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동전 없는 사회 가능할까

by 3기이현진기자 posted Jul 10, 2016 Views 174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동전은 지폐보다 무거워서 사람들은 이것을 들고 다니기보다 집에다 쌓아두는 경우가 허다하다. 특히 요즘에는 물가가 비싸서 동전만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거의 없다. 동전이 생기면 집에 와서 저금통에 모아 두었다가 나중에 은행에 가지고 가서 지폐로 바꾸어 쓴다. 최근 이렇게 불필요한 동전들을 없애 동전 없는 사회를 만들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동전 발행액은 2015 10월 기준 2 2500억원으로 전체 화폐 발행액(84 5891억원) 2.7%를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500원 짜리가 1 1333억원으로 가장 많고, 이어 100원 짜리 9316억원, 50원짜리 1023억원, 10원 짜리 830억원, 5(1원 포함)짜리 16억원 차례다. 하지만 동전 발행액 대비 환수액은 10%에 그친다고 한다. 막대한 비용을 들여 제조한 동전의 많은 양이 각 가정에 쌓여 있거나 해서 제대로 유통되지 있지 않다는 말이다.

사실상 요즘은 카드결제나 모바일 결제가 늘어나 동전 뿐 아니라 현금의 중요성 자체도 점차 약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미 이 같은 현금 없는 사회;의 움직임은 유럽 선진국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도 이런 선진국의 모델을 연구해 동전 없는 사회 도입 가능성을 점검하기로 했다고 한다.

동전 없는 사회를 마련하기 위한 방안을 여러가지 이다. 하지만 이런 방안들을 마련하기 이전에, 집에 쌓여 있는 동전들을 효율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요즘은 해외여행의 기회가 많아집에 따라 외국동전도 사실상 많이 생긴다. 집에 있는 동전을 가져가면 신권으로 교환해줌과 동시에 여행상품에 당첨되는 기회를 얻는 등의 이벤트들을 마련하는 것도 효율적인 동전 회수를 위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과연 우리나라도 동전 없는 사회가 만들어질 수 있을까.

13644217_205198743215631_1761505371_n.jpg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이현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박준수기자 2016.07.11 16:21
    저희 집에 동전이 많이 있는데 은행에 돈 봐꾸로 가야 되겠네요 ㅋㅋ
  • ?
    4기오시연기자 2016.07.15 21:20
    그래도 100원이나 500원의 동전들은 없애지 않는 것이 더 좋을 것 같다고 생각해요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동전을 자주 사용하는 편이니까요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712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7077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91395
아시아의 파리, 서울·· 패션도시로 우뚝서다 1 file 2017.10.25 김정환 17383
펜 대신 총을 들었던 그들을 기리며, 태백중학교에 다녀오다. file 2016.08.15 장서윤 17383
2016 주한 외국 대사관의 날, 광화문 광장에서 지구촌을 담다 file 2016.11.24 김태윤 17375
크리스마스 씰에 대하여 아시나요? file 2018.02.01 김희주 17373
일상의 과학을 만나러, ‘두뇌 스타트! 과학 놀이터’ 1 file 2018.02.12 우소영 17371
독서마라톤 완주를 향하여 2 file 2016.05.21 장서윤 17371
응답하라 의정부 대표 함효범씨를 만나다. 1 file 2017.04.20 김소은 17370
인천 남동구 소래도서관, 원화전시 시행 file 2016.05.22 박은진 17370
프리온, 단백질성 감염인자 file 2017.03.25 백준채 17367
아시아의 친구들에서 찾은 한국어 교실의 진정한 의미 file 2016.09.25 이의진 17365
제 37회 만해백일장, 그 열기 속으로 file 2016.03.24 김민서 17364
주말엔 가족과 함께 용인시청 얼음썰매장으로! 20 file 2017.01.23 서지은 17363
10월의 축제, 핼러윈 1 file 2017.10.27 4기윤민경기자 17361
뇌의 눈, 육감 file 2017.05.25 최서은 17354
초롱초롱 제4기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5 file 2017.01.25 김소희 17353
국화꽃 만발한 함평 ‘대한민국 국향대전’ file 2018.10.30 조햇살 17351
미래의 음악가들에게 꼭 추천해주고싶은 책들 3 file 2017.03.26 박윤서 17351
세계여러국가의 문화를 알아보는시간! 한국국제관광전 file 2017.06.05 고선영 17346
전세계를 덮친 최강 한파???그 원인은 지구온난화? 4 file 2017.02.02 장현경 17346
K스포츠, 세계무대를 향해... file 2020.05.18 임상현 17344
[책] 삶의 공감을 함께 해주는 '처음 살아보니까 그럴 수 있어' file 2018.09.13 정유희 17344
상하이 중화예술궁(中华艺术宫) 가봤니? 1 file 2018.04.18 윤현정 17340
우리가 사용하는 많은 카드들, 순식간에 복사가 된다? 1 file 2017.09.04 장지훈 17340
코딩에 관심 많은 친구들이라면 'NYPC 토크 콘서트 : 코딩하는 대로' 주목! 2017.08.10 임채민 17340
약, 어떻게 해야 제대로 먹을까? 4 file 2017.04.23 정다소 17339
수포자도 놀러오세요, 제11회 전북수학체험한마당 1 file 2019.10.28 임세은 17335
영화 '베테랑'과 '부당거래'는 다르듯 같다. file 2017.12.26 손종욱 17333
획기적인 기술 여기 다 모여!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 4 file 2017.02.19 이재현 17333
<영화 칼럼> 영화 읽어주는 고양이 첫 번째 이야기: 리틀 포레스트 2 file 2018.05.24 남연우 17330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단일팀, 통일로 한 걸음 vs 섣부른 판단 2 file 2018.01.26 정유미 17329
홍수 대피 요령 file 2017.07.25 김가빈 17328
성남fc 겨울 이적시장 총정리 file 2016.03.24 박상민 17328
암컷만 태어나는 초파리 미스터리, 비밀은 '세균'? 2018.05.25 이재협 17326
피로 회복, 포천 허브아일랜드에서 만끽하세요! 1 file 2016.04.25 김은비 17325
"저희도 대한민국 국가대표 입니다." 1 file 2017.04.20 정가영 17324
아는 만큼 즐기는 추석 2 file 2016.09.22 이민정 17323
Well-Dying "당하는 죽음이 아닌 맞이하는 죽음" 사전의료의향서 관심 급증??? 1 file 2017.04.16 이승연 17322
평창 성화, 홍천을 밝히다 file 2018.01.31 박가은 17321
청주에 울려 퍼지다. 만세의 함성 file 2019.03.26 양희진 17318
여름휴가 안전하고, 즐겁게 보내기 file 2016.07.25 3기김유진기자 17317
[MBN Y FORUM] MBN Y FORUM, 불가능을 즐겨라! 2 file 2017.03.09 고주연 17309
인생은 한 번뿐이다! - 자신의 행복을 중시하는 '욜로' 열풍 1 file 2017.05.24 이지우 17307
FIFA U-20 월드컵, 한국에서 개최되다! 2 file 2017.05.28 양승혜 17306
완벽함만을 추구하던 한 사람이 낳은 비극, '라플라스의 마녀' 9 file 2017.02.20 정지윤 17293
'1일 1깡', '깡동단결' 등 깡의 신드롬 2 2020.06.08 이다원 17290
문학의 계절 가을, 딥펜의 매력 속으로 1 file 2017.10.27 이세림 17290
끊임없이 흐르는 작가, 한강 file 2016.03.23 김초영 17290
천사가 될 수 있는 가장 따뜻하고 든든한 방법? 10 2017.03.03 하영서 172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