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 “나눔의 집” 탐방

by 3기서소연기자 posted Mar 24, 2016 Views 1916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464-988 경기 광주시 퇴촌면 가새골길 85 나눔의 집 (원당리)

 최근, 평화의 소녀상 철거와, 영화 귀향의 개봉으로 인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제국의 위안부라는 책을 쓴 박유하교수의 위안부관련 내용이 법적인 파문까지 일으키고, 한일 정상 간의 외교적 쟁점으로 떠오르기도 하였다 우리의 할머니 세대에서 일어났던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우리는 책이나 방송 등을 통해 역사적 사실로 피상적으로 만 이해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독도의 일본 영유권 주장과 함께 정신대로 끌려간 위안부 할머니의 문제는 늘 우리에게 민족적 감정을 불러 일으켜왔지만 아직도 근본적인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역사적 현재로 진행 중에 있다.

위안부의 문제는 독도문제처럼 민족적인 반일감정과 전혀 다른, 전 인류의 보편적 가치인 인권을 유린한 가장 잔혹한 전쟁범죄로 바라보아야한다. 우리 할머니들 시대에 겪었던 이 끔찍했던 역사적 사실을 영화로도 느낄 수 있었지만 조금 더 생생한 실제기록과 아직도 살아계신 할머니들을 직접 뵙고 싶어, 지난 320,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 후원시설인 <나눔의 집>에 봉사를 신청하고 방문했다.


지금 생존해 계신 위안부 할머니들이 공동으로 살고 있는 나눔의 집은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위치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199210월에 서울 마포구에서 처음으로 개원하였고, 이후 199512월에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신축되어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삶의 터전을 마련했다. 위안부 피해자 중 생존자는 44, 그 중 10명의 할머니들이 나눔의 집에서 생활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매주 한글수업과 함께 그림수업을 진행하고 그림 전시회를 개최하여 과거 일제의 일본군 '위안부' 만행에 대한 진상을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매주 수요일 일본대사관 앞에서의 수요시위를 통하여 일제의 일본군 '위안부' 만행을 폭로하고 일본이 과거사에 대하여 진정으로 참회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할머니들이 살고 계시는 생활관, 세계 최초의 성노예 테마 인권 박물관인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국제평화인권센터 등을 운영하고 있다.


본 기자는 그 중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둘러보았다.


1 입구.jpeg2입구.jpeg


1458551568590.jpeg

위안부 역사관 입구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서소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위안부 역사관 입구에는 위안부의 고통을 표현한 부조물과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흉상이 자리하고 있다. 역사관 관람요금은 장애인, 어르신(65세 이상)일 경우 무료, 일반 5000, 청소년 3000원 이다.


1458551541823.jpeg역사관에서 판매중인 물품들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서소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입구에서는 위안부와 관련된 다양한 물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위안부 후원 팔찌, 티셔츠, 엽서, 캔들, 서적 등이 자리하고 있다. 모든 판매 수익금은 역사관 리모델링 및 추모관 건립 등의 역사관 운영에 사용된다. 역사관 내부로 들어가면 벽면으로 후원자 목록이 전시되어 있는데, 유명인을 포함하여 고등학교 동아리 등 다양한 단체의 후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458551551812.jpeg1458551553879.jpeg
1458551547272.jpeg역사관 내부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서소연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역사관 내부에는 위안소의 형태, 위안소에서의 생활, 끌려간 피해 여성들, 세계 각지의 피해 여성들 ,미국 내 위안부 소녀상 및 기림비 현황, 일본 정부의 대응과 일본 시민 활동, 세계 각국의 목소리와 국제사회의 비판, 수요시위 등 일본군 위안부 관련 각종 중요 문서와 사진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이 곳에는 전쟁 위안부 피해여성 영가가 마련되어 있고 국내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증언영상 또한 볼 수 있다. 각종 글/사진 자료가 잘 마련되어 있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넓고 깊은 이해가 가능하다. 전시 자료들을 보며 위안부 피해자 분들의 상처를 생생하게 느낄 수 있었고, 위안부 문제가 국내만의 문제가 아닌 전 인류적인 문제라는 것을 다시 한 번 깊게 느낄 수 있었다


