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학용품 사용...좀 더 신중하게

by 3기이은아기자 posted May 23, 2016 Views 2300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791-811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로292번길 35 (경북 포항시 북구 용흥동 418-9) (용흥동, 대흥중학교)

기사사진(5월달).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은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학습에 필요한 물품, 필기도구, 공책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을 학용품이라 한다. 공부를 해야 하는 청소년에게 학용품은 반드시 필요한 물품이다. 그 중에서도 노트필기를 하는 학생이라면 한 번쯤은 알록달록한 색상의 볼펜들을 산 경험이 있을 것이다. 학생들은 도대체 어느 정도의 돈을 학용품에 투자하고 있을까? 학생들의 관심사인 학용품을 대체 얼마큼, 얼마나 사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흥중학교 2학년 한 학급을 조사해보았다.

총 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생 1인당 필통 안에 든 학용품은 평균 16개였다. 학용품을 바꾸는 이유로는 “예쁜 학용품이 보이면 구입한다.”라는 의견이 28%를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 ‘잃어버렸다.’ ‘다 썼다’라는 이유였다.

그렇다면 우리의 필통은 경제적으로 어느 정도의 가치가 있을까? 평균적으로 한 학생이 들고 다니는 필통안의 학용품들을 필통까지 합쳐 계산해보니 약 18,075원이었다. 2013년 기준 중고등학생의 한 달 평균 용돈은 5만1천원으로 나타났는데 필통 하나의 가치는 용돈의 약 1/3에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듯 학용품에 들어가는 경제적 비용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 그러나 우리는 학용품의 소중함을 알지 못한 채, 함부로 사용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옛날에는 물량이 적어 이른바 “몽당연필”을 사용하기도 했고, 공책을 쓸 때도 조금이라도 아껴 사용하기 위해 빽빽하게 사용했지만, 지금은 물량과 선택권이 늘어난 탓인지 물건을 잃어버리거나 망가뜨리는 등 학교에서 분실하는 물건의 대부분이 학용품이 되었다. 학생들에게는 빠질 수 없는 물건이니 만큼, 자신이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고려해보며 아껴 사용하는 태도를 길러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경제부=3기 이은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4기박소윤기자 2016.05.24 19:48
    저도 기사 읽고 필통안에 있는 학용품 개수를 세어봤는데 필통 포함해서 딱 16개네요..ㅎㅎ 그러고보니 책상에 연필꽂이에 꽂혀있는 안쓰지만 잘 나오는 펜들도 많고..기사 덕분에 반성하게 되었네요!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 ?
    3기이민정기자 2016.05.24 20:55
    저는 특히나 알록달록하게 필기하는 것을 좋아해서 거의 모든 색깔의 필기구들을 모으는 편이에요. 필통같은 경우, 초등학생때 질릴때 마다 바꾸기도 했어요. 딱히 돈 생각하지 않고 중요하다고 머리에 인식되어 있지 않아 낭비하는 습관이 있었던 것 같아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최호진기자 2016.11.27 02:34
    좋은기사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052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892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110
코로나가 환경을 살리다?_떠오르는 환경이슈 1 2020.04.14 남지영 9777
코로나가 우리 사회에 미친 영향은? file 2020.07.22 김다인 16581
코로나19의 후유증 '브레인 포그' 3 file 2020.09.10 오현지 13583
코로나19의 한복판에 선 디즈니월드의 재개장 file 2020.09.21 염보라 11816
코로나19의 재확산세, 방역모범국도 흔들린다 2 file 2020.08.21 김상현 10411
코로나19의 재확산, 방역 당국과 교육 당국의 지침은? file 2020.08.25 홍승우 8311
코로나19의 분야별 피해 현황과 그 해결책은? file 2020.03.02 전지영 9761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197
코로나19에 따른 빈곤 문제는? 2 file 2020.08.13 전지영 9921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254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삶 3 file 2020.05.18 김혜원 13272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449
코로나19로 변한 학교생활 file 2020.09.03 정예린 8669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1467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영향 file 2020.04.08 이혁재 13934
코로나19가 불러온 고통 1 file 2020.03.16 최서윤 8356
코로나19가 당뇨발생 위험률 높인다 2022.05.16 신은주 10691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439
코로나19: 인간에게는 장애물, 환경에는 백신 file 2020.05.06 이유정 8598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9.01 길현희 8535
코로나19, 중국은 회복 중? file 2021.08.27 강민지 7187
코로나19, 전 세계는 휴교 중 1 file 2020.05.18 임상현 10986
코로나19, 동물도 피해 갈 수 없는 재앙 file 2020.09.28 최은영 8546
코로나19, 그에 따른 환경오염? file 2020.04.06 김호연 11091
코로나19, 2차 대유행 시작 2020.08.28 김민지 8828
코로나19(COVID-19), 알수록 안전해요! 2020.04.17 정미강 13527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8127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소소하지만 확실한 노력' file 2020.05.26 박아연 8586
코로나19 치료제 셀트리온 '렉키로나주', "효능효과 확대 및 투여시간 단축" 등 허가변경 심사 착수 2021.08.17 이주연 10540
코로나19 진단법, 정확히 알아보자! file 2020.03.30 김상규 18509
코로나19 접종 시작 극복하기 위한 첫걸음 file 2021.03.02 오경언 7142
코로나19 재유행, 해외의 상황은? file 2020.05.18 유지은 15871
코로나19 이후 일본과 한국의 관계 file 2021.11.25 이원희 6815
코로나19 이후 늘고 있는 아동학대 file 2021.07.02 조서림 16103
코로나19 예방하는 마스크! 알고 쓰자 file 2020.05.04 윤혜림 11145
코로나19 예방하는 ‘향균 필름’ 5 file 2020.04.13 윤소영 14284
코로나19 영원히 사라지지 않는다? file 2020.08.25 이하은 9770
코로나19 양성 의심 청소년 사망, 누구도 방심할 수 없다 2 file 2020.03.20 김수연 8974
코로나19 시대, 학교는 어떻게 바뀌었나? 1 file 2020.11.25 전혜원 7545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온라인 개학 file 2020.05.29 조현수 13736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260
코로나19 백신, 화이자와 아스트라제네카 어떻게 다를까? file 2021.02.26 김정희 7773
코로나19 백신, 팬데믹 해결의 열쇠가 되나 1 file 2020.11.24 임성경 8339
코로나19 방역 사각지대, 시내버스 1 file 2021.02.19 이승우 10873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8090
코로나19 나흘째 확진자 200명 대, 좀처럼 끝나지 않는 줄다리기 file 2020.11.18 이준형 9020
코로나-19, 노인혐오로? file 2020.03.31 김서원 10020
코로나-19 사태 발발 4달, 지금은? 2020.04.08 홍승우 90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11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