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5년 단임제, 4년 중임제? 임기 개헌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by 4기정혜정기자 posted Feb 19, 2017 Views 253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의 국정 농단 논란을 시발점으로 임기 개헌을 비롯해 개헌에 대한 논의가 불판에 올려졌다. 현재 우리나라 헌법상 대통령 임기는 5년 단임제이다. 5년 단임제는 독재를 막기 위한 대책으로 채택되었으나, 재집권이 불가능해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하였을 경우 책임을 물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4년 중임제 등 임기 개헌에 관한 여러 가지 방향들이 여론 내부에서 제시되고 있다.


  그렇다면, 5년 단임제와 4년 중임제는 뭐가 다를까? 5년 단임제는 대통령이 5년 동안 집권할 수 있는 반면에, 재집권이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장기적이고 튼튼한 계획보다는 앞서 우리나라를 끌어왔던 대부분의 정부들이 그러했듯이 단기적이고 표면적인 ‘보여주기 식’ 정책들만 쏟아낼 가능성이 있다. 그럼에도 우리나라가 계속 5년 단임제를 채택해 왔던 이유는 독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4년 중임제는 5년 단임제와는 달리 대통령이 4년 동안 집권할 수 있고, 민심을 얻어 대선에 다시 출마하여 당선될 경우 4년 동안 다시 집권할 수 있다. 5년 단임제에 비해 임기가 짧고, 신뢰도가 높았던 정부가 다시 국정을 이끌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재집권 후 무책임한 국정 운영을 할 수 있다는 문제점도 있다. 현재 미국이 4년 중임제를 채택하고 있다.


  기자는 대통령 임기 개헌에 관련한 민심을 조사하기 위해 2017년 1월 15일부터 18일까지 4일간 포털사이트 폼을 통해 임기 개헌, 개헌 시기, 그 외 국정 운영에 관하여 의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 1.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혜정기자]


  조사 결과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사람은 투표에 참여한 인원 중 과반수 이상인 58%를 차지해 현재 대한민국이 채택하고 있는 5년 단임제를 훨씬 앞섰다. 4년 중임제를 찬성한 응답자들의 응답 이유는 “30년도 넘은 헌법은 21세기 세계화 시대에 맞지 않아서”, “5년의 경우 마지막 즈음에 책임감이 결여될 수 있어서”, “4년 동안의 국정을 평가하고 연임을 정할 수 있어서”, “여러 정책을 시행하는 데 장기적인 시간이 요하기도 해서” 등으로 앞서 말했던 4년 중임제가 정치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는 장점에 주목한 사람들이 많았다.


  반면에 5년 단임제를 찬성한 사람들은 “독재를 막을 수 있어서”, “단임제가 깔끔해서”, “나라의 정책시행과 결과를 확실히 할 수 있는 기간이 필요해서” 등의 찬성 이유를 밝혔다. 일부는 5년 단임제를 유지하되 1년마다 평가회를 거쳐야 한다는 의견도 밝혔다. 그 외 기타(9%)에 답한 응답자들은 3년 연임제, 4년 단임제, 입헌군주제 등을 제시하기도 했다.


설문조사 2.JPG
[이미지 제작=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4기 정혜정기자]


  임기를 개헌해야 한다고 답한(4년 중임제, 기타) 67%의 응답자들은 개헌 시기에 대해 ‘대선 전(38%)’보다 ‘대선 후(62%)’에 더 많은 응답을 했다. ‘대선 전(38%)’을 찬성한 응답자들은 “대선 전에 마무리 되면 분쟁이나 소란의 여지가 줄어들 것이라서”, “선거 후 개헌하는 것은 부적절해서”, “촛불 민심이 최고조인 상황에서 개헌하는 것이 경제적으로도 유리해서” 등의 이유를 작성했다.


  ‘대선 후(62%)’에 답한 응답자들은 “합의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해서”, “현 시국에서 개헌에 열을 올리는 것은 사회적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라서”, “이 사안을 대선에 정치적으로 이용하는 세력이 발생할 수 있어서” 등의 이유를 제시했다. 대부분은 대선 전에 충분한 합의 후 개헌을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것이 이유였다.


  그 외, 임기 개헌에 관련해 “헌법가치도 국민의 뜻이 반영되어야 한다.”, “권한이 대통령에게 과도하게 집중된 현 제도 개편이 시급하다.”, “국회와 국민의 소통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우리나라 내의 특수한 안보 상황을 고려해 강력한 권력을 가진 대통령이 필요하다면 이원집정부제가 적합하다.”라는 의견을 보인 응답자들도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현 시국에 개헌을 하면 시간도 부족하고 혼란을 가중시킬 우려가 있으니 대선 후 정부의 책임을 물을 수 있는 4년 중임제로 개헌해야 한다는 의견이 도출될 수 있다. 한편 2017년 02월 19일 기준 대선 주자 6명 중 3명(문재인, 이재명, 유승민)이 4년 중임 대통령제를 주장하고 있다.


