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얼마나 많은 일 생각나게 하는 벚꽃이런가

by 3기박지우기자 posted Mar 25, 2016 Views 1706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Since first it was my fate to know thee!

시조는 우리나라가 만든 독특한 정형시의 하나이다평시조를 기준으로 할 때, 3,4조의 음수율을 가지고 36, 45자 안팎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음보격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시를 통해서 자신을 표현하였다. 우리 민족이 시조에 감정을 담은 것처럼 다른 나라 사람들도 여러가지 종류의 시를 통해 그들의 생각을 표현하고 있다.


일본의 시 하이쿠


하이쿠.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박지우 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하나의 완결된 문장이라기 보다는 하나의 구절 같은 이 단어들의 모임은 일본의 시 하이쿠의 한 예이다하이쿠는 5/7/5,  17글자만으로 되어있는 지극히 짧은 시이다말을 아끼고 우회적인 표현을 하는 일본인의 대화 방식이 고스란히 반영되어있다또한 일본의 시 하이쿠는 인생의 찰나를 담는다독자는 위 시를 읽을 때 봄에 나는 벚꽃을 생각하고 그것과 관련된 추억이 순간 머리에 스치는 것을 느낄 수 있다여운이 길게 남으며 여백이 생긴다짧으면서 인상적인 시하이쿠이다더 나아가서 미국에서도 미국판 하이쿠를 볼 수 있다. "Lune"이라고 불리고 하이쿠와 같이 명료하고 강렬하다.



영국과 이탈리아의 정형시


운명과 사람들의 시선에 버려져서

나는 홀로 나의 버림 받은 신세를 한탄하고

소용없는 울음으로 귀머거리 하늘을 괴롭히고

 몸을 돌아보고  운명을 저주하나니?,

...

이 시는 셰익스피어의 소네트 중 하나이다. 13세기 이탈리아 민요에서 파생된 소네트는 14 1연으로 이루어진 서정시이자 정형시이다. 14행의 처음 8행은 옥타브다음 6행은 세스테라고 부른다주로 사랑에 관한 주제를 다룬다이탈리아의 소네트는 abba abba / cddcee의 형식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의 시 트리올레


