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청소년 봉사활동, 그 논란의 중점에 서다

by 3기조혜온기자 posted Aug 21, 2016 Views 1860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150-701 서울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1) (여의도동, 국회)
CYMERA_20160817_230906.jpg

[이미지촬영= 3기 조혜온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청소년봉사활동은 그 도덕성과 실리 사이에서 갈등을 겪을 수 밖에 없는 지속적인 논란거리였다.


봉사는 국가나 사회 또는 남을 위하여 자신을 돌보지 아니하고 힘을 바쳐 애씀이라는 사전적 의미가 있다. 청소년 봉사활동 바른 인성을 기를 수 있다는 도덕적 관념에 의해 대입(고입, 이하 대입)에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그 본질이 대입이라는 현실과 만나면서 여러 갈등을 불러 일으켰다. 청소년들은 봉사의 마음가짐을 가지지 않고 그저 대입을 위한 단순한 시간 채우기 활동으로 여기고 있는 학생들이 있다.


물론 인성 또한 대학입학에 빠질 수 없는 요소라고는 하나, 아직 다수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가치관이 불분명한 현실인데, 그저 시간을 채우면 인정이 되는 봉사활동을 대입의 지표로 삼는 것은 의미가 없고 봉사의 가치를 떨어뜨리는 주장이 있는 한편, 반강제성을 부여하더라도 청소년들이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활동하므로써 얻는 보람도 무시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 측도 있다.


여기서 또 하나 생각해보아야 하는 쟁점은 학생들의 인식의 문제 뿐만 아니라 봉사의 가치를 느낄 수 있는 활동이 한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흥미를 느끼고 자선적으로 나설 수 있는 봉사활동은 많지 않고, 그런 활동을 접하는 인원도 한정적이다. 1365자원봉사센터에 들어가, 청소년이 참여할 수 있는 봉사를 찾아 보면 어느 시설의 청소, 정리, 문서작성, 공공시설 환경미화 등등의 단순 노동 활동이 가장 많이 등시되어 있다.

이 상황에서 청소년들은 사회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이바지 하는 활동이 아닌 활동을 내켜할리는 만무하다. 물론 공공시설에서의 단순 노동 활동은 사회에 기여가 된다 말할 수는 있으나 그것은 시설 직원들의 임무이지 봉사활동을 하러 온 청소년들이 응당 해야할 일이 아니다.


우리 사회는 숭고한 봉사활동을 대입을 위한 단순 노동으로 만들지 않아야된다.

