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by 3기서소연기자 posted Mar 24, 2016 Views 19033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64-988 경기 광주시 퇴촌면 가새골길 85 나눔의 집 (원당리)

 최근, 평화의 소녀상 철거와, 영화 귀향의 개봉으로 인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제국의 위안부라는 책을 쓴 박유하교수의 위안부관련 내용이 법적인 파문까지 일으키고, 한일 정상 간의 외교적 쟁점으로 떠오르기도 하였다 우리의 할머니 세대에서 일어났던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우리는 책이나 방송 등을 통해 역사적 사실로 피상적으로 만 이해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독도의 일본 영유권 주장과 함께 정신대로 끌려간 위안부 할머니의 문제는 늘 우리에게 민족적 감정을 불러 일으켜왔지만 아직도 근본적인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역사적 현재로 진행 중에 있다.

위안부의 문제는 독도문제처럼 민족적인 반일감정과 전혀 다른, 전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유린한 가장 잔혹한 전쟁범죄로 바라보아야한다. 우리 할머니들 시대에 겪었던 이 끔찍했던 역사적 사실을 영화로도 느낄 수 있었지만 조금 더 생생한 실제기록과 아직도 살아계신 할머니들을 직접 뵙고 싶어, 지난 320,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인 <나눔의 집>에 봉사를 신청하고 방문했다.


지금 생존해 계신 위안부 할머니들이 공동으로 살고 있는 나눔의 집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위치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199210월에 서울 마포구에서 처음으로 개원하였고, 이후 199512월에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신축되어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삶의 터전을 마련했다.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44, 그 중 10명의 할머니들이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매주 한글수업과 함께 그림수업을 진행하고 그림 전시회를 개최하여 과거 일제의 일본군 '위안부' 만행에 대한 진상을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매주 수요일 일본대사관 앞에서의 수요시위를 통하여 일제의 일본군 '위안부' 만행을 폭로하고 일본이 과거사에 대하여 진정으로 참회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할머니들이 살고 계시는 생활관, 세계 최초의 성노예 테마 인권 박물관인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국제평화인권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본 기자는 그 중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둘러보았다.


1 입구.jpeg2입구.jpeg


1458551568590.jpeg

위안부 역사관 입구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서소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위안부 역사관 입구에는 위안부의 고통을 표현한 부조물과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흉상이 자리하고 있다. 역사관 관람요금은 장애인, 어르신(65세 이상)일 경우 무료, 일반 5000, 청소년 3000원 이다.


1458551541823.jpeg역사관에서 판매중인 물품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서소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입구에서는 위안부와 관련된 다양한 물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위안부 후원 팔찌, 티셔츠, 엽서, 캔들, 서적 등이 자리하고 있다. 모든 판매 수익금은 역사관 리모델링 및 추모관 건립 등의 역사관 운영에 사용된다. 역사관 내부로 들어가면 벽면으로 후원자 목록이 전시되어 있는데, 유명인을 포함하여 고등학교 동아리 등 다양한 단체의 후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458551551812.jpeg1458551553879.jpeg
1458551547272.jpeg역사관 내부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서소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역사관 내부에는 위안소의 형태, 위안소에서의 생활, 끌려간 피해 여성들, 세계 각지의 피해 여성들 ,미국 내 위안부 소녀상 및 기림비 현황, 일본 정부의 대응과 일본 시민 활동, 세계 각국의 목소리와 국제사회의 비판, 수요시위 등 일본군 위안부 관련 각종 중요 문서와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이 곳에는 전쟁 위안부 피해여성 영가가 마련되어 있고 국내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영상 또한 볼 수 있다. 각종 글/사진 자료가 잘 마련되어 있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넓고 깊은 이해가 가능하다. 전시 자료들을 보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의 상처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고, 위안부 문제가 국내만의 문제가 아닌 전 인류적인 문제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깊게 느낄 수 있었다


