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개학이 두려운 학생들-'새 학기 증후군'

by 3기김지율기자 posted Feb 25, 2016 Views 1673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새학기증후군-그림1.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지율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직장인에겐 ‘월요일 증후군’, 주부들에겐 ‘명절 증후군’이 있다면 학생들에게는 ‘새 학기 증후군’이 있다. 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이**양은 “새 학기가 오면 많이 불안하고 우울해요. 친구도 새로 사귀어야 하고 성적부담도 많이 되거든요.”라고 말했다. 또한 중등 종합학원 브랜드  ‘비상아이비츠가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전체의 62%가 ‘새 학기 스트레스를 받는다.’ 라고 답했다. 이처럼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새 학기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는 것이다. 새 학기가 되면 학생들은 새로운 환경에 직면한다. 사람들이 새로운 환경과 마주하게 되면 약간의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것에 극도의 두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이 있다. 이처럼 심한 불안과 스트레스는 '새 학기 증후군'의 대표적인 증상이다.



f8c71ba1998d39417ce712a134e72afc.pn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3기 김지율기자,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새 학기 증후군은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부적응 양상으로 새로운 환경과 관계를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말한다. 이것은 새 학기에 대한 긴장과 불안에 의한 스트레스로부터 시작되는데, 학생들이라면 누구나 걱정하는 학업에 대한 부담, 친구 관계 등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새 학기 증후군이 한 달 넘게 지속되며 극도로 심한 경우는 대인 관계와 사회성, 인격 등에 큰 악영향을 줄 수 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청소년들은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과 9월에 가장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새 학기 증후군이 우울증으로 악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연관 증상으로 두통, 복통, 감기, 피로, 성격장애와 틱장애 등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새 학기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걱정과 불안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를 가라앉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 방법으로 등산 등의 적당한 운동, 충분한 수면, 활발한 취미 활동과 같은 심리적 안정을 취하는 것 등이 있다. 약간의 불안과 긴장 등은 새 학기 적응 기간이 지나면 사라지지만, 새 학기 증후군 증상이 한 달 넘게 계속된다면 전문의와 상담해보는 것이 좋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3기 김지율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 ?
    온라인뉴스팀 2016.02.25 19:04
    (댓글) 3기김수빈기자

    정말 공감가는 이야기가 많은 것 같네요! 새학기 증후군이라는 것이 정말 어떤 것이구나라는 거 자세히 알게되었어요! 잘 읽었습니다.

