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400년이 지나도 변함없는 '그'의 도발

by 2기명은율기자 posted Apr 02, 2016 Views 161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 317일 목요일, 셰익스피어 서거 400주년을 맞이하여 주한영국문화원이

<셰익스피어, 시대를 도발하다>라는 제목으로 강연을 개최하였다.

photo53240232110729885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명은율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이번 강연에서는 지난 20여년간 브라질의 감옥과 빈민촌에서 셰익스피어 관련 작업

및 연극 기반의 인권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진행해 온 폴 해리티지 교수가 셰익스피어와

연극에 대해 이야기한다.

  <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폴 해리티지 교수는 런던 퀸 매리 대학의 연극 공연 예술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며

인군을 위한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People’s Palace Projects이 준말인 PPT

창립자이자 아트 디렉터이다. 해리티지 교수는 빈민촌에서부터 유명 극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연극을 시연했고 2008, 아마존 지역에서 백 여명의 지원자와

수천명의 관객이 참여한 1년간의 장기 프로젝트를 기획하기도 했다.

2009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 AHRC(Art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펀딩을 받아 사회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해 예술 작업을 하는 브라질 난민촌 작가들과

영국의 청소년 그룹 간의 지식 전달을 위한 연구도 진행했다. 영국과 브라질 사이의

문화 교류 프로그램을 다얗하게 기획해 온 해리티지 교수는 2012년 런던에서 열린

‘2012 Festival and Cultural Olympiad’의 하나로 진행된 Rio Occupation London

프로듀스했다.

photo532402321107298854.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3기 명은율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강연에서는 엘리자베스 왕조 시대뿐 아니라 지금에 이르기까지 극장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역사적 맥락에서 살펴보고, 아울러 셰익스피어가 400년전뿐만 아니라 to대를 거슬러 현대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도발적인 이유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셰익스피어는 연극의 대사를 통해 의 중요함을 환기시킨 극작가였다고 한다.

셰익스피어 극본에 15천 여개가 넘는 어휘가 사용되고 새로 만든 단어만 2천 개가

넘을 정도로 언어를 풍요롭게 활용했다고 한다.

16세기 말 런던의 극장 대부분은 템스강 남쪽 뱅크사이드에 위치해 있었다. 사실 템스강

남쪽엔 도박, 투견, 매음굴이 다수 위치해 있는 곳이었다고 한다. 당시 런던 인구는

15만명이었는데, 매일 2천 여명의 관객이 셰익스피어의 연극을 보로 극장을 찾앗다고 한다. 일주일에 15천 여명, 즉 런던 시민의 10퍼센트가 매일 템스강 남쪽으로 이동했다는

말이다. 이 많은 인구를 움직였다는 것은 셰익스피어의 연극이 다른 어떤 엔터테인먼트보다

흥미롭고 도발적이었다는 반증이기도 한다.


강연을 경청함으로써 우리가 위대한 작가, 셰익스피어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었다는 사실,

