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동주' 별을 스치는 바람

by 3기조혜온기자 posted Jul 25, 2016 Views 1638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110-030 서울 종로구 창의문로 119 (청운동, 윤동주문학관)
KakaoTalk_20160725_21373504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조혜온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영화 '동주'로 다시금 우리에게 비춰지고 있는 일제강점기 비운의 시인 '윤동주'


윤동주는?1917년 12월 30일 중국 길림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소학교시절부터 동시와 시를 써내려갔고 연희전문대학교(현 연세대학교) 문과에 입학하여 문학에 대해 심층있는 사고를 키워나갔다. 연희전문 문과를 졸업한 윤동주는 1942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대학 문학부 영문과에 선과로 입학하였다. 그러다 1943년 7월 윤동주는 방학을 맞아 고향으로 돌아갈 준비를 하던 중에 송몽규과 함께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광복을 맞이했던 해인?1945년 2월 16일 후쿠오카형무소에서 29세의 짧지만 굵은 생을 마감하였다.


본 기자는 서울시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윤동주문학관을 찾았다.

이 문학관은 2012725일에 개관하였으며 윤동주 시인의 사진자료와 친필원고, 시집, 당시에 발간된 문학잡지 등을 전시하고 있다. 또한 문학관에서 주최하는 시낭송회와 음악회, 백일장 등이 열리며, 문학관 뒷편 인왕산 자락에는 윤동주 시인의 언덕이라는 이름의 작은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또한 2015년에는 국가보훈처 현충시설로도 지정되었다.?윤동주 시인이 연희전문학교에 재학 시절 이곳에서 가까운 누상동 9번지 소설가 김송의 집에서 후배 정병욱과 함께 하숙생으로 살았으며 당시 그의 대표작인 별 헤는 밤, 자화상 등의 작품을 남겼다.


본 기자가 방문한 날에 개관 4주년 기념 행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행사의 제목은 '별을 스치는 바람' 즉, 서시의 마지막 구절을 인용한 글귀였다. 또한 송뭉규의 조카인 송유혜씨가 청운도서관에서 특별강연을 진행하였고 시인의 언덕에서는 윤동주의 시에 멜로디를 넣어 낭송및 내레이션과 함께 시노래극을 공연하였다.