    (댓글) 3기강예린기자

    새학기 증후군이라는 것을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댓글) 3기유승균기자

    새학기 증후군...항상 느끼지만 있을줄은 몰랐습니다
  • ?
    3기목예랑기자 2016.02.25 19:09
    새학기 증후군이란 것을 오늘 처음 알았네요! 좋은 정보, 기사 잘 읽고 갑니다^^
  • ?
    3기박준수기자 2016.02.25 22:15
    이런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불앙해하고 잇다니 그 게 너무 안타깝네요
  • ?
    3기이상훈기자 2016.02.25 23:33
    새학기 증후군이라는 증상도 있군요. 자세히 잘 알 수 있어서 유익한 기사였습니다. 잘 읽었습니다~
  • ?
    3기김윤정기자 2016.02.26 00:22
    다들 새학기 하면 긴장되고,떨리고,설레고 하는 줄만 알았는데 새학기 증후군이라는것도 있었다니.. 신기하네요 친구들이 너무 긴장하지 않았으면 좋겠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ㅎㅎ
  • ?
    베이맥스 2016.02.26 09:06
    새학기엔 당연히 있는건줄만 알았던 긴장감이 증후군이라는 형태로 다양하게 있다걸 새로 알게 되었어요.
    좋은글 감사합니다.~~~ 다음번엔 더 좋은 기사 기대할께요^^
  • ?
    3기최은지기자 2016.02.26 18:20
    학교에 가는 고등학생으로써 정말 공감이 가네요..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3기권주홍기자 2016.02.29 18:50
    새학기증후군이라는 말도있다니 신기합니다~~잘읽었어요!
  • ?
    3기전재영기자 2016.03.02 22:44
    새학기 증후군이 있다는 것을 처음알았어요. 학생들이 새학기에 대해 많은 부담을 갖지 말고 그 전날에 충분한 수면을 취한 후 한결 가벼운 마음으로 등교했으면 좋겠네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이송림기자 2016.03.03 00:00
    새로운 친구들을 만난다는것도 설레지만 그 친구들과 좋은 감정으로 유지 된다는 보장은 없으니까요. 저도 어느정도 새학기 증후군을 겪고 있었나봐요ㅋㅋ:)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
    4기차유진기자 2016.03.19 20:16
    새학기 증후군에 대해 오늘 처음 알게 되었고 정말 공감이 가는 기사였던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와 정보 감사합니다!
  • ?
    3기문채하기자 2016.03.25 22:53
    새학기 증후군이라는게 정말 있다니 신기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 ?
    3기문채하기자 2016.03.25 22:53
    새학기 증후군이라는게 정말 있다니 신기하네요! 기사 잘 읽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1778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9094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3398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511
꿈의 직장, 인천공항 ‘정규직 전환 논란’ file 2020.06.25 유시온 10324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360
어둠의 그림자, 청소년들을 덮치다 file 2020.06.23 최유림 11321
정의연은 과연 누구를 위한 단체인가? file 2020.06.23 이예빈 9875
소년법 개정되나? file 2020.06.19 이지우 9723
누군가의 대변이 치료제가 될 수 있다? 2020.06.18 박혜린 8064
나날이 늘고 있는 아동학대, 가정폭력...줄일수는 없을까? 2 file 2020.06.17 이채원 13343
등교개학 이후, 학교 VS 코로나-19 2020.06.16 홍승우 8309
미국에서 일어난 시위와 폭동, 'Black Lives Matter' 1 2020.06.16 허예진 9722
'강제징용' 일본의 뻔뻔한 태도 2020.06.10 조은우 8619
PK8303의 추락. 이유와 결과 2020.06.10 이혁재 7584
트럼프 대통령, 중국을 향한 거침없는 비난 file 2020.06.09 김서원 6935
미국의 인종차별 항의 시위, 우리의 인권의식은? 2 file 2020.06.08 유지은 19731
코로나로 인한 여행 file 2020.06.08 양소은 8745
대중교통도 마스크 의무화 1 file 2020.06.05 최윤서 10670
평등하고 자유로운 나라 미국의 인종차별 file 2020.06.02 임상현 9120
체포 과정에서 용의자를 질식사하게 한 미국 경찰, 그리고 이어진 '플로이드 사망 시위' file 2020.06.02 김가희 7978
교과서 속 부정확한 성(性) 지수 교체 시급 file 2020.06.02 박지훈 9067
일본과 우리의 코로나19 대응 차이 2020.06.01 이다진 8463
청소년을 향한 담배 광고, 괜찮은 걸까? file 2020.06.01 김가희 8656
저가항공사들의 반란? 1 2020.06.01 이혁재 8394
멈추지 않는 코로나19, 더이상 지체할 수 없는 등교 개학 file 2020.06.01 박소명 7858
코로나 이후 떠오르는 '언택트' 산업 2020.06.01 신지홍 8815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온라인 개학 file 2020.05.29 조현수 13758
코로나19로 더욱 깊어진 게임 중독의 늪 file 2020.05.28 오윤성 11480
사은품 가방 얻고 난 후 버려진 커피 300잔 file 2020.05.28 김태희 8160
코로나19 사태, 숨겨진 일등공신은? file 2020.05.27 임서현 8270
대재앙 코로나19, 논란의 일본 코로나 학생 재난지원금 차별 file 2020.05.27 송승연 18354
닌텐도 스위치의 가격 폭등 file 2020.05.27 백진이 9914
학생들이 지금 ‘공허한 메아리’를 듣고 있다고? file 2020.05.27 최유진 9229
한국 최초 기관단총 K1A 2020.05.27 이영민 12942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에 놓인 홍콩 1 file 2020.05.26 신지윤 8413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소소하지만 확실한 노력' file 2020.05.26 박아연 8592
‘n번방 사건 영화화’ 논란되자 제작 취소 file 2020.05.26 유시온 10346
역대로 일 안하는 20대 국회... 끝까지 자기 몫은 챙겼다? file 2020.05.26 김대훈 14229
'전 국민 고용보험시대'의 시작 file 2020.05.26 박병성 8609
미성년자, 성범죄의 가해자가 되는 시대 2 file 2020.05.26 오주형 7933
슬로벌라이제이션; 새로운 세계화의 흐름 file 2020.05.25 조민경 9424
아무도 몰랐던 담배 회사의 마케팅 전략, 타깃은 청소년? 1 file 2020.05.25 권가영 31252
우리의 적은 코로나19인가, 서로에 대한 혐오와 차별인가 file 2020.05.25 장은서 8728
스팸 메일, 알고보니 환경 파괴 주범 file 2020.05.25 오경언 9477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514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9539
사회적 거리두기 무시한 채 이태원 간 연예인들 file 2020.05.21 배선우 11581
그날을 기억하다 file 2020.05.21 최유림 7952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 바이러스, 그 근원지는 어디? file 2020.05.20 김가희 8438
세계 성평등 지수 국가 7위인 뉴질랜드와 115위인 한국이 바라보는 페미니즘은 다를까? 1 2020.05.19 박혜린 133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 9 10 11 12 13 14 15 16 17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