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만 18세 선거권 하향, 그 논란의 주 요지는?

by 5기이지현기자 posted Sep 08, 2017 Views 2054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image_3906028171486458670978.jpg


[이미지 출처=서울특별시교육청 공식 블로그]


최근 만 18세에게도 선거권을 부여하자는 주장이 정치판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현 우리나라의 선거권 연령은 만19세로, OECD 34개 국가들 가운데 유일하게 만 18세가 선거권을 갖고 있지 않다. 또한 전국 232개국 중 215개국, 즉 92.7% 정도가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부여하고 있다고 한다. 이에 세계적 추세에 맞게 선거권 연령을 하향해야 한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이념에 따른 분단국가인 우리나라가 세계적 추세에 따라 섣불리 선거권을 하향하는 것은 아전인수에 불과할 수 있다. 과연 우리나라는 선거권을 하향해야 하는가?
찬반을 나누기에 앞서, 우리나라 또한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부여한 적이 있다. 1940년 시행된 ‘대한민국 임시 약헌’에는 선거 연령이 만 18세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다.
이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의 선거 연령보다 높은 만 19세부터 선거권을 부여하는 것이 민주주의의 퇴화라는 주장이 일 수 있지만 여러 논점을 살펴보면 민주주의의 퇴화라는 이유로 선거권 하향을 쉽게 결정할 수만은 없다.
우선 선거권 연령 하향 찬성 측의 첫 번째 논점은 청소년의 정치 참여의식과 시민의식이 고양되었다는 것이다.
청년들 스스로도 정치 및 선거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위해 2014년 12월에 본격적으로 「청년선거 네트워크」를 설립하였다. 2016년 9월 현재 전국 39개 지역별로 소그룹이 형성되어 Facebook 및 홈페이지를 통해 활동을 널리 홍보하고 있으며 지역별 주요 활동을 보면, 초·중·고등학교에 출장 수업, 성인식에서의 모의 선거 실시, 선거 카페 설치, 정기적인 스터디, 지역 및 대학 축제 참여를 통한 인식개선 사업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을 보면 청소년들이 정치에 관심이 많고 참여하려는 의지가 강한 것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논점은 고령화에 따라 선거권을 확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통계청의 자료에 따르면 2000년 전체 인구 중 20대는 17%, 65세 이상은 7%에 불과하였지만 2010년 통계를 보면 20대는 13%, 65세 이상은 16%로 한국의 고령화가 점점 심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의사 반영이 한국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이 아닌 노년층에게 집중되는 것을 보여주고 이에 따라 청소년층으로의 선거권 확대가 필요해짐을 의미한다.
세 번째 논점은 청소년은 충분한 지적 능력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 청소년 정책 연구원에서 발표한 <청소년 가치관 비교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들의 ‘사회적 이슈나 쟁점, 정치 문제에 대한 관심도’는 100점 만점에 57.7점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사회적 이슈나 쟁점, 정치 문제에 대한 의견 표출 의사’를 가진 청소년의 비율도 2007년 46.2%에서 2010년 54.6%로 증가했다. 이러한 예시는 현재 우리 사회 청소년들에게 정치적 권리를 행사할 판단 능력과 욕구가 충분히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회에서는 선거연령을 18세로 인하하자는 내용의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7건이나 발의된 상태이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또한 2016년 8월 유권자의 참여를 대하기 위해 선거권자의 연령을 현행 19세 이상에서 18세 이상으로 하향 조정하는 내용의 ‘정치관계법’개정 의견을 제시한 바 있다. 정치적 의사 표현은 투표를 통해 최종 결과가 나타나고, 선거는 대의민주제 내에서 국민이 주권을 행사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이기 때문에 선거권을 확대하는 것은 정치적 기본권의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찬성 측은 이런 이유로 선거권 연령을 하향에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하지만 반대 측도 여러 논점이 있긴 마찬가지이다.
첫 번째 논점은 현 선거권 연령은 헌법에 따라 제한한 것이라는 점이다.
헌법 제37호 2항에 국민의 모든 자유와 권리는 국가 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이처럼 국민의 기본 권리는 헌법정신에 의해 최대한 보장되어야 하나, 국정 농단을 더불어 여야 간의 정치 과열의 상황을 고려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두 번째 논점은 재정적 부담이 증대된다는 것이다.
