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얼마나 많은 일 생각나게 하는 벚꽃이런가

by 3기박지우기자 posted Mar 25, 2016 Views 16929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ince first it was my fate to know thee!

시조는 우리나라가 만든 독특한 정형시의 하나이다평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 3,4조의 음수율을 가지고 36, 45자 안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음보격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시를 통해서 자신을 표현하였다. 우리 민족이 시조에 감정을 담은 것처럼 다른 나라 사람들도 여러가지 종류의 시를 통해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일본의 시 하이쿠


하이쿠.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지우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하나의 완결된 문장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구절 같은 이 단어들의 모임은 일본의 시 하이쿠의 한 예이다하이쿠는 5/7/5,  17글자만으로 되어있는 지극히 짧은 시이다말을 아끼고 우회적인 표현을 하는 일본인의 대화 방식이 고스란히 반영되어있다또한 일본의 시 하이쿠는 인생의 찰나를 담는다독자는 위 시를 읽을 때 봄에 나는 벚꽃을 생각하고 그것과 관련된 추억이 순간 머리에 스치는 것을 느낄 수 있다여운이 길게 남으며 여백이 생긴다짧으면서 인상적인 시하이쿠이다더 나아가서 미국에서도 미국판 하이쿠를 볼 수 있다. "Lune"이라고 불리고 하이쿠와 같이 명료하고 강렬하다.



영국과 이탈리아의 정형시


운명과 사람들의 시선에 버려져서

나는 홀로 나의 버림 받은 신세를 한탄하고

소용없는 울음으로 귀머거리 하늘을 괴롭히고

 몸을 돌아보고  운명을 저주하나니?,

...

이 시는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중 하나이다. 13세기 이탈리아 민요에서 파생된 소네트는 14 1연으로 이루어진 서정시이자 정형시이다. 14행의 처음 8행은 옥타브다음 6행은 세스테라고 부른다주로 사랑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이탈리아의 소네트는 abba abba / cddcee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의 시 트리올레


