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2016 메이커 페스티벌 개최 : 상상이 현실이 되다

by 3기이예진기자 posted Jun 19, 2016 Views 1433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4f2f6ec249c438339048c4c3dc899aa5.jpg

(사진출저 :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이예진 기자)


지난 6월 17, 18일 이틀간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DDP)에서 2016 메이커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


'메이커'란 만들다(make)와 접미사(er)이 결합된 형태로 자신이 원하는 물건 등을 직접 만드는 사람을 의미한다.


2016 메이커 페스티벌은 약 60~80 여개의 부스들이 다양한 아이템들을 홍보, 판매하는 '찰랑마켓', 자신이 직접 원하는대로 만들어볼 수 있는 '메이커 만들기 체험교육', 직접 만든 자동차, VR 기기를 이용한 게임 등을 전시하는 '특별 전시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찰랑마켓'에는 커피 찌거기로 만든 화분과 벽돌, 특수한 공법으로 제작한 코코넛 칩, 한복을 현대식으로 재해석한 생활한복, 거울에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날씨 등을 띄울 수 있게 제작한 스마트 미러, 목공예를 이용한 스마트폰 스피커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제품들이 관람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메이커 만들기 체험교육' 은 관람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3D 아트토이 만들기', '무빙토이', '목공 생활용품', '업사이클 패션잡화' 등이 있어 관람객들에게 자신들이 '메이커'가 되는 재미를 선사했다.


'특별 전시관' 에는 직접 만든 실제로 주행 가능한 자동차, 오큘러스 사의 VR 기기를 이용하여 게임을 제작, 저음역대 소음을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등의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기술들을 이용한 전시물들을 체험할 수 있었다.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2학년 길** , 백**학생은 "다양한 부스를 체험할 수 있게 되어 좋았고,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기술들도 많아 학생들도 흥미를 쉽게 가질 수 있었다." 라고 이번 행사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2016 메이커 페스티벌은 미래창조과학부, 한국과학창의재단, 무한상상실 외 21 곳이 주최, 주관, 후원하였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IT과학부=3기 이예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박지혜기자 2016.06.21 16:24
    메이커라고 해서 나이키나 아디다스같은 회사들의 제품을 생각했는데 이 기사를 통해 새로운 사실 알아갑니다! 다양한 부스와 체험활동을 할 수 있는 페스티벌 같네요! 좋은 기사 잘 읽고 가요~ :-D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58262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5418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78229
청소년·청년들의 미얀마 비전트립:고아원 봉사 6 file 2017.08.10 최지수 16559
젊은 에이스에게 거는 기대, 무거워진 박세웅의 어깨 file 2018.09.21 이수민 16561
두류도서관 '책 소리 봉사단'을 아시나요? file 2017.04.19 노유미 16565
이색 도서관, 의정부 과학도서관을 소개합니다. 6 file 2017.03.01 임성은 16569
세계 3대 디자이너를 만날 수 있는 기회, 카림 라시드전 1 file 2017.10.09 석채아 16569
인간복제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할까요? 4 file 2017.09.11 신수현 16570
현대자동차, 그랜저 시트주름 문제에 이어서 이번엔 차량 전소까지.. 2 file 2017.03.22 김홍렬 16575
효율적인 공부를 위한 준비물부터 유용한 활용법까지! 4 file 2020.03.17 김윤채 16579
중국의 문화 동북공정, 이제는 하다 하다 김치를? file 2021.02.25 김민성 16579
한국영화의 미래, <아이 캔 스피크> 2 file 2017.11.13 김서영 16585
선동이란 무엇인가 4 file 2017.04.23 임재우 16587
유상철 감독 체제 첫 승리 인천 유나이티드 file 2019.05.29 김민형 16593
원주 노숙인 센터, 사람들과 정을 나누다 file 2016.05.19 김가흔 16594
문재인 대통령 휴가철 추천도서 ‘명견만리’ 시리즈, 베스트셀러 1~3위 석권 file 2017.08.17 디지털이슈팀 16595
2020년 온라인 과학축제 1 file 2020.04.17 서영빈 16595
대한민국 헌법의 탄생일, 제헌절 2018.07.31 오예은 16596
일본에 숨겨진 작은 왕국, 류큐 왕국 file 2018.03.28 김하은 16597
방송심의, 적절하다고 생각하시나요? - 10대부터 40대 시청자에게 물었다 2 file 2018.03.02 신아진 16598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② ‘세컨더리 보이콧’을 아시나요? 2 file 2017.04.30 오경서 16599
‘청년들을 위해, 청년으로부터’ 청년 리더 프로그램 출범 file 2020.07.03 송다연 16600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외치다, 제13회 서울환경영화제 file 2016.05.10 현경선 16601
방학? 그게 뭐야? 먹는 거야? 25 file 2017.01.26 김수민 16601
누구든지 그림 동화책 작가가 될수 있어요! file 2016.08.25 이도균 16602
영화 '조작된 도시' 평점 조작 의혹 1 file 2017.04.08 김유진 16603
힐링이 필요해 2017.11.28 이지혜 16606
하와이에서 실제 우주복 입고 체험한 '가상 화성 생활 file 2016.08.24 노태인 16608
[이달의 세계인] '채식주의자' 맨부커상 수상의 주역, 데보라 스미스 2 file 2016.06.06 정가영 16611
약(弱)팀에서 약(藥)팀으로! 롱주, 롤챔스 섬머 우승 file 2017.09.21 조윤지 16612
1987년 여름, 그들은 무엇을 위해 거리로 나왔을까? 6 file 2018.01.24 박환희 16612
3·1절 맞아 대형태극기 게양... 대한독립만세 외치자! 12 file 2017.03.01 조묘희 16613
SBS 새 월화드라마 '조선구마사' 역사왜곡 논란에 결국 폐지 2021.03.29 유채연 16613
아는 만큼 보이는 역사의 힘 1 2017.09.20 배시은 16615
저널리스트의 꿈을 꾸다 1 file 2017.12.04 김연주 16618
웃음짓는 청년상인, 살아나는 전통시장 1 file 2016.08.25 류지석 16620
'인생꿀로윈 디저트 페스티벌' 즐기러 송도 가자 1 file 2017.10.17 김민 16620
소통에 대한 우리들의 이야기 '온드림 스쿨' file 2017.11.27 여승헌 16620
제28회 하이원 서울가요대상 file 2019.01.22 이주희 16620
흰지팡이는 무엇을 의미할까? file 2017.09.19 정은희 16621
제24회 유기동물 행복찾는 사람들 바자회 개최 file 2016.07.11 정수민 16624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6627
나를 사랑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 ‘자존감 수업’ 2 2017.05.25 오희연 16630
일부 한국인 관광객들의 잘못된 윤리의식,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7.06.23 김다정 16630
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기원하며 2017 서울아리랑페스티벌 한마당 1 file 2017.11.06 단승연 16631
마음을 나눌 수 있는 곳 '느림우체국' 2 file 2017.03.21 이다은 16632
제로에너지 주택, 에너지 절약의 첫 걸음이 될까? file 2017.08.25 강지석 16636
현세의 바벨탑, 부르즈 할리파 1 file 2017.11.20 허재영 16636
보건복지부 청년수당 최종동의 3 file 2017.04.10 김승연 16638
대뇌피질 뇌지도 완성, 뇌질환 극복이 한걸음 앞으로 file 2016.07.22 박가영 1663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