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by 3기김영현기자 posted Mar 25, 2016 Views 2155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3월 19일 오후 8시 30분, 서울 코엑스의 불이 꺼졌다.
세계자연기금(WWF)에서 진행하는 "어스아워(지구촌 전등끄기)"캠페인에 참여한 것 이다.

코엑스_요청_160318_블로그-01.png

[이미지 제공 = 서울 코엑스몰 블로그 http://blog.coex.co.kr/1388]


"어스아워(지구촌 전등 끄기)"캠페인은 민간자연보호단체인?세계자연기금(WWF)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작한 환경 보전 캠페인이다.
2007년,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이 캠페인은 2015년까지 전 세계 172개국의 7,000개 이상의 도시에서 개인, 기업, 기관 등이 참여하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환경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캠페인은 매년 3월 셋째주 토요일 오후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약 한 시간동안 진행된다.
개인, 기업, 지역 커뮤니티, 단체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불필요한 전등을 끔으로써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지금까지 이 캠페인을 통해 지구의 탄소배출량이 정확하게 얼마나 줄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캠페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히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사람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자신들의 생태 발자국에 대해 책임감을 갖으며 지속가능한 환경 보존 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부터 운동에 참여하였다. 서울의 남산타워를 비롯해 63빌딩, 국회의사당, 검찰청사 등 서울의 상징적인 건물들이 1시간 동안 불을 끄고 환경을 보호해왔다.
또한 지난해 한국의 '어스 아워' 운동으로 서울 공공건물에서만 400만㎾의 전력 절감과 소나무 60만 주를 심고 온실가스 1천750t을 감축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올해 어스아워 캠페인에 참여한 코엑스몰 관계자는 “어스아워 캠페인에 국내를 대표해 참여하게 돼 뜻 깊다”,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자연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22
    이런 행사가 있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몇시부터 몇시까지 인지는 몰랐는데 정확히 알게되었네요! 아쉽게도 이번년도에는 실천하지 못했지만 다음년도에 꼭 실천하도록 해야겠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2116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8877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2341
9년 만에 돌아온 폭우 file 2020.09.08 홍채린 7859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 스마트폰 가족치유캠프 개최 file 2022.07.15 이지원 7859
한-카자흐스탄 경제협력, 카자흐 경제발전의 발판되나 file 2021.08.26 허창영 7862
故 노태우 전 대통령과 전두환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인식 왜 다른가? file 2021.12.07 오유환 7867
수도권 고3 제외한 유, 초, 중, 고 원격 수업 file 2020.09.01 박정은 7869
6.25 D-DAY, 국민들 우려대로 전쟁 일어날까? file 2020.06.29 임지안 7885
한국도서관협회 입장문, '2023년 신규 사서교사 정원 동결, 즉각 철회하라' file 2022.08.05 이지원 7891
헝다그룹, 유동성 위기 극복 기대난 file 2021.09.29 윤초원 7897
집주인의 거주권 VS 세입자의 계약갱신청구권 file 2021.03.30 조혜민 7900
청년, 공공주택과 위기의 징조들 file 2021.07.19 전인애 7910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7912
"부르카 안 썼다고 총살" 또다시 여성 인권 암흑기 접어드나 file 2021.08.31 양연우 7923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19일 0시부터 1.5단계로 격상 file 2020.11.18 이유진 7942
미국과 FTA 체결 원하는 대만..미·중 신냉전 체제의 새로운 요소로 급부상 file 2020.08.20 조승우 7943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11일 만에 휴전으로 멈춰 file 2021.05.25 민호윤 7947
최대 90% 효과? 코로나 백신 화이자 1 file 2020.11.26 김태완 7951
'만취해 인천 모텔에서 女 폭행한 20대 남성...알고 보니 현직 경찰관' file 2021.07.01 김혜성 7961
코로나19 뉴노멀 file 2021.03.02 박현서 7975
정세균 총리, '코로나 대규모 확산의 길에 서 있는 일촉즉발의 상황' 1 file 2020.11.23 명수지 7976
삼성전자 이 부회장의 2년 6개월 실형 선고... 또 다른 리스크인 보험업법 개정 결과는? file 2021.01.19 김가은 7985
뉴질랜드 속 코로나19 2020.04.28 박혜린 7996
좀처럼 수그러들지 않는 코로나 확진자 수에 정부의 대책, 특별 방역관리주간 file 2021.04.26 이효윤 7996
"우한은 코로나19 기원지 아니다" 다시 시작된 중국의 주장 1 file 2020.11.23 박수영 7997
코로나19! 어디가 가장 위험할까? 충격적인 결과! file 2020.04.29 민아영 7998
청와대, "5월 13일부터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준비" file 2020.05.04 박가은 8007
광복절 집회에 대한 법원의 판결, 적절한가? file 2020.08.31 김근영 8012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015
'코로나19'로 소상공인 피해 입다 2020.03.26 이수미 8032
고조되는 美中 갈등, 어디까지인가? 2020.09.16 김나희 8034
[기자수첩] 의대 쏠림 현상, 의대 정원 늘려 해결해야 file 2023.06.24 이래경 8038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042
독감백신 사망자 점차 증가 1 file 2020.10.29 박정은 8049
코로나19에 의한 경제적 양극화 현상.. 그 이면에는 거대기업들과 무책임한 정부가 있다? file 2021.10.05 이성훈 8049
초대형 선박 좌초로 마비된 수에즈 운하 file 2021.03.29 박수영 8051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053
더 나은 대한민국을 만들 첫걸음, 4·15 총선 file 2020.04.08 박소명 8072
불법이 난무하는 도로, 범인은 전동 킥보드? 1 2020.10.12 이삭 8098
창원 남창원농협 발 코로나 확진자 급증, "공동체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일" file 2021.08.20 우한인 8099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104
심각한 경제위기에 직면한 일본.. 이대로 선진국 반열에서 탈락하나? file 2022.02.08 이성훈 8105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134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138
독감백신 종이상자로 유통 file 2020.09.28 윤지영 8138
코로나19로 힘든 시기에 한강, 과연 안전할까? file 2020.08.24 고종현 8139
공포가 된 독감백신‧‧‧ 접종 후 잇따른 사망 1 file 2020.10.26 윤지영 8140
신재생⋅친환경 에너지 활성화로 주목받는 '은' file 2021.02.10 이강찬 8140
수에즈 운하 열렸지만 문제는 여전히 file 2021.04.02 김민주 8151
임대료없어 폐업 위기, 소상공업자들의 위험 file 2021.02.01 최은영 815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