이처럼 윤동주문학관은 윤동주 개인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주민들의 문화 향유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이를 윤동주가 보고 있다면 그는 부끄러움을 한 줌 덜어내지 않을까 생각하여본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조혜온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15505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12956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34853
뉴스 제작 과정에서부터 뉴스는 객관적인 것이 아니라고? 2020.08.26 송민서 14335
뉴 챔피언이 되어라! 영웅들의 순탄치 않았던 이야기 file 2018.03.03 김지수 15223
눈의 의지로 별을 기리다. file 2017.03.25 임소진 14372
눈에 넣는 일회용 인공눈물, 독을 넣고 있지는 않은가 file 2021.07.26 김정희 13962
눈부신 발전, 그 뒤편의 아픔을 추억하다…일본 고베 항 지진 피해 메모리얼 파크 1 file 2017.03.02 조지원 19086
눈물샘 자극 한국 영화 추천 TOP3 file 2020.05.27 조기원 16051
눈과 입이 즐거운 '밤도깨비 야시장' file 2018.05.16 마하경 14445
눈과 발을 이끄는 정월대보름행사 열리다! 3 file 2017.02.12 강진경 19763
눈과 귀가 모두 호강하는 '반고흐 인사이드 : 빛과 음악의 축제' 1 file 2016.03.25 최민지 17769
눈 위의 마라톤, 평창동계올림픽 크로스컨트리 경기를 보러 가다. 6 file 2018.02.22 마준서 15873
누적 관객 수 94만 명 돌파 영화 '증인'과 함께 보는 자폐에 대한 오해 그리고 배려 5 file 2019.02.20 하지혜 21577
누구보다 소중한 나이기에, 『미안하지만, 오늘은 내 인생이 먼저예요』 2 file 2019.02.28 최은진 16041
누구든지 그림 동화책 작가가 될수 있어요! file 2016.08.25 이도균 16381
누구나 할 수 있는 즐겁고 재미있는 초간단 과학실험 3 file 2015.03.08 홍다혜 35586
누구나 할 수 있는 이색적인 버스정류장 기부 6 file 2017.02.19 4기기자전하은 15435
누구나 참여가능한 감동 캠페인, 나의눈이 당신에게 약속합니다 EYE PROMISE YOU 2 file 2017.04.25 김혜원 22583
누구나 알기에, 의미를 잘 분별해서 들어야 할 동요, '우리 집에 왜 왔니' 2 file 2019.07.25 유예원 17687
누구나 쉽게 참여하는 식량문제와 환경문제 캠페인 1 file 2017.04.29 4기기자전하은 15640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 1위 '주토피아'! 2 file 2016.03.21 김민지 21711
누구나 도전할 수 있는 콘텐츠 제작 1 file 2017.02.22 이현중 12902
누구나 대한민국의 대사가 될 수 있다? 반크 글로벌역사외교대사 발대식 열려 file 2017.07.22 장서연 15864
누가 누구를 조종하는가, '쓰릴미' file 2017.04.25 고다연 15243
누가 '동장군'을 화나게 했나 10 file 2017.01.14 권지민 15921
뇌의 눈, 육감 file 2017.05.25 최서은 16783
뇌사=죽음? 1 file 2017.04.25 하영서 18805
높은 금리의 금융상품 고르기 file 2017.09.21 박나린 18712
높아지는 축구 열기, 한국 축구의 봄날이 오다 1 file 2019.03.28 이준영 19817
농업에 과학을 더하다 ‘도시형 스마트팜’ file 2021.07.16 신지연 13016
농업선진국을 향한 도약, 스마트팜(smart farm) file 2017.03.18 오지현 21281
놀자 페스티벌에서 놀자!! file 2016.05.24 김보현 15372
놀이기구 속의 숨은 과학 1 2017.07.04 장민경 21541
놀 수 있는 몬스터, '스포츠 몬스터' 1 file 2017.11.30 이예준 23205
논란의 중심에 선 생리대, 그 해결책은? 1 file 2017.09.21 주은비 15566
논란의 유튜브 예능 '가짜 사나이' 계속된 논란에 결국 방송 중단 2 file 2020.10.19 홍재원 23162
논란의 PRODUCE 101 시즌 2, 이대로 괜찮은가? <pt 1. 비정규직 편> 2 file 2017.05.15 박소이 18579
논란과 화제의 중심. Mnet '고등래퍼' 4 file 2017.02.27 최진혜 25090
논란 많은 선거인단 제도, 왜 바뀌지 않을까? 1 2020.11.30 이유진 16460
녹슬지 않는 철? 1 file 2017.03.21 손시연 17469
녹색교육센터, 2022년 글쓰기로 마음을 키우는 숲놀이터 '글꽃숲' 글 모음집 발간 file 2023.01.02 이지원 82453
녹둔도를 아시나요? file 2017.05.24 유한나 15297
노회찬 "1987년식 자동차를 고수할 것인가, 최신형 2017년식 자동차를 구입할 것인가." 6 file 2017.01.25 곽다영 14380
노원 지역 청소년이 기획·운영하는 청소년마켓, 청소년아티스트장 ‘절대 지켜’ 개최 file 2022.09.16 이지원 9074
노스페이스의 뉴 페이스 1 file 2021.11.26 김지민 10756
노숙자분들을 위한 쉼터, 바하밥집에서의 봉사 file 2016.09.03 오지은 18981
노션, 첫 브랜드 캠페인 ‘인생의 모든 순간에’ 진행 file 2022.08.12 이지원 9989
노벨문학상의 대혁명 file 2016.10.27 김나림 15627
넷플릭스 화제작 "에밀리 파리에 가다"...전 세계 프랑스 돌풍을 불러오다 file 2021.05.10 박시현 11910
넷플릭스 vs 디즈니,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OTT 서비스는? file 2020.10.29 권유경 129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