악의 폭염, 얼마 남지 않은 골든타임 1 file 2019.01.29 김사랑 10173
최저시급 , 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까? 1 2020.08.21 이가빈 10455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1060
최저임금 상승, 경제 성장을 이룰 수 있을까 1 file 2017.07.25 이가현 14636
최저임금 인상, 양측의 입장 1 file 2017.12.11 원혜랑 12299
최저임금 인상과 자영업자... 그리고 사회적 공약 file 2021.07.15 변주민 10634
최저임금 인상의 문제점 2 file 2018.05.14 유근영 23702
최저임금 차등화, 불붙은 논쟁 1 file 2018.03.26 조현아 12992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794
최저임금, 정말로 고용에 부정적 효과를 미칠까? file 2020.08.18 이민기 11488
최저임금, 청소년들은 잘 받고 있을까? 2 2018.09.17 박세은 11412
최종적 무죄 판결, 이재명 파기환송심 무죄 file 2020.10.21 전준표 13336
추석 연휴 마지막 날도 진행된 제1354차 수요시위 file 2018.09.28 유지원 16656
추운 겨울, 계속 되는 수요 집회 3 file 2017.02.04 오지은 18763
추위 속 진행되는 ‘촛불집회’, 국민들의 한마음으로 추위를 이겨내다… 15 file 2017.01.14 이윤지 24332
축구계 더럽히는 인종차별, 이제는 사라져야 할 때 1 file 2018.10.16 이준영 12852
춘천에서의 맞불집회..김진태 태극기집회 vs 김제동 촛불집회 3 file 2017.02.22 박민선 30398
충격적인 살충제 계란, 이에 대해 방념한 정부의 대처 1 file 2017.08.25 이어진 11352
치명률 30% 메르스 우리가 예방할 수 있을까? 1 file 2018.09.28 박효민 10160
치사율 100% '아프리카돼지열병' file 2019.06.07 이지수 11715
치솟는 부동산 가격, 9.13 부동산 대책으로 잡나? file 2018.09.18 허재영 10189
치열했던 선거 경쟁, 이후 후보들의 행적은? 2 file 2017.05.25 정유림 105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