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KOICA 지구촌체험관 제4기 청소년 도슨트

by 4기손제윤기자 posted Jul 25, 2016 Views 17986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6월 27일부터 7월8일까지 12일간 지구촌체험관 홈페이지에서 신청서 작성 후 서류 심사를 통해 'KOICA 지구촌체험관 제4기 청소년 도슨트'를 모집했다.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 총 30명의 학생이 합격하여 7월 23일부터 8월 13일까지 4주간의 양성교육과 지속적인 도슨트 활동을 통해 지구촌의 여러 문제를 이해하며 책임감을 지닌 세계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 최종 교육을 수료한 청소년은 KOICA 지구촌체험관에서 9월부터 약1년간 직접 전시 도슨트 활동,교육및체험 프로그램 지원, 자료 개발하기 등을 하며 실질적인 봉사활동의 기회를 가지게 된다.

코이카1 (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손제윤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7월 15일 합격 메일을 받은 30명의 학생들은 7월 23일 KOICA 지구촌체험관에서 4주간의 양성교육 중 제1차 청소년 도슨트 오리엔테이션을 가졌다. 박보람 기획관님의 오리엔테이션을 시작으로 정규환 관장님의 환영사, Ice Breaking 및 팀원 소개, 진동현 팀장님의 KOICA 소개 및 ODA강의, 서정원 팀장님의 지구촌체험관 전시 소개 등 도슨트에 대한 활동 지침을 알려주었다. 첫번째 활동지침은 지구촌체험관 까페에 가입하여 자기 소개와 교육 후기를 성실히 작성하는 것이다. 교육을 불참하거나 과제를 미시행하게 되면 수료증을 발급받을 수도 없고 교육 후 봉사활동에도 참여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지구촌체험관 청소년 도슨트에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모든 활동에 성실히 참여할 수 있는 책임감이 필수이다.


KOICA 지구촌체험관 청소년 도슨트 활동을 통해 많은 학생들이 글로벌 이슈에 관심을 가지고 지구촌의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 행동할 수 있는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기 바란다.


코이카2 (3).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손제윤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손제윤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23328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2074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42983
한류가 가져오는 한류 무역 1 file 2022.03.28 강민지 9948
온라인으로 개최된 제11회 국가통계방법론 국제 심포지엄 file 2021.10.01 김민경 9948
SK텔레콤, 키즈용 스마트폰 ‘ZEM 꾸러기 포켓몬 에디션’ 6일 출시 file 2023.01.06 이지원 9944
자유를 위한 고귀한 희생 file 2021.12.29 허정희 9935
신창섭 감독의 토종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file 2023.05.25 정윤서 9921
온라인으로 찾아가는 청년 멘토링 축제...'MBN Y포럼 2022' 16일 유튜브서 방송 1 file 2022.02.07 디지털이슈팀 9917
제주도 영어교육도시 내 열린 제8회 모델유엔(GECMUN 8) 1 file 2022.03.11 강려원 9901
인텔의 새로운 도약 file 2021.11.26 이준호 9898
더울 땐, 미술관으로 떠나보자! file 2021.07.26 한윤지 9895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린 영국 내셔널갤러리 소장 명화전 file 2023.07.15 이다빈 9892
신한카드, MZ세대 겨냥 ‘최고심’ 신용카드 선보여 file 2022.11.29 이지원 9892
더불어민주당 청년들과 소통한다. 새로운 시작, 제1기 청년명예국회의원 본회의 개최 완료 file 2021.11.26 지주희 9884
헬스케어 앱 슈퍼워크, 걸음 수에 따라 보상 획득하는 ‘베이직 모드’ 업데이트 file 2022.12.28 이지원 9869
책과 과학의 만남 1 file 2022.02.14 현예린 9862
종이책을 넘어선 '전자책' file 2021.04.29 남서영 9841
우리의 영원한 영웅들, UN묘지에 잠들다 2021.12.20 김예린 9832
도쿄올림픽의 금메달은 깨물어도 될까? file 2021.09.23 김하영 9815
패션계의 최대 행사, 美 멧 갈라(Met Gala) file 2021.10.15 양연우 9798
'한국의 슈퍼스타, UN의 친구'라 불리는 방탄소년단, 제76차 유엔총회 참여하다 file 2021.09.27 김태은 9796
혼란의 시대 속 현실을 파고든 영화 '돈 룩 업' 1 file 2022.02.18 이동재 9794
구립증산정보도서관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옛이야기에 담겨있는 인문학 만나기 file 2022.05.17 이지원 9788
올림픽의 열기는 어디로... '난장판' 되어버린 'IBK 기업은행 배구단' 1 file 2021.12.29 신현우 9785
자동차 에어백으로 옷을 만들다 file 2021.09.28 류태영 9764
자립준비청년과 아름다운 함께서기, 아름다운가게 청년 인턴십 4기 모집 file 2022.05.16 이지원 9723
역풍 부는 “친환경” 대책… 새로운 해결방안은 file 2021.11.29 오정우 9720
카레의 숨겨진 효능 1 file 2021.12.21 김다혜 9718
다가오는 2022년, CES에서 확인하라 file 2021.12.27 이준호 9701
언택트 시네마 관심 상승, 울산' 자동차 극장' 증가 file 2021.08.25 김지언 9698
영화관 매출 내리막, 극복할 수 있을까? file 2022.01.24 박예슬 9670
"우리 세금 어디쓸지 우리가 결정하자" 창원주민대회 창원시에 예산 편성 요구 file 2021.09.16 우한인 9662
서울의 미래를 알고 싶다면, 서울 연구원 시민기자단으로! file 2022.06.02 이지원 9649
뮤지컬 ‘광주’,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삼연 개막 확정 1 file 2022.02.07 오다해 9648
곧 시작될 새 학기! 입을 교복, 입고 있는 교복: All about 교복 1 file 2022.01.05 김유진 9642
보통의 시민들이 만들어가는 ‘어바웃 서부’ 시민기획단 file 2021.09.24 조희진 9638
거대 로봇 애니메이션 '거신: 바람의 아이' 18일 개봉 file 2023.05.25 유영진 9635
디즈니코리아, ‘사랑하는 이에게 디즈니를 선물하세요’ 연말 캠페인 진행 file 2022.11.29 이지원 9618
'예측불허' PL 순위싸움... 우승-챔스 티켓-강등 주인공 '아모른직다!' 1 file 2022.03.23 손동빈 9615
고양시, 도시의 미래를 묻는 ‘2022 고양도시포럼’ 킨텍스 개최 file 2022.10.15 이지원 9614
남에서도 북에서도 피어난 한 여인의 그리움, 그림자꽃 file 2021.10.28 김유진 9613
서울문화재단, 도미노피자와 ‘시각예술 신진작가 작품 공모전’ 개최 file 2022.10.26 이지원 9611
춘천, 여행 명소 파해치다 1 file 2022.05.09 김명현 9591
소상공인 영업손실 80% 보상 file 2021.10.15 유가연 9564
모두를 위한 신비로운 힐링 판타지 '달러구트 꿈 백화점' 1 file 2022.01.27 신유빈 9540
제2의 한한령 규제로 될 것인가? file 2021.09.28 강민지 9536
백신접종 증가에 따른, 해외여행 급증 file 2021.09.28 이유미 9534
터키 공화국 수립 98주년과 무스타파 케말 2021.11.22 SeunggwonKim 9525
해외로 진출하는 제과업계동향 file 2021.09.28 이유미 9519
오뚜기, 국내 농가와의 상생 위한 ' 한국 농업 상생 발전 프로젝트' 시작 file 2022.10.30 이지원 950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