이에 여러 방향을 숙고하여 청소년에게 올바른 봉사의 의미를 깨쳐야한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 조혜온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구성모기자 2016.08.21 23:06
    저도 느꼈습니다.... 봉사라고 해서 하는 것이지만, '정말 이게 봉사가 맞는 것인가?' 라는 의문이 들 때도 있었습니다. 우리 나라도 기본적인 시간 때우기 틀에서 벗어나 정신적으로 성숙해지는 봉사가 실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6기김나림기자 2016.08.22 20:50
    맞아요...이왕 하는 봉사인거 자신의 진로와 연관이 있거나 보람을 많이 느낄 수 있는 봉사활동을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무조건 학교에서 하라고 하는 시간채우기식의 봉사가 아닌 진짜 봉사를 해보는 게 훨씬 좋을 것 같아요! 학생들의 이슈를 잘 잡아주시고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정가영기자 2016.08.27 00:07
    사실 학생대부분의 봉사활동 목적은 봉사시간 채우기이죠. 그러나 봉사활동을 하면서 느낀것은 분명히 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기사 감사해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92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80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800
설리 '로리타' 논란…SNS의 시대, 표현의 자유는 어디까지? 5 file 2017.02.20 김도영 19607
원자폭탄, 그 시작은 아인슈타인? 1 file 2020.09.21 서수민 19594
계속되는 경기 불황에도 '인형 뽑기'를 그만둘 수 없는 이유 2 file 2017.02.19 이혜진 19588
세월호 사건 2주기 D-23,여러분의 기억속에서는 안녕하십니까 1 file 2016.03.25 임지호 19587
HTTPS 규제, 미디어의 자유를 빼앗아 가는 것은 아닌가 2 file 2019.03.18 배연비 19583
영하 8도... 2016년 마지막 수요 시위 15 file 2017.01.11 유나영 19582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549
공공기관 사칭하는 ‘한국청소년영상협회’ 등장..네티즌 주의 필요 file 2017.12.04 디지털이슈팀 19548
9시 등교,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정책으로 2014.09.22 서유미 19541
지역 아동센터 지원, 이대로 괜찮을까? 9 file 2016.02.22 이하린 19511
일본의 수출 규제 시행 1년, 양국의 계속되는 대립 관계 3 file 2020.07.09 유지은 19492
가좌역 유치가 절실한 저희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2 file 2016.03.24 정향민 19491
최저임금, 어떻게 생각하나요? 2 file 2018.06.08 노시현 19480
화재 발생의 원인, 외장재 및 건물 구조가 영향 크게 미쳐 file 2018.03.01 정예현 19461
청와대 이번에도 압수수색 불허... 그 이유는? 4 file 2017.02.04 구성모 19449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424
삼성 갤럭시 노트 7 발화 원인의 진실 수면 위로 떠오르다!! 2 file 2017.01.23 양민석 19419
국정교과서;무엇이 문제인가? 9 file 2017.01.23 정주연 19406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을 위한 정책인가? 2014.09.22 심현아 19400
일그러져 가는 성의식 file 2016.07.23 유지혜 19368
'수요 시위'를 아시나요? 3 file 2017.03.08 4기최윤경기자 19364
"언니야 이제 집에가자" 7만명의 시민들이 만든 일본군 위안부 영화 '귀향' 눈물 시사회 23 file 2016.02.17 고유민 19350
선화예고를 불안에 떨게 한 의문의 남자의 '성폭행 예고장'......결국 3일 오후 체포되다. 6 file 2017.02.06 박환희 19303
9시등교, 실제 시행해보니......, 2014.09.24 구혜진 19287
필수 한국사, 과연 옳은 결정일까? 11 file 2016.02.20 정민규 19273
9시 등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014.09.21 김현진 1927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270
아침밥 있는 등굣길 2014.09.24 최희선 19259
9시등교 새로운 시작 2014.09.24 김희란 19255
실생활의 많은 부분 기여한 21세기의 기술, '나노기술' 1 2019.02.07 송지윤 19231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215
9시 등교제, 이것이 진정 우리가 원했던 모습일까 2014.09.21 김나영 19212
고려대, 대학생들의 대자보가 시작되다 6 file 2016.02.27 황지연 19193
도를 넘는 북한의 도발, 국민들은 안전한가? 2 file 2017.09.19 윤익현 19184
박근혜 대통령 '세월호7시간' 동안의 행적 25 file 2017.01.11 주건 19146
교과교실제, 누구를 위한 교과교실인가 4 file 2016.05.25 김관영 19144
9시등교 학생들에게 과연 좋을까? 2014.09.21 이세현 19137
증가하는 1월 졸업식의 필요성 6 file 2016.03.06 3기윤종서기자 19129
9시 등교, 앞으로 나아갈 길이 멀다. 2014.09.23 3001 19111
저희는 대한민국 학생, 아니 대한민국 시민입니다. 8 file 2017.01.24 안옥주 19109
청소년들의 음주 문제 '심각' 5 file 2016.03.19 한지수 19099
혼용무도(昏庸無道)인 대한민국, 필리버스터는 왜 등장했는가? 2 file 2016.03.01 최지환 19098
9시등교,가시박힌 시선으로만 봐야하는 것인가.. 1 2014.09.24 안유진 19091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089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9082
필리버스터와 테러방지법, 그것이 알고싶다. 3 file 2016.03.24 김도윤 19071
윤기원 선수의 의문의 죽음, 자살인가 타살인가 10 file 2016.02.21 한세빈 19069
인천공항 노숙자들은 와이셔츠를 입고 다닌다? file 2019.07.31 김도현 1906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 4 5 6 7 8 9 10 11 1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