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열풍의 포켓몬GO, 문제는 없는 것인가?

by 4기박민서기자 posted Jul 23, 2016 Views 15695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160722_235540247.jpg(포켓몬스터 캐릭터 파이리 사진제공= 3기 박민서 기자)


 최근 학생들의 방학시즌을 맞아 새로운 게임의 서비스오픈과 기존게임의 대규모 패치가 잇따르고 있다. PC게임에서 1의를 독차지하던 리그오브레전드(LOL)를 꺾을 수 있는 게임들이 속출하고 있다. 블리자드사의 슈팅게임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게임인 오버워치와

5차 전직 업데이트로 한 번 더 전성기 시절의 인기를 얻으려하는 메이플스토리가 그 주인공이다. 실제로 이 게임들은 이미 리그오브레전드의 인기를 넘어섰다. 하지만 요즘 가장 인기 있고 주목받고 있는 게임은 오버워치도 메이플스토리도 아닌 닌텐도에서 발매한 포켓몬GO이다.


 포켓몬GO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게임인데 증강현실이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3차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을 말하는데 현실세계에 가상의 이미지를 겹쳐보이게 하는 것이다.

게임의 방법은 간단하다. 포켓몬을 얻고 각종 아이템을 사용하면서 자신의 포켓몬을 키우고 체육관에서 전투를 하는 등 어릴 때 애니메이션으로 봐왔던 포켓몬스터의 주인공인 지우가 될 수 있다. 추후 다른 유저와 대결 할 수 있는 배틀 모드도 생긴다면 게임을 더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실제 포켓몬스터와 다른 것이 있다면 포켓스탑이라는 것이 생겼는데 이곳에서 포켓몬 알을 얻거나 포켓몬 볼 같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아이템을 얻기 위해 도시를 돌아다니며 포켓스탑을 찾는다. 포켓몬GO는 출시되자마자 세계 앱 스토어 무료게임순위 1위와 최고매출순위 1위를 휩쓸고 있다. 722일 아시아에 상륙하며 첫발을 내딛었다.



아쉽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공식적으로 포켓몬GO를 할 수 없다.

우리나라 정부에서 구글에게 우리나라 지도를 배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군 시설이나 국가안보시설 삭제 문제와 분단국가라는 우리나라의 특성, 독도표기문제가 주된 원인이라고 하지만 일부 IT전문가들은 구글이 우리나라에 서버를 두게 되면 지도를 사용할 수 있으나 법인세를 내야해서 꼼수를 쓴다고 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현재는 불법다운로드나 ios 해외우회계정을 사용해서 게임이 가능하다고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포켓몬GO가 가능한 지역이 있다. 한 커뮤니티에서 강원도 속초와 고성에서 포켓몬GO가 실행되는 인증 글을 올리면서 게임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속초에 상당한 사람들이 몰리고 있다. 사실을 안 속초시측에서는 빠르게 무료 wi-fi망을 구축하고 이병선 속초시장이 포켓몬스터의 오 박사를 패러디 하면서 직접 지역경제 활성화에 이바지했다. 그리고 사륜구동 오토바이 등 이동수단을 대여하면서 더 빠르게 포켓스탑에 가고 포켓몬알을 깔 수 있다. 게임이 가능한 고성과 양양은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않고 있어 조용히 게임을 즐기고 싶다면 이곳으로 찾아가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가 포켓몬GO를 좋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걱정하는 사람들은 날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인왕중학교 3학년 박00군은 처음 보는 증강현실에 대한 신기함과 사람들의 입소문들이 하고 싶다는 욕구를 더욱 자극시킬 뿐 게임에 대한 재미는 있어 보이지 않는다.”라는 의견을 표했으며 실제 게임 평론 사이트에서도 점수는 높지 않다. 게임의 재미는 주관적인 것이라 아무리 재미있는 게임이라도 평가가 갈리기 마련이다.

더 큰 문제는 안전사고 문제다. 며칠 전 뉴스에서 포켓몬GO를 하다가 일어나는 아찔한 사고에 대해 보도했었는데 실상은 더욱 심각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포켓몬을 잡다가 군 기지에 들어가는 일이 일어났고, 미국에서는 청소년 3명이 폐광산에 갗치고, 호주 시드니에서는 포켓스탑 주변 주민들과 게임유저들 사이의 몸싸움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사건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게임유저들이 포켓몬 사냥에 정신이 팔린 나머지 아무 것도 신경 쓰지 않으면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다. 과테말라에서는 포켓몬GO를 하다가 한 남성이 도주하는 차량에서 발사되는 총에 맞아 사망하는 끔찍한 사고가 일어났다.


 또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말과 다르게 속초에서는 숙박시설, 음식점 같은 곳에서 바가지요금을 요구하면서 소비자들이 선뜻 소비하려는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실제로 숙박시설은 원래 요금의 두 배를 받아서 속초를 찾는 사람들은 SNS에 불만을 표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주로 포켓몬GO를 하려는 10~30대층이 주머니 사정이 좋지 않아 돈을 써봤자 편의점에서 삼각 김밥이나 컵라면 같은 것으로 끼니를 때우는 것에 그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지역경제가 활성화된다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는 평가를 보이고 있다.


