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CGV 좌석차등제, 영화관 좌석에 등급이 웬말인가

by 4기정현호기자 posted Mar 20, 2016 Views 3549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취재지역 세종특별자치시 도움1로 108 (세종특별자치시 종촌동 673) CGV 세종 (종촌동, 몰리브)

CGV6.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정현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지난 33일부터 CGV에 좌석차등제가 시행됐다. 좌석 차등제란 영화관의 좌석을 이코노미존, 스탠다드존, 프라임존 세 구역으로 나눠 가격을 다르게 하는 제도이다. 기존보다 이코노미석은 1,000원을 할인해 주고, 스탠다드석은 가격 유지, 그리고 프라임석은 1,000원이 인상되었다.


CGV6.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정현호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그러나 소비자들의 반응은 탐탁지 않다. 갑작스러운 가격 변동에 여러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먼저 그동안 빠르게 예매해서 좋은 자리를 얻어 영화를 관람했던 소비자들이 프라임석이라는 이유 하나만으로 1,000원을 더 지불해야 한다는 점이다. 소비자들은 기업의 이익을 위한 얕은 꼼수라며 좋지 않은 시선을 보낸다. 시트의 품질이 달라지거나 좌석별로 서비스의 질이 차별화된 것도 아닌 단지 위치로만 가격을 차등화했다.

 

 또한, 저렴한 가격의 좌석을 예매하고 영화가 시작될 즈음 프라임존으로 이동하는 이른바 메뚜기족이 등장했다. 오히려 제값을 주고 프라임존을 구매한 고객들이 억울한 상황이 된 것이다. 게다가 영화 초반부에 메뚜기족의 이동으로 분위기가 어수선해져 관람하기 불편한 상황도 벌어졌다. 하지만 직원들이 일일이 확인할 수도 없고, 확인하게 되면 더 불편한 상황이 생기기 때문에 CGV 측은 관객의 양심에 맡길 것이라고 밝혔다.

 

 직접 세종 CGV를 취재해보니 스크린에서 5줄까지는 텅텅 비어 있었다. 결국, 돈보다 좋은 자리에 앉는 것을 더 중요시하는 관객은 프라임석을 기꺼이 구매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렇게 갑자기 요금을 인상해도 관객들이 어쩔 수 없이 CGV를 찾는 것은 CGV가 영화 시장 점유율 41%를 독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좌석차등제는 기업의 이익만 극대화하는 제도가 될 것이다. 더 문제인 것은, 일부 기업들의 담합으로 소비자들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점이다. 바로 시장 2위를 차지하는 롯데시네마도 CGV를 따라 좌석차등제를 검토하고 있다. 만약 롯데시네마도 좌석차등제를 시행할 경우, 영화관의 75%가 시행될 것이다.

 

 그리고 좌석별 분포도를 보면 (세종 CGV 기준) 이코노미존 41, 스탠다드존 58, 프라임존 63이다. 1,000원을 할인해 주는 이코노미석은 25% 정도 해당하며 오히려 1,000원 인상되는 프라임존은 40%에 육박한다. 전체적으로 가격이 인상됐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가격이 갑자기 인상되면 비교적 대중적이었던 영화를 볼 때 부담이 커지게 되고, 결국 서민들의 문화생활에 큰 타격이 될 가능성이 크다.

 