How great my grief, my joys how few,

Have the slow years not brought to view

How great my grief, my joys how few,

Nor memory shaped old times anew,
Nor loving-kindness helped to show thee

How great my grief, my joys how few,

Since first it was my fate to know thee


위 시는 토마스 하디의 트리올레이다. 프랑스 풍의 시 트리올레는 중세의 시인들에게 애호되었다. 가장 일반적인 형식은 8음절 8행시구로서 제1행이 제4행과 제7행에서 되풀이되고, 2행이 제8행에서 되풀이된다. 2개의 각운은 ab aa abab로 짚는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국제부=3기 박지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3.25 22:11
    (댓글) 3기이서연기자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3기박정선기자 2016.03.27 11:17
    우리나라 시들은 교과서에서 많이 접해서 익숙하지만 다른나라들의 시들에 대해서는 낯설고 생소하기만 했던 것 같아요. 다른 나라들의 시도 형식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기사 잘 읽고 갑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0870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58032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1536
「스마트 디바이스 쇼」 그 뜨겁던 현장 속으로... file 2017.08.31 신민주 14426
구리시 사랑의 도시락, 소외된 이웃들에게 사랑을 전해요. 6 file 2017.08.20 오경서 14423
학생을 위한 정책, 학생으로부터의 정책 1 file 2017.02.28 유성훈 14423
가정문화의집, 미래를 향한 새로운 출발, 13기 운영위원 선출! 2017.03.22 윤예주 14421
알아두면 쓸데 있는 신기한 각국의 설날 문화 2 file 2019.02.19 이소영 14420
팬들과 함께한 청하의 생일파티! '2018 Chung Ha'ppy Birthday' 2 file 2018.02.22 최찬영 14419
과학문화 한마당! 체험 한마당! file 2017.04.21 오지석 14418
빼빼로 데이는 마케팅 효자? 1 file 2017.11.28 이종은 14417
뜨거웠던 오월의 그날을 우리는 이렇게 기억해요! ? 제 16회 518마라톤대회 file 2016.05.25 오지은 14417
'나도 혹시 유해한 반려동물 용품을 사용하고 있는건 아니겠지?' 1 2020.11.26 김태은 14414
세월호의 눈물을 닦아 주는 청소년 3 file 2017.04.21 한제은 14413
롯데월드 'Friday Burning 나이트파티' , 그 뜨거웠던 현장으로 2 2017.02.25 최민규 14411
인동고 과학동아리 MBC, 구미 청소년 문화존에 참가하다 file 2017.05.24 김민정 14410
UN, 중앙아시아와 아프간 지역 청년들의 목소리 전하다 file 2020.12.17 김태환 14408
급식 우유를 아이스크림으로? 2 file 2020.04.29 유규빈 14408
2016 메이커 페스티벌 개최 : 상상이 현실이 되다 1 file 2016.06.19 이예진 14404
결과는 나왔고, 돌이킬 순 없다. 4 file 2018.02.22 이건 14402
많은 학자들이 함께 밝혀낸 원자의 구조 file 2020.08.26 김형인 14401
우리학교 전담경찰관 3 2017.04.01 양지원 14401
역사에 관심 있는 중·고등학생들이여, 이곳으로 모여라! file 2020.11.30 황지우 14400
대가 없이 일하는 '자원봉사자'를 만나다. file 2017.08.25 5기이유진기자 14398
연세대, 제 7회 KSCY 성공적인 개최 6 file 2017.02.28 최서진 14392
실감형 콘텐츠로 방구석 문화생활 즐기기 2 file 2020.12.18 이소은 14389
독립기념관에서 민족의 얼을 찾다 file 2017.05.24 조수민 14388
“웃음과 함께,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할 것” ? 광명시 ‘나름데이’ 행사 1 file 2016.04.25 양소정 14385
질보단 양으로, Give and Take 식 청소년의 생일문화 6 file 2017.02.26 전은서 14382
여름엔 강진 청자 축제! 2017.08.08 박승미 14381
美 캘리포니아, 자율 주행 무인자동차 '누로'의 상용 운전 첫 허가 file 2021.01.04 공성빈 14379
이번 방학은 어디로 여행을 갈까? '한국국제관광전' file 2018.07.06 이서현 14378
2017 오토모티브위크 file 2017.10.19 김화랑 14377
'케이뱅크'의 등장 file 2017.04.04 양호중 14376
떠오르는 할랄 시장...'할랄산업엑스포코리아 2017' file 2017.08.24 이신희 14371
봄빛이 만개한 아름다운 경주로 놀러 오세요 file 2017.04.15 박지홍 14370
소식 없이 끝나버린 토트넘의 이적시장 1 file 2018.08.20 이형경 14365
연꽃이 필 무렵 file 2017.07.27 강예린 14365
제6회 어린 연어 보내기 생태체험 행사 1 2017.03.02 정승훈 14361
사라져버린 대한민국 7 file 2017.02.19 김다혜 14361
청약,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file 2021.03.12 조선민 14359
부산모터쇼 출시 차종은? 2018.06.14 안디모데 14358
공상 영화의 현실화, ‘하이퍼루프’ file 2021.03.26 김규빈 14357
통계로 알아보는 낙태죄 폐지 file 2020.11.25 김자영 14356
따뜻한 마음에 보답하다 <제4회 마포구청소년자원봉사대회> file 2018.11.30 강민주 14355
잊지 말아야 할 그날, 3월 26일 3 file 2017.05.04 민정연 14354
숨은 명소, 교동 연화지 file 2021.09.23 박서영 14352
KITAS 2018, 새로운 기술에 편리함을 접하다 file 2018.07.17 김민지 14352
5월 영화 전주에서 즐기자! 전주 국제 영화제 3 file 2017.05.09 김수인 14352
'제5회 포항 운하 축제' 개최 2 file 2018.09.28 정수민 14350
무더운 여름, 실내 냉기로부터 나를 지켜라! 3 file 2017.07.21 한윤정 1435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