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패드립', 도대체 왜?

by 3기박채원기자 posted Jul 31, 2016 Views 2192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패드립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 패드립은 패륜드립또는 패밀리드립의 합성어로 부모나 친척 어른들을 개그의 소재로 삼거나 욕을 함으로써 웃음을 유발하려고 하는 것이다. 인터넷 상에서나 현실에서나 절대 삼가야 한다는 것이 상식, 그러나 요즘 유독 청소년의 SNS 활동에서 이러한 불건전한 언어문화가 자주 드러난다. 인터넷이 발달하기 전에도 십대의 언어문화 중 X’과 같은 부모를 욕하는 말은 존재했다. 그런데 인터넷이 발달하고, 이어서 스마트폰이 출시되며 언제 어디에서나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SNS가 발달했다. 시간과 장소를 막론하고 자신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다는 SNS의 이점에 반해 패드립뿐만 아니라 섹드립’, ‘고인드립등 각종 파렴치한 드립의 강도 또한 더욱 심해졌다. 오늘날에는 이런 드립SNS에서 자주 사용하는 짤방으로 만들어져 즐거운 장난으로 희화화되고 있다는 것이 더 큰 문제이다.......png

구글 사이트에서 '패드립' 검색 시 나타나는 각종 이미지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채원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sns 캡쳐.PNG