이 시대에 얼마나 도발적이었는지 깨닫게 되었다. 나 이외에도 셰익스피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람들이 이 강연을 듣고 그에 대해서 알게 되었으면 하는 바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명은율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4373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329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8148
코스프레, 이색적인 모두의 문화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18.03.03 김진영 16170
코로나지만 워터파크에 갈 수 있다? 5 file 2020.07.28 민아영 17609
코로나와 한국사회, 대학생의 시선으로 본다면? file 2020.11.27 양서현 13800
코로나에 빼앗긴 벚꽃 구경, 온라인으로 즐기자 file 2021.04.06 권민주 11483
코로나시대의 예술을 만나다 file 2020.08.18 조수민 11821
코로나바이러스의 이면 file 2020.05.04 주미지 14278
코로나바이러스가 만들어 낸 재앙, 층간 소음 2020.11.12 이수미 12842
코로나바이러스가 가져온 새로운 변화, OTT 서비스 file 2020.05.04 유해나 1623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가 바꾼 영화관의 풍경, 앞으로는? 4 file 2020.08.14 이준표 13600
코로나로 인해 뒤바뀐 우리의 문화 file 2020.09.01 김정안 12859
코로나로 멈춰버린 지금, 집에서 문화생활을 다시 찾다 2020.09.16 이준표 13437
코로나가 세계 스포츠에 미치는 영향 2 file 2020.06.01 서지완 17363
코로나가 불러온 스포츠계 사상 초유의 사태 file 2020.03.18 김민결 13926
코로나가 만든 신조어 1 file 2021.02.01 임은선 16056
코로나19의 위협엔 비대면 봉사활동 (신생아 모자뜨기) file 2020.10.23 신아인 13255
코로나19의 영향을 받은 OTT서비스 1 file 2020.03.23 이서연 15251
코로나19에 맞서는 다양한 방법 '집콕' file 2021.02.25 김수연 11767
코로나19를 예측했다? 재조명받는 영화 <컨테이젼> 1 file 2020.10.06 이소은 15543
코로나19를 극복하는 템플스테이, 색다른 문화즐기기 file 2021.04.28 윤희주 11302
코로나19로 인해 해수욕장 풍경도 바뀐다 1 file 2020.06.29 이승연 13013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우리 사회의 영화관의 모습 file 2021.02.26 유정수 12673
코로나19로 인한 전세계 스포츠의 마비 1 file 2020.03.31 이정원 13924
코로나19로 인한 재난 문자의 증가..."재난 문자가 재난이에요" 4 file 2020.08.25 송한비 16482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생중계 아이돌 팬미팅 1 file 2020.09.14 최다인 13301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77
코로나19로 변한 덕질 문화, 온라인 콘서트에 대해 알아보자 2020.10.29 김경현 13837
코로나19로 바뀐 문화생활 file 2021.02.24 이소현 13029
코로나19도 막지 못한 봄꽃 축제 3 file 2020.03.30 천수정 12298
코로나19가 우리에게 준 숙제… 분리수거, 재활용 file 2020.11.09 허다솔 16019
코로나19가 불러온 음악적 힐링, 크로스오버 그룹 포레스텔라 file 2021.03.03 김민영 15951
코로나19가 불러온 연예계의 비상 file 2020.09.07 홍지원 14502
코로나19가 불러온 '원격 수업' 계속 될까? file 2021.03.02 김민희 11020
코로나19가 몰고 온 비대면(Untact) 문화 file 2020.04.17 김지윤 12712
코로나19가 만들어낸 팬 콘텐츠, 방방콘 1 file 2020.04.27 정서윤 14025
코로나19가 가져다준 ‘안방 관극,’ 뮤지컬 생중계 1 file 2020.05.02 송다연 14301
코로나19, 지금 우리의 사회는? file 2020.08.27 길현희 12567
코로나19, 장애인들에겐 가시 1 2021.01.04 이수미 12619
코로나19 확산, 극장->안방, 뒤바뀐 문화생활 2 file 2020.04.13 정현석 13045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코로나 블루, 우울함에 대처하는 과학적 방법 2 file 2020.09.18 김다연 15717
코로나19 여파 속, 안전하게 도서관 즐기기 7 file 2020.04.10 하늘 15439
코로나19 시대의 슬기로운 독서 생활, 전자 도서관 1 file 2020.03.30 박민아 13649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등장, 로봇 카페 2 2020.09.28 김해승 12650
코로나19 시대의 K-POP의 새 문화 '온라인 콘서트' file 2020.10.30 노연우 15989
코로나19 속 재개봉 열풍 중인 극장가 file 2021.03.19 홍재원 16056
코로나19 사태에도 동아리 목표를 보여준 씨밀레의 ‘온라인 캠페인’ file 2020.03.25 조윤혜 24512
코로나19 사라져도 과연 우리는 이전과 같은 일상을 살 수 있는가 file 2021.03.15 권태웅 15487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학교에선 어떤 노력을 할까? file 2020.12.09 양윤아 14653
코로나19 걱정이 없는 세계, '모여봐요 동물의 숲' 9 file 2020.03.27 하건희 1752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