당일 위안부 역사관에 일본인 가족 관람객이 방문했다. 그들은 위안부 관련 DVD를 구매하고, 책자를 유심히 읽어보았다. 일본인임에도 불구하고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그 실상을 알기위해 노력하는 모습을 보고 민족이나 국적을 넘어 역사적 진실을 통해 인류의 인권을 지키고자 하는 양심적인 모습으로 보여졌다. 이런 일본인들이 더욱 많아진다면 앞으로 한일간의 미래세대에게 있어 민족감정의 문제는 풀려나갈 것 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이번 나눔의 집 봉사와 탐방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전쟁범죄인 동시에 인권유린의 문제라는 생각이 더욱 확고해졌다. 결코 한·일 양국의 외교 문제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일본 측은 최종적이고 불가역적 해결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이번 합의로 위안부 문제가 법적으로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합의 내용에는 피해자이신 할머니들의 의견이 포함되지 않았고, 이는 피해자 입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다. 일본군 위안부는 외교적 합의와 배상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결코 완전한 해결이란 없다. 일본은 국가 이미지를 위해 위안부 문제의 언급을 피할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주목을 통해 되풀이 되서는 안 될 역사적 교훈임을 되새겨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한때 국민의 관심을 끌다 잊혀지는 이슈가 아니라 아픈 역사를 통해 우리 후세에게도 다시 되풀이되지 말아야할 역사적 교훈으로 기억해 나가야한다. 조선상고사를 쓴 단재 신채호 선생의 말씀처럼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청소년 기자단 사회부 = 3기 서소연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김윤정기자 2016.04.05 22:35
    이렇게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행동해주시는 분들이 계셔서 그나마 다행인 것 같아요.. ㅠㅠ 제발 진심으로 공식적인 사과를 받길 바랍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14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07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405
탄핵, 그 후 경제는? file 2017.03.21 장혜림 10957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웨이퍼의 대량 도핑 기술 개발... 대량생산 원천기술 확보 file 2022.02.28 한건호 8304
탈레반 정권 장악: 아프간 경제 파탄 위기 file 2021.09.24 황호영 7424
탈코르셋, 페미니스트... 왜? file 2018.10.05 김혜빈 14942
탕후루, 마라탕 유행에...청소년 건강은 적신호 file 2023.10.05 고민서 7676
태국에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일어나고 있는 반정부 시위. 왜 일어나고 있는가? file 2021.01.21 김광현 10524
태극기 집회에서 그들의 정의를 듣다 2 file 2017.02.17 장용민 15385
태극기 휘날리면 촛불은 꺼진다? 2 file 2017.03.04 김재정 23840
태영호 - 3층 서기실의 암호 1 file 2018.11.27 홍도현 10225
태풍 18호 차바의 영향을 살펴보자 file 2016.10.25 김규리 18727
택배박스 속에서 죽어가는 동물들, ‘동물 택배 배달’ 1 file 2017.11.22 김해온 16551
터키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시선 2 2017.08.07 김정환 10827
테러, 우경화를 가속시키다 2 file 2016.03.24 조민성 18729
테러방지법을 막기 위한 필리버스터의 반란 7 file 2016.02.25 황지연 21718
테트라팩에 대해 알아보자 file 2020.08.20 김광영 8746
텔레그램 n번방 사건, 과연 '박사방'이 끝인가? file 2020.04.06 류현승 9174
텔레그램 n번방 피의자 신상공개, 국민청원 200만 넘어 file 2020.03.24 김지혜 10021
텔레그램 신상 공개 언제쯤 file 2020.04.29 김소연 9460
통영시 청소년들 만18세 투표권행사 열어 1 file 2017.02.20 김태지 17359
통일을 하면 경제가 좋아질까...? file 2018.11.21 강민성 11380
통장개설 제한만이 과연 대포통장을 막을 수 있는 해결방안인가 file 2016.10.25 조해원 23507
통제불가 AI... 결국 서울 '상륙' 2 file 2017.02.05 유근탁 16911
통합당, 당명 '국민의힘'으로 바꾼다 file 2020.09.03 나은지 8824
통화녹음 알림 법, "사생활 침해 vs 약자 보호" 4 file 2017.09.04 전영은 15372
퇴직연금 수익률 디폴트 옵션으로 극복 가능할까, 디폴트 옵션 도입 법안 발의 file 2021.03.29 하수민 9412
투표하는 고3, 무엇이 필요한가?: 범람하는 가짜 뉴스의 인포데믹과 청소년 시민 교육의 필요성 file 2020.03.30 황누리 9007
트럼프 "기생충 수상, 한국이 왜?" 1 file 2020.03.30 남정훈 9526
트럼프 反이민 행정명령, 등 돌리는 사람들 file 2017.02.07 권윤주 18485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향한 거침없는 비난 file 2020.06.09 김서원 6973
트럼프 대통령의 반이민 행정명령의 또 다른 의도는 없을까? 2 file 2017.02.15 김채원 15125
트럼프 대통령의 비난과 억지뿐인 결과 뒤집기 2020.12.23 김하영 7996
트럼프 대통령의 초강수, 보호무역 1 file 2017.10.25 김규리 13536
트럼프 반이민 행정명령 지지율 55%...트럼프 "가장 인기있는 행정명령" 9 file 2017.02.10 정예빈 19693
트럼프 보호무역주의, 어떤 영향이 있을까? 2017.02.24 김태욱 20650
트럼프 역대 최저 지지율, 등돌리는 여당 지지자들 1 file 2017.05.23 장진향 10331
트럼프 입시부정? 연이은 조카의 폭로 2020.07.13 조은우 9245
트럼프, 바이든에 협조하지만 대선 결과 승복은 ‘아직’ 1 file 2020.11.27 김서현 8498
트럼프, 이란 대통령에게 '강력 발언'…"조심하는 게 좋을 것" 1 file 2017.02.14 정승민 16554
트럼프, 한국에 압박을 가하기 시작하다. 1 2017.02.20 유현지 15755
트럼프와 러시아 사이에는 과연 무슨 일이 있었는가? file 2017.06.21 박우빈 11883
트럼프의 대선 연기 주장, 반응은 싸늘? file 2020.09.22 임재한 9250
트럼프의 미국, 어디로 가는가 file 2017.03.25 임선민 10987
트럼프의 악수에 담긴 의미? "내가 갑이다" 4 file 2017.02.23 박유빈 33381
트럼프의 위대한 미국; 미국 vs 멕시코 3 file 2017.02.23 류혜원 17959
특검, 그들은 누구인가? 3 file 2017.02.16 김예진 15328
특검수사 기간 D-11, 특검 연장을 외치며 시민들 다시 광장으로 file 2017.02.19 김동언 17480
특검의 히든카드 '국회청문회위증죄', 이젠 진실을 밝힐 때가 왔다 19 file 2017.01.15 김다인 19266
파격적인 최저임금 두 자릿수 인상, 과연 좋은 일일까? 1 file 2017.07.22 이승희 1067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