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지구를 살리는 60분, 어스 아워 캠페인

by 3기김영현기자 posted Mar 25, 2016 Views 2170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2016년 3월 19일 오후 8시 30분, 서울 코엑스의 불이 꺼졌다.
세계자연기금(WWF)에서 진행하는 "어스아워(지구촌 전등끄기)"캠페인에 참여한 것 이다.

코엑스_요청_160318_블로그-01.png

[이미지 제공 = 서울 코엑스몰 블로그 http://blog.coex.co.kr/1388]


"어스아워(지구촌 전등 끄기)"캠페인은 민간자연보호단체인?세계자연기금(WWF)에서 심각한 환경오염으로 인한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보호하기 위해 시작한 환경 보전 캠페인이다.
2007년, 호주 시드니에서 처음으로 시작된 이 캠페인은 2015년까지 전 세계 172개국의 7,000개 이상의 도시에서 개인, 기업, 기관 등이 참여하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큰 환경 운동으로 자리 잡았다.

캠페인은 매년 3월 셋째주 토요일 오후 8시 30분부터 9시 30분까지 약 한 시간동안 진행된다.
개인, 기업, 지역 커뮤니티, 단체 등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불필요한 전등을 끔으로써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세계자연기금(WWF)의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지금까지 이 캠페인을 통해 지구의 탄소배출량이 정확하게 얼마나 줄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한다. 이 캠페인의 궁극적인 목적은 단순히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것 뿐만이 아니라 전 세계사람들에게 기후변화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자신들의 생태 발자국에 대해 책임감을 갖으며 지속가능한 환경 보존 운동을 도모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9년부터 운동에 참여하였다. 서울의 남산타워를 비롯해 63빌딩, 국회의사당, 검찰청사 등 서울의 상징적인 건물들이 1시간 동안 불을 끄고 환경을 보호해왔다.
또한 지난해 한국의 '어스 아워' 운동으로 서울 공공건물에서만 400만㎾의 전력 절감과 소나무 60만 주를 심고 온실가스 1천750t을 감축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올해 어스아워 캠페인에 참여한 코엑스몰 관계자는 “어스아워 캠페인에 국내를 대표해 참여하게 돼 뜻 깊다”,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자연보호의 필요성에 대해 함께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고객이 참여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리를 다양하게 마련할 것”이라고 전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 = 3기 김영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22
    이런 행사가 있다는건 알고 있었는데 구체적으로 언제인지, 몇시부터 몇시까지 인지는 몰랐는데 정확히 알게되었네요! 아쉽게도 이번년도에는 실천하지 못했지만 다음년도에 꼭 실천하도록 해야겠어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2037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340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669
2018학년도 수능 연기, 땅이 준 기회의 7일. 2 file 2017.11.17 임하은 13951
2020년 의사 파업 그리고 현재 file 2021.03.03 이채령 8128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546
2021년 '중국' 수입제품 세율 변화 file 2021.03.02 김범준 8697
2021년 최저임금 130원 인상된 8,720원 결정…역대 최저 인상률, 그 이유는? 1 file 2020.07.24 이민기 12762
2022 부산도시재생박람회 연기 및 축소 개최 file 2022.11.04 이지원 5768
2022년 대선, 국민의힘에선 누가 대선주자가 될까? file 2021.09.30 이승열 7754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4차 정기 심포지엄 개최 file 2022.08.19 이지원 5511
2022년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청년자살예방토론회 개최 file 2022.08.25 이지원 5604
2022년 차기 대선, 20대의 '보수화' file 2021.09.23 김준기 7213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➊ 2 file 2018.02.07 김진 11327
2050년, 다시 찾아올 식량 위기 ➋ 2 file 2018.02.07 김진 10708
20대 국회의 변화! 1 file 2016.04.17 구성모 19220
20대 국회의원 선거, 새로운 정치바람이 불다 2 file 2016.04.16 황지연 16599
20대 대선에 출사표를 던진 군소후보들 file 2021.10.29 노영승 6716
20만이 외친다! 박근혜는 하야하라 4 file 2016.11.06 박채원 17238
21대 총선에서의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첫 시도, 결과는? file 2020.05.07 장민서 9208
25일 코로나 확진자 현황 file 2021.05.27 박정은 8403
27년 만에 깨어난 사람도 있다! 안락사는 허용되어야 할까? file 2019.05.27 배연비 24970
2년 만에 한국 정상회담…성공적인가? file 2021.05.27 이승우 7475
2년만에 진행된 남북 고위급 회담 file 2018.01.12 정성욱 10333
2살 아들 살해한 20대 父...늘어가는 아동학대 1 file 2017.02.24 조유림 15597
2월 14일, 달콤함 뒤에 숨겨진 우리 역사 16 file 2017.02.14 안옥주 16983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에 가려진 슬픈 역사 20 file 2016.02.14 김혜린 18784
2월 탄핵 불가능에 촛불이 다시 타오르다! file 2017.02.17 조성모 14881
2주 남은 국민의힘 2차 컷오프 경선, 최후의 4인은 누구 file 2021.09.27 윤성현 10762
2차 북미정상회담, 평화를 위한 발걸음 file 2019.03.04 김주혁 9289
3.11 이것이 촛불의 첫 결실입니다 2 file 2017.03.18 김현재 10637
3.1운동 100주년, 배경과 전개 양상 및 영향을 알아보자 file 2019.04.01 맹호 13104
30년 만에 발의되는 개헌안, 새로운 헌법으로 국민의 새로운 삶이 펼쳐진다. 2 file 2018.03.27 김은서 12564
32번째를 맞이하는 2020년 도쿄 올림픽, 과연 예정대로 열릴 수 있을까? 6 file 2020.02.28 장민우 15229
365일 우리와 함께 하는 화학물질 file 2020.05.06 이유정 7888
3년동안 끝나지 못한 비극 1 2017.09.28 윤난아 11594
3대 권력기관 개혁, 경찰 수사권 독립이란? 2018.01.23 김세정 15162
3월 9일 부분일식 관찰 2 file 2016.03.25 문채하 17008
3월 9일부터 실시된 마스크 5부제의 현재 상황은? file 2020.03.27 박가은 8174
3월, 어느 봄날의 노래 file 2017.03.25 박승연 10619
3주째 지속되는 미국 캘리포니아 토마스 산불, 그 사태의 현장은? file 2017.12.22 이수연 12965
3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신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file 2020.11.27 김성규 24451
4.13 제20대 국회의원선거의 과제 1 file 2016.04.25 강예린 17278
4.13 총선! 야당은 분열 여당은 균열 1 file 2016.04.09 최다혜 17402
4.3 민중의 아픔 속으로 1 file 2018.04.06 오수환 11731
4.7 보궐선거 이후 범야권의 반응은? file 2021.04.19 최원용 7923
4.7 보궐선거가 보여준 민심 file 2021.04.20 서호영 7782
4.7 보궐선거의 결과 그리고 그 이후의 행보 file 2021.04.26 백정훈 104376
4.7 재보궐선거 승리한 야당... '혼돈의 정국' file 2021.04.26 오지원 7129
40년 전 그땐 웃고 있었지만…국정농단의 주역들 구치소에서 만나다 file 2018.03.30 민솔 10783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7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