  대한민국은 입헌군주제, 전제군주제가 아니라 대통령제이다. 대통령은 왕이 아니라, 국민에 의해 선출된 국민의 의견을 대표하는 대표인이다. 국민들은 국민과 소통하는 대통령, 새로운 역사의 장을 열어 줄 정치적·역사적·도덕적 의식을 가진 대통령, 공평하고 봉사하는 대통령을 원한다. 그만큼 대통령의 임기 개헌은 언젠가는 필히 다뤄져야 할 중요한 사안이다. 국민의 목소리를 귀 기울여 듣고, 깨끗하고, 서민들을 위한 대한민국이 되기를 소망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4기 정혜정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6기박우빈기자 2017.02.21 01:16
    5년 단임과 4년 중임, 모두 각각의 장단점이 있는 제도입니다. 설문조사를 직접 진행하셨던 그 열정이 보였던 멋진 기사였던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기자신용휘 2017.02.21 01:35
    평소 관심있던 분야라 관련기사가 없나 찾아보다가 좋은 기사 읽고 갑니다.
  • ?
    5기정예진기자 2017.02.22 16:59
    장단점이 뚜렷한 제도인만큼 아마 많은 고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ㅎㅎ 좋은 기사 감사해요~
  • ?
    4기이하영기자 2017.02.27 02:19
    기사 한편을 쓰시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신 것같고, 본받아야겠다고 생각합니다. 인상깊은 기사 잘 읽고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62321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31865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44836
개발과 교육은 반비례? 위험에 노출된 아이들 file 2019.03.05 한가을 13298
형광등 대신 LED가 선호되는 이유는? file 2019.03.05 심선아 12472
성폭력, 매분 매초 벌어지고 있는 심각한 국제 이슈 file 2019.03.07 배연비 14965
5000년 함께 한 무궁화, 국화가 아니다? 2 file 2019.03.07 박은서 11475
동물 학대와 동물 유기, 해결책이 필요할 때 1 file 2019.03.08 강서희 18181
촛불의 시발점, 광화문 3.1운동 100주년 기념 file 2019.03.11 장민주 12745
점차 진화하는 불법 촬영, 적극적인 대책 시급해 1 file 2019.03.11 안서경 12395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9966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8532
카타르, 고립되다? file 2019.03.18 이솔 9001
여러분은 올바른 마스크 착용하고 계신가요? '올바른 마스크와 마스크 착용법' 5 file 2019.03.20 권규리 15602
게임을 죽이는 게임산업진흥법은 語不成說, 게이머들 "이제는 바뀌어야 된다" 2019.03.25 정민우 10038
'정준영 사건' 2차 가해, 당신도 가해자일 수 있다 file 2019.03.25 전유진 12470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9796
저출산 문제,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3.26 강민성 8941
청년 실업정부의 대책, 청년구직활동지원금 file 2019.03.26 권나연 11376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9688
남북한 정치 차이 과연? 2019.03.27 최가원 17240
남북 경헙의 미래 성공 or 실패 file 2019.03.28 김의성 13027
변화와 격동 속의 인공지능 시대, 어떻게 해야 할까? file 2019.03.28 조원준 9681
우리가 GMO식품을 매일 먹고 있다고? file 2019.03.29 이연우 18729
뛰는 전기차 위에 나는 수소차...? 1 file 2019.03.29 최수혁 9401
뉴질랜드 모스크 사원 테러, 어떻게 된 것인가? file 2019.03.29 배연비 11195
관심 대상의 창원시 성산구 보궐선거 file 2019.04.01 김현우 9488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2023
끝나지 않는 싸움... 쌍용양회를 향한 사투 file 2019.04.01 임승혁 9385
청소년도 쉽게 보는 심리학: ③죄수의 딜레마 2019.04.01 하예원 13786
꽃 피는 3월을 뒤덮은 미세먼지... 그 원인은? file 2019.04.01 노영우 10474
야스쿠니 신사에 묶여있는 대한의 왕자, 홍영군 이우 1 file 2019.04.01 남서현 12207
실시간 검색어에 오르내리는 미세먼지, 과연 무엇일까? file 2019.04.02 이채원 10240
미투 운동 후 1년, 우리에게 묻는다 1 file 2019.04.02 신예린 13575
10년 만에 다시 재조명된 ‘장자연 사건’...청와대 국민청원 3위 기록 1 file 2019.04.05 안서경 12369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파헤쳐보기 file 2019.04.08 서민석 11709
미세먼지,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1 file 2019.04.09 박현준 13458
미세먼지, 넌 어디에서 왔니? file 2019.04.09 이승민 10129
자극적으로 변하는 상표들, 과연 건강한 언어문화일까? 3 file 2019.04.10 김지현 12754
렌즈 사용, 우리의 눈은 괜찮을까? 4 file 2019.04.10 오윤주 14020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6743
우주로 나아가기 위한 한걸음, '인공 잎사귀'에 대하여 file 2019.04.15 전수이 11422
카드사의 3개월, 5개월... 할부 거래의 시작은 재봉틀부터? file 2019.04.16 김도현 14909
헌재, 낙태죄 위헌 판단…향후 대한민국의 미래에 미칠 영향은? 3 2019.04.18 송안별 14097
식민주의가 낳은 피해자들, 로힝야족 file 2019.04.19 이서준 12166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file 2019.04.22 박현준 15120
'오지'는 속도 이제는 5G 시대 file 2019.04.24 나어현 10081
우리나라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해외 사례로는 무엇이 있을까? 2 file 2019.04.24 최민영 19146
부르카(Burka) 착용 금지법, 이제는 우리나라에서도 생각해봐야 할 법률 8 file 2019.04.25 박서연 33287
없어져야 할 문화, 할례 2 file 2019.04.27 이승환 19779
<어벤져스: 엔드게임> 스크린 독점일까? 1 2019.04.29 김민정 1440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