How great my grief, my joys how few,

Have the slow years not brought to view

How great my grief, my joys how few,

Nor memory shaped old times anew,
Nor loving-kindness helped to show thee

How great my grief, my joys how few,

Since first it was my fate to know thee


위 시는 토마스 하디의 트리올레이다. 프랑스 풍의 시 트리올레는 중세의 시인들에게 애호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8음절 8행시구로서 제1행이 제4행과 제7행에서 되풀이되고, 2행이 제8행에서 되풀이된다. 2개의 각운은 ab aa abab로 짚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박지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3.25 22:11
    (댓글) 3기이서연기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3기박정선기자 2016.03.27 11:17
    우리나라 시들은 교과서에서 많이 접해서 익숙하지만 다른나라들의 시들에 대해서는 낯설고 생소하기만 했던 것 같아요. 다른 나라들의 시도 형식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45649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42869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65039
기자가 되고 싶다면? '스포트라이트' 처럼! file 2016.03.21 김지현 17728
기업형 슈퍼마켓 ‘SSM’는 소비자에겐 편리를, 자영업자들에겐 편취로 file 2017.07.22 김나현 16545
기업들이 생각하는 미래 자동차 산업은? 2018.06.12 안디모데 14711
기억해야 할 우리 역사,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3 file 2018.09.18 윤지원 25978
기억해야 할 날들 file 2020.05.04 최윤서 13959
기억할 선열의 뜻, 지켜야 할 대한민국 file 2017.06.11 김소희 17154
기억하자 0214 4 2017.02.21 이유정 13056
기아차, 스팅어 2017서울모터쇼 프레스 데이인 3월 30일에 발표.. 2 file 2017.03.31 김홍렬 14947
기아자동차 6년 만에 완전히 새로운 K9 발표.. 1 file 2018.04.09 김홍렬 18328
기술의 무대가 열리다, 2023 서울모빌리티쇼 file 2023.04.06 정윤서 7851
기술들의 향연, '2017 한국전자전' file 2017.10.31 김태헌 17948
기성용의 현재날씨는 '구름많음'입니다. [한국인 프리미어리거 총결산 ?기성용] file 2016.05.25 이진호 15084
기생충과 더불어 놓칠 수 없는 작품, 1917 1 file 2020.04.17 박유빈 12794
기쁨이 기쁨에게. 복지사들이 봉사자들에게 감사를 전하다. file 2017.11.30 여승헌 14444
기부자님들, 모발기부는 이렇게! 7 2017.02.13 김승연 15661
기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기부박수 337! 1 file 2017.02.22 최찬영 16186
기부와 소득공제 두 마리 토끼를 한 번에? 1 file 2017.02.17 노유미 15307
기부박수337, 얼어붙은 기부문화를 녹이다. 4 file 2017.02.16 이아영 14941
기록적인 한파, 그 이유는? 1 2018.01.30 박채리 15663
기대되는, 9월 출시 예정 소형차량, 어떤 제조사의 차량이? 2 file 2017.09.08 김홍렬 15085
기다려도 오지않는 엠블런스 1 file 2016.08.30 최호진 18214
기내식이 맛없는 이유는? 6 file 2019.08.07 박성아 20228
기계식 키보드, 어떤 것을 구매해야 할까? file 2019.03.04 정세환 18443
급작스러운 넷플릭스의 주가 폭락, 그 원인은? file 2022.01.25 서승현 9321
급식지원카드를 사용하는 당신, 저소득층 아동이 맞나요? 6 file 2017.02.19 송채은 18540
급식 우유를 아이스크림으로? 2 file 2020.04.29 유규빈 14269
금천구청 소녀상 제막식 개최 file 2017.08.24 전진서 17012
금정세계시민포럼(GGCF), 세계시민을 말하다! file 2017.02.24 조묘희 15565
금융과 기술의 결합, 로보어드바이저 file 2017.09.25 김나영 13079
금리가 뭐예요? 1 file 2018.03.26 박수진 15022
글로벌시대에 필요한 열쇠! 해외 유학! 1 file 2019.04.04 최민경 25616
글로벌사이버대학교, “국내외 명화를 만나는 미술관 여행” 온라인 무료 특강 개최 file 2022.10.18 이지원 8541
글로벌 시대의 청소년들 모여라! 'UNPM세계시민교육캠프' 5 file 2017.02.16 장채영 13748
글로벌 리더의 시작, 고려대학교 주최 모의 유엔 대회 KMUN 열려 2 file 2017.02.25 김성미 15251
글로벌 리더로 거듭나다! - GLFY 2017 4 file 2017.02.09 이상윤 17401
글로벌 루키의 성장, TOMORROW X TOGETHER file 2020.05.27 하건희 13189
근현대 민족의 수난과 아픔을... 서대문형무소역사관 9 file 2017.02.26 이동준 14779
근로정신대를 아시나요? file 2018.09.03 최용준 14945
근대 이야기 속으로, 2017 군산 시간 여행 축제 file 2017.10.10 김나연 15155
그저 학교 안가는 날이라고요? 절대 아니에요! file 2017.06.05 김나림 15699
그림으로 본 1930년대의 프랑스...미셸 들라크루아 회고전에 가다 file 2024.02.24 서우진 11646
그린플레이션의 등장…시작된 배경은 무엇인가 file 2021.10.07 임규리 11372
그리워 그리는 '김광석 다시 그리기 길' 1 file 2017.02.22 허선주 16551
그룹 슈퍼주니어 8년 만에 완전체로...팬미팅 가보니 file 2023.12.30 오은별 7630
그래서 미투운동은 무엇이고 어떻게 된걸까. file 2018.04.02 권재연 15199
그라운드시소 센트럴, 사진작가 이경준 개인전 선보여 file 2024.01.06 김민곤 6406
그라운드시소 서촌, 아날로그 감성 ‘문도 멘도’ 전시 선보여 file 2024.03.21 김진영 5271
그들의 작은 움직임 file 2018.03.01 이다솜 145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