2012년 10월 24일 행정안전부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2012년 대선에서 만 19세 이상 유권자 약 4052만 명의 투ㆍ개표 등에 들어가는 예산은 총 2363억 원이다. 산술적으로 따지면 국내 유권자 1명이 투표하는 데에 5830원이 드는 것이다.  만 18세인 약 64만 명을 토대로 대략적인 계산을 해보면 37억 원의 재정적 부담을 안겨준다.
세 번째 논점은 청소년의 정치적 관심과 이에 대한 노력은 일시적이며 일부 청소년에게 한정되어있다는 것이다.
2016년 10월부터 시작된 촛불 집회에 여러 명의 고등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지만, 전국의 모든 청소년이 그만큼의 정치적 사고를 다 갖추고 있지는 않다. 능동적이고 성숙한 사고를 할 수 있는 청소년은 일부에 불과하며 이조차 정치적 사건으로 인한 일시적 현상일 것을 배제할 수는 없다.
2013년 헌법재판소는 대한민국의 만 18세는 현 민법상 ‘독자적으로 유효한 법률행위를 할 수 없는 자’로, 행위 능력자로 분류되고 청소년은 정치적, 사회적 시각을 형성하는 과정에 있으며 현실적으로 부모나 교사 등 보호자에게 의존할 수밖에 없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토대로 만 18세는 물질적, 정신적 측면에서도 보호자로부터 자유롭지 못해 자기 정체성이 확립되지 못한 상태라며 현 공직선거법에 대해 합헌 결정을 내렸다. 반대 측은 이런 이유로 선거권 연령 하향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명한다.
선거권 연령 하향에 대해 여러 가지 주장을 하며 치열한 토론이 이뤄지곤 한다. 여러 논점을 살펴보면 선거권 연령 하향은 쉽게 결정지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아르헨티나는 2012년 선거권 연령을 18세에서 16세로 하향하였다고 한다. 선거권 연령은 이런 다른 나라의 결정을 따라야 하는 것이 아니라 각 나라의 교육, 정책 등 특수한 실정에 맞추어야 하는데 보수 정당에서 진보 정당으로 정권이 바뀐 현 상황에서 우리나라의 적정 선거권 연령 논란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보일지 기대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5기 이지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5기박지혁기자 2017.09.10 04:41
    만 18세는 정치적 판단력이 부족하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가 꼭 OECD를 따라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만 19세 투표권을 유지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염가은기자 2017.09.10 12:25
    음..모든 상호대립 의견이 그렇듯 각각의 장단점이 있다고 보는데 저는 만 19세 투표권에 찬성합니다. 만18세에는 판단력이 다소 부족한 경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5기김동수기자 2017.09.11 05:09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5기정용환기자 2017.09.12 00:40
    다른분들처럼 저도 선거권을 가지는 나이는 지금이 적당하다고 생각해요.
    제가 봐온 또래의 친구들은 성숙하지 못한 판단을 내릴거 같아서요.
  • ?
    6기오지석기자 2017.09.22 14:01
    18세 이하도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관심과 열정으로 바로 투표행사하기보다는 투표권을 행사하는 19세이상의 사람들과 정치적 상황을 보면서 자신의 정치 판단력을 향상시키는게 먼저라고 생각합니다.
  • ?
