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세월호 참사 2주기 세월호가 한국 정치에게 묻는다.

by 3기기자이강민 posted Apr 22, 2016 Views 171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세월호 참사 2주기 여러 곳곳에서 희생자들 추모와 애도 잇달아..

2년이라는 시간 지났지만 큰 변화없는 안타까운 실상..리본.jpg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추모하는 팔찌, 리본고리, 스티커 등 (이미지 촬영=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이강민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016년 4월 16일은 세월호 참사(희생자) 2주기가 되는 날이다.

 이에따라 광화문을 비롯한 전국 각지에선 세월호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고

 추모하자는 의미에서 많은 행사가 열리고 있다.


 2014년 4월 16일 수학여행을 떠나는 단원고 학생들의 부푼 설렘을 안고

 제주도로 출항한 세월호는 오전 9시 갑자기 바다 한 가운데 멈추었다.

 그 후 배는 선수만 남긴 채  바다 속으로 모습을 감추었다.

 304명의 목숨이 사라지는 데 걸린 시간은 불과 두 시간 남짓이었다.

 이 후 구조작업이 이루어졌지만 여전히 9명의 육신이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참사 직후 유가족과 국민들의 요구는 세월호 침몰에 대한 진상규명과 재발방지였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유가족 앞에서 이를 약속하였다.

 이후 2년이 지났고 그 사이 많은 일이 일어났지만 큰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유가족들이 요구한 특별법과 시행령은 여전히 엉망이고 애써서 만든 특별조사위원회 역시

 전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대통령이 약속한 사고 진상규명은 시작조차 하지 못했고 세월호의 진실은 아직까지

 바다 깊이 묻혀있다. 이 과정에서 '세월호 침몰 사고'는 '세월호 참사'로 바뀌었다.

 배 안에 있는 학생들에겐 가만히 있으라 라는 명령을 남기고 가장 먼저 탈출한

 선장과 선원에 대한 처벌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대통령을 비롯한 국회의원들도 유가족들과의 공감을 전혀 이끌어내지 못했으며

 유가족들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속마음만 까맣게 타들어 가고 있을 뿐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국민 안전을 국정 기본 원칙으로 제시해왔다.

 그 원칙이 정말 원칙다우려면 예산과 인력으로 안전행정을 뒷받침 해야한다.

 그래야 문자 그대로 명과 실이 부합하는 즉 '명실상부한 지침'이 된다.

 그런데 말의 원칙은 실행의 무능으로 나타났다. 안전예산은 되레 줄어들었고

 안전관련 자리는 기피 부서가 되고있다.


 세월호 참사 이후 대응에서 보았 듯 박근혜 대통령의 스타일의 안전은

 '종이호랑이'라는 말처럼 허상에 불과했던 셈이다.

 그동안 박근혜 대통령이 고수해오던 원칙 이미지는 세월호 참사로 인해

 '안전행정' 이 무너지면서 무능한 행정가라는 비판을 듣기도 했다


 세월호 참사에 대해 야당(당시 새정치민주연합)의 대응 역시 한없이 무기력했다.

 그들이 외친 "정부의 초기 대응이 부실했다", "안전 행정이 사실상 부재했다" 라는

 점은 야당이 지적하지 않아도 생방송을 통해 충분히 확인되는 사실이었다.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을 반복해서 외치는 것보다 수권 정당답게 구체적인 사실을 찾아내

 문제의 본질을 정확히 파악하여 유가족들과 국민들의 공감을 일으켜야 했다.


 그렇게 유가족들과 국민과의 공감을 일으켜 신뢰를 확장했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 못했다.

 실제로 세월호 참사의 관재 측면이 드러난 것은 희생자와 실종자 유가족들의 항의, 희생된

 단원고 학생들의 휴대전화 동영상이었다.

 이렇게 여당과 야당의 싸움이 계속될 동안 한순간 가족을 잃은 유가족들과 이를

 지켜보는 국민들의 슬픔만 더욱 커져갔다.


 세월호 참사는 다시 생각해도 정말 안타까운 사고이다. 많은 새싹들이 하루 아침에 물 속으로

 사라져야 했던 다시는 일어나선 안되는 일이다. 위에서 계속 언급했 듯 물론

 해양사고였지만 기업의 탐욕, 행정의 무능 등으로 사고의 규모가 점차 확장되어 갔다는 점도

 결코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1년 후에도 10년 후에도 우리는 분명 세월호를 만나게 될 것이다.

 혹시라도 작은 기적이 일어나 유가족들의 요구가 이루어진다 해도

 세월호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그때 우리가 다시 만날때에는 많은 대표자들과 기관들의 과오가 재발하지 않도록,

 다시는 우리 아이들이 다치고 상처 받지 않도록 '노란색 리본'이 아닌 '노란색 안전띠'를

 매어줄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한다.


 바쁜 일상과, 거짓된 욕망, 섣부른 패배의식으로 세월호를 덮어버리려 한다면

 세월호에서 시작된 비명은 결코 우리 곁을 떠나지 않을 것이다.

 304명의 안타까운 목숨과 수천명의 유가족과 시민들이 흘린 눈물이

 사리지지 않도록 우리는 세월호를 영원의 시간에 새겨야 한다.