 현재 포켓몬GO는 전 세계 모바일게임 중 가장 인기 있는 게임이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새로운 게임이라 비슷비슷한 게임에 질린 많은 사람들이 즐기고 있다. 그런데 만약에 게임을 하다가 뜬금없이 차에 치이고 절벽에서 떨어져 게임을 하다가 사고를 당한다면 그 기분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이 나쁠 것이다. 주위를 조금만 살피면 사고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다. 게임에만 몰입하다가 즐길 수 없는 것과 게임에서 아주 잠시 동안 주위를 살핀다면 즐겁게 포켓몬GO를 즐길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박민서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32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72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944
"그는 집을 잘못 골랐어" 괴한을 물리친 82세 할머니의 이야기 file 2020.01.22 김수현 10456
북한과의 통일, 과연 좋은 방향인가? 3 file 2017.08.12 이소미 10457
블랙리스트,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것인가 file 2018.01.29 전세연 10458
문재인의 번호와 참여정치 2 file 2017.03.22 최우혁 10462
이란, 핵 합의 복귀 밝혀, 이란과 미국 간 악연의 시발점은 어디인가? file 2021.11.08 권강준 10465
美 관세와 폭풍 같은 세계의 반응 1 file 2018.08.06 노시현 10468
6.25 67주년,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 1 file 2017.07.05 정지원 10472
5월 22일 진행된 文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 1 2018.06.05 변성우 10473
고대영 KBS 사장 해임, 다시 국민의 품으로! 2 file 2018.02.19 김영현 10475
가상화폐의 실명제가 논란이 되는 이유 2 file 2018.01.18 김진모 10483
음주운전과 윤창호법 1 file 2019.01.07 조아현 10485
文 대통령 , "5·18 민주화 운동 시민 향한 폭격준비설·헬기사격" 관련 특별조사 지시 1 file 2017.08.24 현준이 10496
J노믹스의 경제인은? file 2017.05.25 김찬 10499
판문점선언, 남한은 종전이 되는 것인가? file 2018.10.15 이수지 10500
''우리는 요구합니다'', 스쿨미투 집회 1 file 2019.02.21 안예슬 10504
광복절, 현충원에 가다 file 2017.08.25 이기혁 10507
기아차 노조 통상임금 소송 승소, 기대와 우려 사이 file 2017.10.10 원종혁 10511
누가 영웅을 쓰러뜨리려 하는가 3 file 2017.05.02 김수민 10512
리디노미네이션(Redenomination), 과연 한국에서 필요한가? file 2019.05.23 황채연 10513
평화실현을 바라보는 다양한 시선 2018.06.19 이민영 10523
文의 경제정책, '무엇이 다른가' 1 file 2017.07.25 이수현 10524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532
변화와 격동 속의 인공지능 시대, 어떻게 해야 할까? file 2019.03.28 조원준 10534
생활 속에 파고든 알코올 중독,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2018.04.18 정하현 10536
코로나19 치료제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효능효과 확대 및 투여시간 단축" 등 허가변경 심사 착수 2021.08.17 이주연 10537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539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540
비트코인 지속적인 하락세…정부의 대처 눈여겨봐야 2 file 2018.04.02 민솔 10540
끝나지 않은 피해자들의 고통, 위안부 기림일 행사 2017.08.22 5기정채빈기자 10542
5·18 퍼지고 있는 거짓들 7 2017.05.19 김형주 10547
그리는 상표, 로고는 왜 필요할까? file 2019.03.26 모유진 10547
[속보] ‘포항 지진' 여파로 수능 연기… 23일 시행 2017.11.15 디지털이슈팀 10554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추가 대북제재결의안 3 2017.09.27 황준엽 10559
안랩, ‘온라인 카페 내 음란 동영상 위장 피싱’에 주의 당부 file 2017.08.23 디지털이슈팀 10562
BMW 차량 화재, EGR만이, BMW만이 문제인가 1 file 2018.08.30 김지민 10563
수단의 대통령, 30년만에 물러나다 file 2019.05.23 이솔 10564
국민의당 결국 대국민사과... 안철수까지 개입 2 2017.08.07 백다미 10567
병든 위생, 여성의 안전이 위협받고있다. file 2017.08.29 김영은 10568
문재인의 대한민국 file 2017.05.23 최우혁 10573
난민법과 무사증 폐지를 촉구하는 시민들..'난민 수용 반대' 청원 70만 돌파 1 file 2018.07.19 김나경 10575
날로 심해지는 중국 내 반(反) 사드운동. 새 정부가 해결할 수 있을까? file 2017.03.22 장진향 10577
미국환율과 더불어 익히는우리 경제 속의 환율 2018.10.25 9기임은빈기자 10577
문재인 정부의 광복절 경축사는? file 2017.08.20 이주현 10578
외감법 개정, 때로는 엄격하게 때로는 자유롭게 file 2017.05.25 홍은서 10580
계속되는 계란의 수난, 이제는 찬밥 신세 file 2017.08.27 한채은 10583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587
파격적인 최저임금 두 자릿수 인상, 과연 좋은 일일까? 1 file 2017.07.22 이승희 10591
다가오는 대선과 떠오르는 수개표 3 file 2017.05.03 박윤지 1059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