SNS 캡쳐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채원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도대체 왜?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유교의 영향으로 어른들, 특히 부모를 욕하는 것은 큰 죄로 여겼다. 청소년들은 어릴 때는 높게만 느껴졌던 자신의 부모에게 성장기가 되면서 반항심이 자라기 시작한다. 이런 심리적 배경에서 주위 친구들이 모두 사용해 양심의 가책이 줄어드는 군중심리, 또 남들 사이에서 세 보이고자 하는 인정 욕구로 인해 청소년들은 패드립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패륜적인 장난은 절대 해서는 안 되며, 주위 사람들 가운데 혐오스러운 드립을 남발하는 사람들과는 인연을 길게 맺지 말아야 한다. 패드립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부모와 함께 자신 또한 진정으로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에서 타인을 사랑하는 마음도 비롯된다는 말이 있다. 자신에게 스스로 당당하고 자신감이 있으면, 어떤 상황이든지 누구보다 따뜻하게 가장 자신의 편을 들어줄 부모를 욕할 이유는 없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박채원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713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7114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91407
우리 모두가 알아야 하는 12월 3일, '세계 장애인의 날' file 2021.12.13 이서정 16121
국회의원 배지의 변천사 2021.12.14 강준서 12292
국회의사당 해태상 밑 100년 화이트 와인 file 2021.12.15 강준서 10826
스노든의 태도 <미국 청소년 추천 도서: 스노든 파일> file 2021.12.16 이유진 22337
우리의 영원한 영웅들, UN묘지에 잠들다 2021.12.20 김예린 10184
유명 모델 켄달 제너의 테킬라 브랜드 Drink 818의 양면성 file 2021.12.20 강려원 12445
영국 내 '오미크론 변이' 확산 비상... 꼬여버린 PL 일정 어쩌나 file 2021.12.21 손동빈 9244
카레의 숨겨진 효능 1 file 2021.12.21 김다혜 10150
크리스마스에 관해서 아시나요? file 2021.12.22 이유진 9619
중국 애니메이션! 일본 긴장해라? file 2021.12.22 강민지 11022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마음, 여러분은 가지고 계신가요? 1 file 2021.12.23 민유정 11345
매일 밤 기억을 잃는다면? - 책 : 오늘 밤, 세계에서 이 사랑이 사라진다 해도 1 file 2021.12.27 김하영 14935
스마트도시란 무엇인가 file 2021.12.27 백소윤 12284
초미세 반도체 위한 신소재 합성에 성공... 실리콘 대체 가능성 증가 file 2021.12.27 한건호 12611
다가오는 2022년, CES에서 확인하라 file 2021.12.27 이준호 10027
자유를 위한 고귀한 희생 file 2021.12.29 허정희 10213
올림픽의 열기는 어디로... '난장판' 되어버린 'IBK 기업은행 배구단' 1 file 2021.12.29 신현우 10108
항공기의 기본적인 특성을 아는것은 미래를 위한 투자다 file 2021.12.31 박재현 9487
변화하고 있는 필리핀 골프문화 1 file 2021.12.31 최윤아 13479
"OTT" 무슨 말인지는 모르지만 모두가 알고 있는 것 file 2022.01.03 오은진 14615
나만의 향을 기억하다, ‘향수 만들기 클래스’ file 2022.01.03 조민주 13074
곧 시작될 새 학기! 입을 교복, 입고 있는 교복: All about 교복 1 file 2022.01.05 김유진 9947
얼음덩어리의 내부가 하얀 이유 file 2022.01.10 김다혜 15374
일반인들의 우주, 도래할 것인가 file 2022.01.13 현예린 16819
내 집 마련 부스터, 주택청약종합저축 file 2022.01.17 이서현 14116
즐거움을 낚다, 제12회 파주 송어축제 file 2022.01.21 최은혁 12542
남산타워 조명으로... 대기오염 정보를? file 2022.01.24 김명현 10697
“장난감은 언제나 현실의 또 다른 모습이다”, 신비한 장난감 가게 : 작은 것들의 큰 이야기 file 2022.01.24 김진영 11126
영화관 매출 내리막, 극복할 수 있을까? file 2022.01.24 박예슬 10050
"22년에도 흥행 이어간다!"... 넷플릭스 2022년 신작 라인업 공개 file 2022.01.24 손동빈 16677
메타버스(Metaverse)가 무엇인가요? file 2022.01.24 허민영 12450
'별다꾸' Z세대, 이제는 케이크도 꾸민다 1 2022.01.25 김지민 14210
급작스러운 넷플릭스의 주가 폭락, 그 원인은? file 2022.01.25 서승현 9477
설날은 우리나라만 있는 것이 아니다? 1 file 2022.01.25 이유진 10918
여보, 아버님 댁에 친환경 콘덴싱 놓아드려야겠어요 file 2022.01.25 김하영 11545
올바른 다이어트란 뭘까? 1 file 2022.01.26 권소연 11831
초콜릿은 사랑의 묘약? - 호르몬이 부리는 감정의 마법 1 file 2022.01.26 김상우 11216
SNS 형 독서 기록 어플 텍스처 알아보기 file 2022.01.26 김승원 13415
필리핀 인터넷 쇼핑의 변화 file 2022.01.26 최윤아 11942
모두를 위한 신비로운 힐링 판타지 '달러구트 꿈 백화점' 1 file 2022.01.27 신유빈 9926
차세대 전자여권, 어떤 점이 달라졌을까? 1 file 2022.01.27 민유정 10633
생명을 위한 관심, 헌혈이 필요한 시기 file 2022.01.27 임나연 11991
요즘 팬덤 문화의 핫이슈 '포카'를 들어보셨나요? 1 file 2022.01.27 정하윤 14106
거대한 방주와 망망대해에서 펼쳐지는 신비하고 짜릿한 모험 [노아의 방주 2: 새로운 세계로] 2022.01.27 여인우 10463
팬데믹 속 숨통이 되어주는 문화생활 1 file 2022.02.03 임민영 8619
인텔. 12의 완성 file 2022.02.03 이준호 11979
2021 터키 앙카라대학교 한국어 문학과 중심 한-터 학생 간 언어교환 모임 소식 file 2022.02.03 김승권 10832
MBN Y포럼, '수제맥주 창업가·36살 은퇴 파이어족' 소개된다...오는 16일 개최 file 2022.02.07 디지털이슈팀 94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