 CGV가 야심차게 내놓은 제도이니만큼 철회할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소비자들을 만족하게 할 수 있을까? 먼저 좌석을 가격별로 등급화한 만큼 좌석별 서비스의 차별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소비자가 1,000원을 더 지불하더라도 감수할 만한 혜택이 필요하다. CGV가격 다양화라고 내건 만큼 서비스가 다양해져야 한다. 서비스가 그대로이면서 가격차등을 실시하는 것은 그저 가격 인상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또한, 여러 가지 할인 혜택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요금이 1,000원 인상된 만큼 팝콘이나 콜라를 저렴한 가격으로 많은 양을 구매할 수 있는 할인이 있다면 손님들은 기꺼이 금액을 지불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정현호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3기전지우기자 2016.03.21 00:13
    영화관 등급제로 인해 영화만 시작하면 좌석대란이 일어난다고 합니다. CGV측에서는 이런 상황을 예측 못하고 가격을 올렸겠지만 이로 인하여 관람객들이 더 많은 피해를 보고 있습니다. CGV를 보이콧하고 타사 영화관으로 가겠다는 관람객도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기자님의 유익한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 2016.03.21 22:46
    등급제를 발표한 것에대해서 개인적으로 실망했습니다. 영화를 좋아하는 영화인으로써 말씀드리자면, 등급제를 실시한 영화관에서는 영화를 돈주고 보는것이 조금은 아깝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마 저를 포함한 많은 분들이 등급제가 없는 영화관으로 찾아가시지 않을까 합니다. 물론 등급제를 찬성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요. 하지만... 저는 그다지 좋은 제도라고 생각이 들지는 않네요 :(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
    3기정가영기자 2016.03.24 20:27
    저도 이 소식을 듣고 굉장히 큰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문화생활을 하는데 일인당 만원이 넘어가는 것은 터무니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등급좌석제가 운영될 경우 사람들이 프라임존을 기피하고 다른 좌석을 선택한 후 영화 상영 시작 후 자리를 옮겨버리는 등의 문제들도 발생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등급제'라는 단어의 어감부터가 소비자들이 기피하도록 만드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잘 읽었습니다.
  • ?
    3기박진우기자 2016.03.24 22:36
    영화 등급제가 이젠 비 경제적 활동 인구의 문화 생활마저 힘들게 하여 되어 매우 걱정입니다. 이젠 CGV 측에서 낮잠을 위한 영화 좌석도 판다던데 너무나 경제적 이윤만 추구하는 CJ 측에 화가 나네요. 저도 CGV 보이콧에 동참해야 겠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5.22 11:12
    웬 등급제인가요 ㅠㅠ 해결책을 마련하든, 폐지를 하던 해야할것같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7292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519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9618
청소년 흡연, "죽음의 지름길" 2014.07.26 장원형 23412
청소년들이여 흡연의 불씨를 꺼라 2014.07.26 양나나 22966
미디어의 중심에 선 청소년, 위태로운 언어문화 2014.07.27 김지수 21123
위험에 빠진 청소년, 흡연으로부터 멀어질 방법은? 2014.07.27 김대연 23741
언어는 칼보다 강하다 2014.07.27 박사랑 20597
청소년 언어문화, 이대로 괜찮은가? 2014.07.27 장은영 30825
심각한 간접흡연의 피해들 2014.07.27 정진우 19326
[오피니언] 모든 병의 근원! 흡연!!! 2014.07.27 전민호 20970
청소년 언어문제 , 욕설문제 해결이 우선 file 2014.07.27 이동우 54107
청소년의 흡연과 실질적인 방안 2014.07.28 김서정 22670
내가한흡연은 나만의 것이 아니다. 2014.07.29 박지원 23378
계속해서 늘어나는 청소년 흡연 문제 2014.07.30 이수연 21571
청소년들의 흡연 file 2014.07.30 1645 20523
청소년들의 흡연 2014.07.30 변다은 22089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해, 오늘 하루 만큼은 금연하세요 2014.07.31 장정윤 22967
청소년 흡연,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2014.07.31 구혜진 22442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 맞아 죽는다 2014.07.31 1677 33683
청소년 흡연, 치명적인 독 file 2014.07.31 이가영 34440
청소년 흡연- 김성겸 file 2014.07.31 김성겸 21898
언어파괴로 얼룩진 청소년들의 언어문화 2014.07.31 박민경 23303
대안 문화에서 미숙한 문화로 2014.07.31 조민지 27719
보이지 않는 살상무기 말 2014.07.31 최정주 24402
청소년 흡연문제 1 2014.07.31 정다인 22412
청소년들의 금연,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2014.07.31 이종현 21054
담배연기에 찌든 청소년들 2014.08.01 송은지 22866
47만 명의 청소년이 흡연자, 흡연 저연령화 막아야…. file 2014.08.16 김소정 22873
9시등교, 개선이 필요하다. 2014.09.04 이세영 26063
[인터뷰] 경기도 9시 등교에 대한 학생들의 다른 의견 file 2014.09.06 천종윤 22157
밑 빠진 독에 9시 등교 붓기 file 2014.09.06 박정언 2785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9시등교인가? 2014.09.06 박인영 21170
9시등교, 11시 하교 나아진 것은 없다. 2014.09.07 장은영 23627
9시 등교, 과연 이대로 괜찮을까? 2014.09.09 김도희 21147
9시 등교에 대한 여러 의견 2014.09.10 박어진 19627
‘9시 등교’, 치열한 찬반 논쟁 이어져… 학생들의 의견은? file 2014.09.10 김소정 21801
9시 등교, 적합한 시스템인가 2014.09.11 양세정 21484
9시 등교, 이대로 진행해야 하는가 2014.09.11 배소현 22138
[9시 등교] 상존하는 양면적 모순은 누구의 책임인가 1 2014.09.14 박현진 20595
9시 등교, 이대로 계속 시행되어야 하나? 1 2014.09.14 홍다혜 20272
9시등교 누구를 위한 것인지....... 2014.09.15 신정원 19420
9시등교에 대한 여러 찬반의견 2014.09.15 김수연 22365
9시 등교 ···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4.09.15 이지현 22752
9시 등교 과연... 학생들의 생각은? 1 2014.09.15 박성아 21913
[:: 경기도의 9시 등교, 시행해본 결과는 ...?? ::] 2014.09.16 장세곤 21139
9시 등교제, 지켜보자 2014.09.18 정진우 21478
9시등교, 우리 학교 이야기. 2014.09.19 황유진 24044
이상화 현실의 모순 9시등교, 최대 수혜자는 학생 2014.09.20 신정은 22847
9시 등교제,9시 '하원'제로.. 2014.09.20 최아연 26855
9시 등교, 주사위는 던져졌다. file 2014.09.21 최한솔 200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