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늙어가는 대한민국, 위기? 기회!

by 3기김지현기자 posted Apr 02, 2016 Views 16437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많은 사람들은 흔히들 임신을 축복이라 한다. 이는 한 생명이 다른 생명을 잉태했다는데 에서 찾아볼 수 있는 신비롭고 장엄한 우주의 진리에 대한 경탄, 혹은 생명 그 자체의 고결함에 대한 숭배 때문일 수도 있다. 하지만 요즘과 같은 사회 정세 속에서 출산을 긍정적으로 관망한다함은 단순히 이러한 것들을 의미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1년부터 이미 저출산 사회를 넘어 초저출산 사회에 들어섰다. 저출산은 합계 출산율이 2.1명 이하로 지속되는 현상을 말하고, 초저출산은 합계 출산율이 1.3명 이하인 현상을 말한다. 요즈음 사람들은 저출산을 매우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우리가 해결해나가야할 중요한 과제로 여기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오늘날 출산을 이전의 단편적인 ‘경사’를 넘어 심각한 사회문제인 저출산을 완화하고 고령화 사회를 방지하는 해결책으로 여기고 사회 기여도가 높은 것으로까지 생각하는 것이다.

저출산문제의 시발점은 1960년대 중반 우리나라 정부의 강력한 산아 제한 정책의 시행이었다. 전쟁의 후유증으로 인한 빈곤 문제가 너무도 심각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사회에 출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확산시킴으로써 출산을 제한했던 것이다. 이러한 정부의 정책과 더불어 여성의 사회 진출 기회가 증가하면서 출산율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그 결과 1965년에는 5.63명이던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이 2010년에는 겨우 1.15명으로 낮아졌다. 다른 나라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이는 현저하게 낮은 수준이며 실제로 OECD 국가 중 그 하락 속도가 가장 빠르다 고한다.

그렇다면 오늘날 저출산을 촉구하는 원인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

대청기.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지현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현대의 저출산은 주로 자녀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 증가, 여성의 사회 참여 증가, 의료 기술의 발달, 결혼 연령 상승 및 미혼 인구 증가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같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회통념의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은 우리나라의 경우, 양육비와 교육비 부담을 출산율 저하를 심화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꼽을 수 있겠다. 여성의 경제 활동 참여율의 증가와 육아를 지원하는 시설과 서비스의 부족으로 여성이 일을 하며 아이를 기르기 어려운 환경도 출산을 피하게 되는 주요한 원인중 하나이다. 최근에는 청년층의 취업이 어렵고 만약 취업을 하더라도 고용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가 많아 결혼과 출산을 미루거나 피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자녀를 낳아 가문의 대를 이어야 한다고 생각했던 전통적인 가치관이 점차 사라지는 것도 출산율 감소의 원인이 된다..

그렇다면 이쯤에서 조금 더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보자. 우리가 저출산문제를 해결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저출산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많은 부정적인 결과들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먼저, 저출산은 인구의 고령화를 촉진한다. 이는 노인인구는 증가한데 반해, 노인을 부양해야 할 젊은 층의 수가 감소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결과적으로 남은 청장년층에게 무거운 세금 부담을 지우게 되어 문제가 된다. 또한 저출산은 경제 사회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젊고 건강한 노동력의 유입이 대폭 감소하는 등 막대한 인적자원의 손실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의 해결을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출산일을 전후하여 임신휴가 90일을 사용할 수 있고, 다태아를 출산한 경우에는 120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출산 예정 60일 전부터 480일간 출산 휴가 사용이 가능하며 쌍둥이의 경우 180일의 휴가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스웨덴에 비해서 현저히 낮은 수치이다.