 꼭 잊지말고. 그날의 사고를 기억해야 한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정치부= 3기 이강민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현승기자 2016.04.24 19:47
    세월호를 추모하는건 개인의 자유지만 정치화는 제발 안됐으면합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42
    앞으로 다시는 이런 사고가 일어나지 않길 바랍니다.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878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609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0193
[토론광장] 솜방망이 처벌, 일부의 문제 1 file 2017.10.09 위승희 13615
'폭력에서 자유로운 나라?'...부산 사하구 여중생 폭행 사건 발생 1 file 2017.10.10 허석민 23023
기아차 노조 통상임금 소송 승소, 기대와 우려 사이 file 2017.10.10 원종혁 10484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첨단 무기 판매 file 2017.10.10 이종은 10858
생리대를 둘러싼 진실게임 2 2017.10.10 제규진 12174
원전 찬반집회가 울산에서 열리다 2017.10.10 박채리 11126
이제 더 이상 안전한 생리대는 없다 file 2017.10.10 허수빈 11321
힘의 가치 2017.10.10 최지원 11916
달걀 가격 4000원대로 하락...농가들은 울상 file 2017.10.11 김주연 11877
살충제 달걀에 이은 물의 식료품 안전 문제 1 file 2017.10.12 장예진 10310
전술핵 재배치, 당신의 생각은? file 2017.10.13 윤정민 12559
교원능력평가 익명성 믿을 만한가? 4 file 2017.10.16 이혜승 21682
[시사경제용어 알아보기] ④ ‘폰지 사기’를 아시나요? 2 file 2017.10.16 오경서 15597
할리우드 성추행 사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기를 2 file 2017.10.16 박우빈 12880
북한의 폭진, 멈출 수는 없을까 3 2017.10.17 권서현 12446
파리바게뜨 불법파견 문제와 고용노동부 처분 정당성 논란 file 2017.10.17 원종혁 12251
스마트폰에 밀려버린 키즈산업…토이저러스 파산 위기 2 file 2017.10.20 김나현 14636
골목 상권 보호를 위한 정책은? file 2017.10.20 김도연 11444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 합의, 관계 개선될까? file 2017.10.20 박현규 11264
독감 예방주사, 선택이 아닌 필수다 2 2017.10.20 박채리 13158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하는 영화, '아이 캔 스피크' 2 2017.10.20 배수빈 11591
함께 지켜온 대한민국, 우리가 기억해야 할 것들 1 file 2017.10.23 변서연 11805
청소년, 권리를 외쳐라! - 'Be 정상회담' 성료 2 file 2017.10.23 김현서 11114
사생팬의 위태로운 경계 1 2017.10.23 김다은 14548
신고리 원전, 팽팽한 숙의민주주의·· 갈등의 끝은 존재하는가? 2017.10.23 조영지 11190
삼산고 학생들이 힘을 합친 '위안부 소녀상 건립' 캠페인 1 2017.10.24 주하영 11641
여러분은 ‘Burn out'으로부터 안전하십니까? 1 file 2017.10.25 서유니 10972
[청소년에게 묻다②] 청소년이 말하는 '여성차별'과 '페미니즘' 3 file 2017.10.25 방수빈 13767
주황색 리본? 스텔라 데이지호 침몰 사건! 2 file 2017.10.25 김하늘 13617
뛰뛰빵빵 기사님! 오늘도 안전운전하세요! file 2017.10.25 성승민 12745
독도, 기억해야 할 우리의 땅 2017.10.25 김민영 12046
시험기간의 필수품 '카페인'? 과다 섭취는 '독'. 1 file 2017.10.25 이나경 12965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수, 보호무역 1 file 2017.10.25 김규리 13409
우리가 기억해야 할 국제기구. 세계의 평화를 지키는 국제연합(UN) 1 file 2017.10.25 이수연 14213
문재인 대통령의 일정 공개, 국민을 위한 것? file 2017.10.26 이지현 11201
박근혜 전 대통령 '석방'하라는 대학로 제20차 태극기집회 file 2017.10.26 문서연 10961
가계부채와 금리의 상관관계 file 2017.10.30 배정은 15721
청소년들의 비속어 사용,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주진희 67546
같이 사는 세상, 층간 소음 file 2017.10.30 황현지 11183
학생의 눈높이로 학생 비행 바라보다! "청소년 참여 법정" file 2017.10.30 서시연 12164
아동·청소년의 목소리를 듣다, 아동·청소년 정책박람회 'Be 정상회담' 2017.10.30 류영인 11229
우리 개는 안 물어요, 안전해요! 1 file 2017.10.30 김나림 12331
"2015 한일'위안부'합의"...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file 2017.10.30 김예진 12238
과연 초콜릿은 달콤하기만 할까? 4 file 2017.10.30 임수연 11472
소년법, 폐지 vs 개정 file 2017.10.31 전세연 12220
"MB 구속 요구 기자회견" file 2017.10.31 한지선 10817
5·18 그 날의 광주, 드러나는 진실 file 2017.10.31 정선아 12075
한 달이라는 시간을 겪은 카카오뱅크, 인기의 이유는 무엇인가 1 file 2017.10.31 오유림 142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