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옥시 사건, 돈만 바라보는 세계

by 4기김예지기자 posted Jun 26, 2016 Views 164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gg.jpg[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예지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옥시 레키센키저는 영국에 본사를 두고있는 회사로서 옥시크린, 하마브랜드등의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익숙한 이름들을 많이 알린 회사이다.


서울 중앙지검 가습기 살균제 피해사건 특별수사팀은 옥시레킷벤키저 연구소장 조모씨에 대해 법원에 사전구속영장을 철구했다고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조모씨는 가습기 살균제를 제조하면서도 원료의 유해성에 대한 흡입독성실험을 진행하지 않아서 인명피해를 내고 인체에 해가 없다는 듯이 허위광고를 한 혐의로 논란이 되고 있다.


조모씨는 이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주도하여 참여하였다고 알려진다.


또한 검찰은 '옥시가습기살균제는 2000년도부터 인체에 무해하다는 광고를 내보냈다'고 밝혔다.


이번사건의 사망자로는 임산부와 아이를 포함하여 103명으로 집계됬다.


이번 옥시사건을 통해서 세월호사건과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바로 단지 '돈'을 '생명'보다 더 중시한다는 것이다. 세월호사건에서도 과적이 침몰의 원인중 하나였으며 이번 옥시사건 또한 실험에 드는 비용때문에 진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돈 중심 사회'라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더욱 논란이 되고있는 사실은 외국에서는 심의에 걸려 통과되지 않았던 제품들이 우리나라에서는 어렵지 않게 K마크까지 획득한 것으로 알려진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김예지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6.26 20:52
    (댓글) 3기 황지원기자

    요즘 대기업의 마케팅전략으로 다시 매출량이 증가하고 있고, 불매운동이 시들어지는 모습을 보면서 이 기사가 더 공감이 되는 것 같습니다.
  • ?
    3기조민성기자 2016.07.14 19:17
    점점 자본주의의 폐해가 드러나는 것 같네요
    세상이 돈으로 인해 인간성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 ?
    4기이채린기자 2016.07.17 19:16
    옥시 문제를 다른 기사들과 다르게 세월호 사건과 연관지어서 설명해서 인상깊었습니다. 옥시 사건으로 무려 103명의 피해자가 나왔다고 하니 정말 안타깝네요. 앞으로는 비슷한 사건으로 피해자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하는 심정입니다. 좋은 기사 잘 읽었어요, 수고하셨습니다~~!
  • ?
    3기김초영기자 2016.07.23 23:38
    생각해보니 생활 필수품중 다수가 옥시의 제품이더군요. 기자님 말씀대로 점점 사회가 돈 보다 생명을 중시하는 것 같아 두렵네요 글 잘 읽었습니다~!
  • ?
    3기최호진기자 2016.08.23 23:01
    너무 안타까운 현실인것 같네요. 돈보다 안전이 우선시 되는 세상이 왔으면 합니다.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6859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4763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8922
심판들의 치솟는 권위,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선수들. file 2018.04.26 김동현 10992
몰카 범죄...하루빨리 해결책 내놓아야 file 2019.01.28 김예원 10991
꺼지지 않는 촛불들이 가져온 승리 file 2017.03.22 김예찬 10989
‘세월호 유골 은폐 사건’ 유가족들의 아픔 2 2017.12.08 박지민 10988
미투운동-대한민국의 확산 2 2018.03.05 안승호 10981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980
5월, 그리고 가짜 뉴스 2019.05.20 안광무 10974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0971
하루 속히 밝혀져야 할 세월호의 진실, 당신은 얼마나 알고 계십니까 1 file 2017.03.27 김나림 10967
쓰촨 성에서 산사태 발생, 140여 명 매몰 1 file 2017.06.24 박유빈 10966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 이후의 푸에르토리코 섬 file 2017.11.27 이민정 10964
‘디지털 성범죄’, 언제까지 솜방망이 처벌인가 1 file 2018.08.28 강수연 10963
최순실 1심 판결, 징역 20년·벌금 180억 원·추징금 72억 원 file 2018.02.22 허나영 10961
하늘을 뒤덮은 미세먼지 file 2019.03.15 박보경 10959
한반도, 통일을 외치다! 2018.05.02 김하영 10958
갑작스러운 북중 정상회담, 왜? file 2018.04.05 박현규 10958
더 이스트라이트 폭행사건, 결국 계약해지까지... file 2018.10.29 박현빈 10957
미국 전역 애도 물결 , 웜비어 3 file 2017.06.27 조채은 10957
경남 거제시 호우 경보, 학교의 늦장대응에 갈팡질팡하는 학생들 2 file 2017.10.02 조가온 10953
대한민국을 뒤흔든 '차이나게이트' file 2020.03.03 정승연 10951
최저임금 8350원, 그 숫자의 영향력 4 file 2018.07.19 박예림 10951
미세먼지, 우리가 줄일 수 있습니다 2018.07.25 임서정 10948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945
미투, 어디가 끝인가 1 2018.06.19 고유진 10944
명성이 떨어져 가는 블랙 프라이데이, 그 뒤에 사이버 먼데이? file 2019.01.07 이우진 10941
제천 화재로 소방 관련 법 입법의 필요성 드러나. file 2018.01.29 서호연 10941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940
기무사 계엄 “실행” 계획, 국외자의 ‘반란’ file 2018.07.27 김지민 10938
청소년에게 듣는 '19대 대선과 대한민국' 1 file 2017.05.20 박상민 10934
제2의 신천지 사태? BTJ열방센터 확진자 속출 file 2021.01.28 오경언 10930
러시아까지 영국에 이어 코로나 누적 확진자 1천 만명 넘었다...위드 코로나는 역시나 다시 중지 file 2021.12.24 정지운 10928
설 연휴를 건강하게 보내기 위한 홍역 예방법 file 2019.01.28 김태은 10926
제로금리에 가까웠던 美 기준금리 7년 만에 인상, 우리나라에 미치는 엉향은? file 2017.03.22 이승희 10923
‘Crazy Rich Asians’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예술의 도덕적 의무를 살펴보다 1 file 2018.11.26 이혜림 10922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920
그해 봄은 뜨거웠네 2 file 2018.05.23 최시원 10918
청와대, '난민법, 무사증 입국 폐지/개헌' 거부 답변을 내놓다 file 2018.08.07 김나현 10917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가...언론의 무서움을 말하다 2 file 2018.07.26 김지연 10916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910
세계의 양대산맥, 미국-중국의 무역전쟁 file 2019.12.23 전순영 10907
개 구충제인 펜벤다졸, 정말로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까? 5 2020.02.24 배선우 10902
'김정은식 공포정치' 6년차…또 하나의 희생양 '김정남' file 2017.03.25 소희수 10897
카카오뱅크가 국내 금융시장에 불러올 파급효과 file 2017.08.31 김진모 10895
서지현 검사의 폭로, "검찰 내에서 성추행을 당했다" 2 file 2018.02.02 이승민 10894
문 대통령 “회담은 세계사적인 일” 1 2018.03.30 박연경 10890
8년 만의 일본 총리 교체, 한일관계 변화 올까? file 2020.09.25 김진성 10889
청소년 불법 사이버 도박 2 file 2019.05.31 박지예 10885
전기자동차, 떠오르는 이유는? 1 file 2019.03.25 김유민 108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