둘째, ‘위기는 곧 기회다’라는 말이 있다. 사실상 출산율 증진의 가능성이 매우 희박한 지금, 저출산을 무조건 부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이는 맹목적인 태도는 적절하지 않다. 그리고 여기서 필요한 것은 ‘인식의 전환’이다. 저출산으로 인한 노동력 감소를 노동자 교육 강화, 기술 개발과 설비 투자, 고령자 일자리 확보의 기회 등으로 삼는 것이 그 예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김지현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박준수기자 2016.04.04 09:41
    출산율이 높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
    3기윤동욱기자 2016.04.04 15:59
    위기임을 자각을 해야하는 것 같습니다.자각 후 위기를 기회를 만드는 현명함을 가져야 겠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1:51
    직접 그림을 그려주셔서 더 이해가 잘 됐어요! 그림이 인상깊네요 ㅎㅎ 더 구체적으로 그린다면 포스터로도 쓸 수 있을 것 같네요! ^^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4기오시연기자 2016.04.09 15:06
    우리나라의 정부가 자세하고 체계적인 정책이나 제도를 확립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네요 잘 읽고 갑니다!
  • ?
    3기전채영기자 2016.04.09 20:36
    출산율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 건, 맞벌이를 하지 않으면 2인가정의 영위도 어려운 가운데서 대부분 여자가 아이를 키우게 되는 그런 환경 탓도 있는 것 같습니다. 금전적인 지원뿐만 아니라 출산휴가, 어린 영유아들을 안전하게 대신 돌봐주는 어린이집 등이 아직은 더 필요해보이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080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8427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2691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9327
통화녹음 알림 법, "사생활 침해 vs 약자 보호" 4 file 2017.09.04 전영은 15295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file 2020.09.03 나은지 8733
통제불가 AI... 결국 서울 '상륙' 2 file 2017.02.05 유근탁 16841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438
통일을 하면 경제가 좋아질까...? file 2018.11.21 강민성 11260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7255
텔레그램 신상 공개 언제쯤 file 2020.04.29 김소연 9381
텔레그램 n번방 피의자 신상공개, 국민청원 200만 넘어 file 2020.03.24 김지혜 9935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과연 '박사방'이 끝인가? file 2020.04.06 류현승 9101
테트라팩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0.08.20 김광영 8618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21623
테러, 우경화를 가속시키다 2 file 2016.03.24 조민성 18622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721
택배박스 속에서 죽어가는 동물들, ‘동물 택배 배달’ 1 file 2017.11.22 김해온 16421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599
태영호 - 3층 서기실의 암호 1 file 2018.11.27 홍도현 10144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747
태극기 집회에서 그들의 정의를 듣다 2 file 2017.02.17 장용민 15265
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반정부 시위. 왜 일어나고 있는가? file 2021.01.21 김광현 10420
탕후루, 마라탕 유행에...청소년 건강은 적신호 file 2023.10.05 고민서 7578
탈코르셋, 페미니스트... 왜? file 2018.10.05 김혜빈 14869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7308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229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848
탄핵 후 우리에게 남겨진 과제들 file 2017.03.19 박윤지 12463
탄핵 판결을 내린 헌법재판관 8명을 고소한 우종창, 그는 누구인가? 1 2017.04.02 김민정 12055
탄핵 이후, 해결해야 할 과제! file 2017.05.13 양수빈 9838
탄소배출권, 공장은 돈을 내고 숨을 쉰다? 4 file 2019.04.11 김도현 18288
타타대우 상용차 등 다수의 기업들,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1 file 2017.11.21 양원진 13633
타오르는 촛불, 펄럭이는 태극기 그리고 헌법재판소 1 file 2017.02.11 이동우 15299
키즈 유튜브, 이대로 괜찮은가? file 2019.09.02 선혜인 14922
클릭 금지! '택배 주소지 재확인' 11 file 2017.01.22 최영인 21206
클라우드 기술, IT 업계가 주목하는 이유는? file 2019.11.27 이선우 14206
퀴어 퍼레이드 그 스무 번째 도약, 평등을 향한 도전! 서울 도심 물들인 무지개 file 2019.06.07 정운희 15079
쿠웨이트 총리 첫 방한 file 2016.05.15 이아로 18365
콘서트 티켓 한 장이면 "100만원" 벌기는 식은 죽 먹기? 8 file 2016.03.13 이소연 22530
코피노, 이대로도 괜찮을까? 2018.10.24 석주은 11707
코에 빨대가 꽂혀있는 거북이가 발견된 그 이후, 지금 file 2019.06.07 박서연 18421
코시엘니 사태로 바라본 정당하지 않은 선수들의 태업 file 2019.07.15 이준영 15482
코스피 변동성 증가, 투자에 신중을 기해야... file 2021.02.08 정지후 7725
코리아 스태그플레이션 2021 file 2021.08.09 전인애 12092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362
코로나바이러스 자세히 알아보자 4 file 2020.02.24 이수연 12947
코로나를 통한 사재기와 우리의 태도 file 2020.03.30 이수연 8400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740
코로나로 위험한 시국, 대통령을 비판한 미래통합당 file 2020.08.25 박미정 10808
코로나로 무너진 세계 file 2020.05.13 이채영 966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