    5기한동엽기자 2017.09.24 12:56
    정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것은 어느 나이대이든 존재하며, 그 성숙도를 따지자면 천차만별입니다. 청소년 계층에서도 미성숙한 사람이 분명히 있으며, 어른들 중에서도 미성숙한 사람이 분명히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청소년 계층이 인터넷으로 무분별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서 편협적 시각을 가지게 되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선거권자 계층을 낮추는 것은 이르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26026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29759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642752
힘의 가치 2017.10.10 최지원 11100
희망을 주는 무료 급식소와 취약계층의 피해... file 2020.02.12 정다현 8964
흡연자와 비흡연자, 갈등은 담배 연기를 타고... file 2017.11.29 오태준 15848
흡연부스, 개선이 필요 합니다. 17 file 2016.02.25 최호진 28960
흡연, 줄일 순 없는 걸까? file 2020.08.03 이수미 8425
흔들리던 새벽, 우리도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file 2020.01.06 정다은 10595
흉물속의 리그 file 2016.10.23 한종현 19227
휴가를 반기지 않는 반려견들 5 file 2016.08.11 임지민 16139
후성유전, 이것의 정체는? file 2018.10.22 여다은 12498
황교안의 선택... 그 방향은? 3 file 2017.02.18 최우혁 15432
황교안, 주목해야 할 보수진영의 대선주자 9 file 2017.02.22 김나현 19012
환영받지 못하는 종이 빨대, 이대로 괜찮을까? 4 file 2019.02.25 이하랑 17862
환경을 파괴하는 아보카도? file 2019.06.10 김예진 13324
환경영향조사 마친 나주SRF 결정은? file 2020.05.14 김현수 8434
환경실천연합회, 대기 환경 개선 위한 ‘대기를 살리는 청년들’ 서포터즈 모집 file 2022.06.13 이지원 5768
환경부의 층간소음 해결책..쓸모있나? file 2015.02.10 이광제 40419
환경 오염의 주범 일회용 컵, 정부가 규제한다 2 file 2018.09.11 이승은 14611
확진자 급등세에도 2달만에 봉쇄 완화하는 인도네시아 1 file 2020.06.30 오윤성 15091
화재는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모른다 1 file 2020.09.22 정주은 10301
화재경보기가 울렸을 떄 2 file 2016.05.25 유승균 18972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8404
화장하는 청소년들 4 file 2016.04.24 신수빈 30293
화이트 데이 상술...소비계획 세워야 6 file 2016.03.20 이은아 18913
화성에 원숭이를? 3 file 2016.03.22 백미정 24306
화성 동탄신도시 센터포인트 몰 건물화재 발생, 현재 화재 진압 중... (속보) 6 file 2017.02.04 최민규 20878
화려했던 팬택, 역사 속으로 사라지다 3 file 2017.08.28 정용환 14525
홍콩의 외침, 송환법을 반대한다! file 2019.08.30 박고은 9932
홍콩, 자유를 지키기 위해 거리로 나가다 file 2019.09.02 선혜인 10969
홍콩 시위, 소녀는 왜 싸늘한 시신으로 돌아왔나 file 2019.10.21 박채원 11492
홍콩 국민들을 하나로 모은 범죄인 인도법 file 2019.06.21 이서준 15497
홍콩 국가보안법 발의 이후 변화,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21.09.28 이원희 7057
홍준표 정부·여당과 합의한 의료계에 "합의된 안의 지켜지지 않을 때 투쟁을 해도 늦지 않다" 3 file 2020.09.09 최성민 9243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 "또다시 갈등의 대한민국으로 들어갑니다." 2 file 2018.09.27 마민찬 10491
홍준표 32% 윤석열 25% ‘무야홍’ 실현되나 야권 대선주자 선호도 1위 역전한 洪 file 2021.09.16 이도형 7775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8199
혼밥을 아시나요? 16 file 2017.02.19 민소은 19955
혼란스러운 부동산 문제, 부동산 특위의 해결방안은? file 2021.05.25 백정훈 8059
형광등 대신 LED가 선호되는 이유는? file 2019.03.05 심선아 12460
현실로 다가온 미래 기술 file 2019.04.22 박현준 15087
현대판 코르셋, 이대로 괜찮은가? 2 file 2019.02.22 문혜원 16396
현 러시아 연방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2.01.11 오유환 6737
혁신학교, 시스템을 체계화 해야... file 2017.03.19 김영민 11060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7128
헛되지 않은 우리의 선택, 문재인 대통령 4 2017.05.25 성유진 11582
헌팅턴 무도병이란? 1 file 2020.08.11 이한나 10787
헌정사상 최초 현직 대통령 박근혜 탄핵! 1 file 2017.03.12 장인범 12830
헌정 사상 첫 대통령 파면, 이후 조기 대선은? 1 file 2017.03.10 최예현 12961
헌재소장 임명 부결... 문재인정부 사법개혁 '적신호' 1 file 2017.09.21 고범준 105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