당일 위안부 역사관에 일본인 가족 관람객이 방문했다. 그들은 위안부 관련 DVD를 구매하고, 책자를 유심히 읽어보았다.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 실상을 알기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고 민족이나 국적을 넘어 역사적 진실을 통해 인류의 인권을 지키고자 하는 양심적인 모습으로 보여졌다. 이런 일본인들이 더욱 많아진다면 앞으로 한일간의 미래세대에게 있어 민족감정의 문제는 풀려나갈 것 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번 나눔의 집 봉사와 탐방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쟁범죄인 동시에 인권유린의 문제라는 생각이 더욱 확고해졌다. 결코 한·일 양국의 외교 문제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일본 측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번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법적으로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합의 내용에는 피해자이신 할머니들의 의견이 포함되지 않았고, 이는 피해자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다. 일본군 위안부는 외교적 합의와 배상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결코 완전한 해결이란 없다. 일본은 국가 이미지를 위해 위안부 문제의 언급을 피할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주목을 통해 되풀이 되서는 안 될 역사적 교훈임을 되새겨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한때 국민의 관심을 끌다 잊혀지는 이슈가 아니라 아픈 역사를 통해 우리 후세에게도 다시 되풀이되지 말아야할 역사적 교훈으로 기억해 나가야한다. 조선상고사를 쓴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씀처럼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 = 3기 서소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35
    이렇게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행동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그나마 다행인 것 같아요.. ㅠㅠ 제발 진심으로 공식적인 사과를 받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589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2766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06768
[기자수첩] 데이트폭력이 부른 비극...김포 반려견 유기 사건 1 file 2024.03.13 김진원 5327
[기자수첩] 다시 등장한 범죄자신상 사이트...'사적 심판' 확산 file 2024.05.18 김진원 2941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차별...'케어키즈존'이 필요하다 file 2023.12.31 심이슬 5717
[기자수첩] 광주 중학생들 대낮에 금은방 털어...'촉법소년' 처벌 높여야 file 2023.05.06 김휘진 6077
[기자수첩] 공정위는 왜 통신3사에 과징금 336억원을 부과했을까 file 2023.06.29 김휘진 5099
[기자수첩] SKT 인공지능 '에이닷' 출시에...통신비밀법 해석 이견 file 2023.11.24 김휘진 4548
[기자수첩] AI, 인공지능이 규제되어야 하는 3가지 이유 file 2023.07.26 서예영 10478
[기자수첩] 9호선, 공항철도 직결 합의...인천시민 '기대' file 2023.12.31 박서율 5233
[기자수첩] 8.14 위안부 수요시위는 평화를 외쳤다 2023.10.20 정세윤 5113
[기자수첩] '노키즈존'은 혐오 표현...아동 차별에 반대한다 file 2023.07.21 김하은 7162
[기자수첩] '검정 고무신' 작가의 죽음이 사회에 남긴 것 file 2023.04.12 김진원 7435
[기자수첩] "시간 많이 썼는데"...고1 6월 모의고사 문제오류에 수험생들 당혹 file 2023.06.29 정현정 9929
[기자수첩] "공사장에서 부려먹고 학대"...탄현동 헤드록 살인사건의 전말 file 2023.09.16 김진원 6581
[공지]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콘텐츠 업데이트 일자 안내 file 2017.01.06 온라인뉴스팀 16117
[공동취재] 기획기사 ③ 꿀잠, 그래서 뭐 하는 곳인데? file 2021.12.27 이유림 7445
[공동취재] 기획기사 ② 비정규노동자들의 쉼터 ‘꿀잠’, 재개발 속 부딪히는 이해관계 file 2021.12.27 함지원 7488
[공동취재] 기획기사 ① 신길 2구역 “재개발만으로는 설명 불가능하다” file 2021.12.24 오정우 9282
[PICK] 중국 기업 CEO들의 대거 사퇴.. 중국의 자유시장 위협받다 file 2021.09.02 이성훈 250805
[PICK] 백신 맞으려고 모의고사 접수? 절반이 25세 이상 file 2021.07.20 김해린 92081
[PICK] 독일 연방하원 선거... '혼전' file 2021.06.24 오지원 87487
[PICK] 델타 변이 바이러스, 한명 당 평균 9명에게 전파 file 2021.08.27 김해린 127318
[PICK]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와 검찰의 연이은 이첩 분쟁, 향후 미래는 file 2021.06.28 김민성 88687
[PICK] 美과 中의 양보없는 줄다리기, 흔들리는 지구촌 file 2021.07.07 한형준 91876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0946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435
[4.7 서울시장 선거] '이분법정치의 패배'...네거티브는 먹히지 않았다 file 2021.04.09 김도원 9575
[3.1절 97주년 기념] 3.1절은 쉬는 날? 1 file 2016.03.25 김미래 17544
UN반기문의 대선출마선언 가능한가?? 7 2017.01.20 한한나 16385
UAE 홈 팬들의 물병 투척, 당당하지 못한 행동 file 2019.01.31 박상은 10468
TV, 혈전으로의 죽음 위험증가 file 2016.07.28 양유나 15238
TOEIC 시험 중 들린 소음 file 2018.10.23 정예은 10923
TIMES와 종이신문의 그림자 4 file 2016.05.25 김초영 21848
SRF 열병합 발전소 신재생에너지의 빛인가? 어둠인가? 1 file 2018.02.28 이현규 16261
SNS상 신조어 사용, 영화 말모이를 통해 돌아보다 3 file 2019.02.01 김수민 23509
SNS는 사람이다 file 2019.11.29 전혜은 14617
SNS가 되어버린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1 file 2018.08.16 지윤솔 10661
SNS 마케팅에 대하여 1 file 2019.02.21 김세진 12916
Snapmaker 2.0 , 킥스타터에서 3D프린터의 틀을 깨다 2019.05.30 박진서 12314
SKY 캐슬, 그리고 우리나라의 현실 2 file 2019.02.26 김성철 15662
SBS, 또 터진 일베논란 3 file 2017.05.22 추연종 15897
S-OIL, 샤힌 프로젝트에 9조원 투자...2026년 6월 완공 file 2023.03.10 디지털이슈팀 6090
Review 20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란? file 2018.11.19 이호찬 13586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511
PB상품, 득일까 독일까? 4 file 2017.07.26 서주현 11199
OECD 국가 중 만 18세에게 선거권을 주지 않는 나라는 우리나라 뿐 2 file 2018.04.05 김선웅 21507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407
Netflix가 시작한 OTT서비스, 과연 승자는 누구일까? file 2019.12.24 이지현 1312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