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문화&라이프

K-푸드 열풍에 웃는 농심...한국 음식 수출 늘어난다

by 23기황예희기자 posted Nov 27, 2023 Views 6184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KakaoTalk_20231025_201803150.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3기 황예희 기자]


"제발 KIMBAP 좀 그만 사... (Guys please stop buying the frozen kimbap...)" 한 외국 네티즌이 모 SNS에 남긴 글이다. K-컬처의 흥행이 K-팝, K-뷰티, K-콘텐츠를 지나 K-푸드까지 열풍을 불러오고 있다. 세계 곳곳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자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도 함께 고조된 것이다. 이에 따라 농심을 포함한 식품 관련 기업들이 연달아 긍정적인 실적을 기록하고 있다. 


현재 미국에서 한국 김밥은 없어서 못 먹는 음식이다. 지난 8월부터 9월 한 달 사이, 한국산 냉동 김밥이 미국 식품점 체인 트레이더 조(Trader Joe’s)에서는 전국 42개 주 560여 개 지점마다 물량이 한 달도 안 돼 완판됐으며, 그 규모가 무려 250톤이다. 


경북 구미의 중소 식품업체 올곧이 만든 이 냉동 김밥 ‘KIMBAP’은 틱톡, 인스타그램과 같은 플랫폼에서 ‘10점 만점의 10점’이라며 극찬을 받고 있다. 김밥이 미국에서 큰 인기를 끌게 된 것은 김밥이 건강식이기 때문이다. 미국은 현재 대도시 중심으로 건강식, 채식(vegan)이 유행하고 있다. 김밥은 채소와 밥, 해조류인 김으로 가득 채운 건강식이다. 더불어, 올곧은 냉동 김밥을 납품할 때 수출 통관이 까다로운 햄, 계란과 같은 동물성 재료는 제거하고 유부, 잡채와 같은 식물성 재료로 대체해 유행에 더욱 잘 승선할 수 있었다.


또한, 김밥은 속 재료를 직접 선택하여 자신의 기호에 따라 섭취할 수 있다. 휴대가 간편하고 젓가락, 접시와 같은 식기 없이 한입으로 깔끔하게 섭취할 수 있다는 것도 김밥 유행의 한몫 했다.


현재 미국은 외식 값과 팁이 치솟는 현상으로 식당을 기피하고 테이크아웃이나 냉동 조리 식품을 선호하는 분위기다. 그러한 미국에서 김밥은 영양도 좋고 3.99달러(약 5400원)라는 적당한 가격까지 겸비와 완벽한 식품이 된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K-콘텐츠가 김밥 유행을 파생시켰다는 주장도 있다. 지난해 넷플릭스에서 세계적인 인기를 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주인공 우영우(박은빈)는 작중 김밥만 먹는 인물로 그려진다. 또한, 그녀의 아버지는 김밥집을 운영한다. 학교폭력의 참상을 그린 드라마 ‘더 글로리’에서도 주인공 문동은(송혜교)이 김밥을 홀로 먹으며 복수를 다짐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K-푸드 열풍, 뷰티와 콘텐츠 넘었다

작년 농수산품 수출액 약 15조 달해


K-푸드의 인기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김밥은 K-푸드 열풍의 단편적인 예시에 불과하다. 지난 3월 10일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2023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2022년 기준)를 보면 K-푸드의 인기를 더 적나라하게 볼 수 있다. K-콘텐츠의 인기와 잠재력을 나타내는 브랜드파워 지수(Brand Power Index)는 58.8점인데, 그중에서 K-푸드가 66점으로 뷰티(62.3점), 팝(61.7점) 등의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는 콘텐츠를 뒤로하고 1등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우리나라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작년 대비 5.3%가 증가해 120억 달러(약 15조 원)라는 어마어마한 실적을 기록했다.


한국 음식의 선두 주자인 비빔밥, 불고기, 김치와 같은 1세대를 지나, 지금은 떡볶이, 라면과 같은 식품들이 대표주자로 나서고 있다. 그중 라면은 과연 대세라고 할 수 있다. 농심 신라면은 올해로 33년째 국내 라면시장에서 부동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는 해외 매출액이 국내를 넘어서 해외에서 더 잘 팔리는 라면이 되었다. 


2020년에는 미국 3대 일간지 ‘뉴욕타임스’가 신라면블랙을 세계 최고의 라면으로 꼽으면서 한국 라면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그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다. 세계 어느 마트를 가든 신라면, 불닭볶음면과 같은 자랑스러운 한국 식품으로 한 서랍을 가득 채운 모습을 보며 우리는 그 인기를 실감할 수 있다.


KakaoTalk_20231025_201824851.jpg

[이미지 촬영=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23기 황예희 기자]


라면에 이어 큰 인기를 냉동만두도 의외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비비고 또한 신라면처럼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잘 팔리는 식품이다. 만두소를 다양하게 할 수 있는 만두의 특성에 따라 CJ 제일제당은 ‘비비고’를 국가별 특색에 맞춘 만두를 생산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치킨 앤 고수(실란트로)’ 만두가 제일 인기이며, 인구의 약 12%가 채식주의자인 호주와 이슬람 율법에 따라 돼지고기를 섭취할 수 없는 이슬람 국가에는 플랜테이블 왕교자를 제작하여 수출한다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문화부=23기 황예희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국내 첫 개인전 file 2023.03.30 박우진 763941
[포토] 일본 야마구치현 우베시 초요컨트리클럽(CC) file 2023.03.22 조영채 762505
[PICK] 요즘 떠오르는 힐링수업, ‘플라워 클래스’ 2 file 2021.08.27 조민주 1187447
축구계의 갑신정변, 슈퍼리그 창설 계속되나? file 2021.08.09 이인황 18341
충격의 도쿄올림픽, 한국 야구의 현주소는 어디인가? file 2021.08.09 이정훈 19827
"금메달 박탈하라"...도 넘은 안산 향한 온라인 공격 2 file 2021.08.06 조영인 17123
"학교 직장인증 소셜커뮤니티" 비대면 친목플랫폼 '썸코리아' 출시 file 2021.08.05 디지털이슈팀 12707
가짜가 더 비싼 신발 세상 file 2021.08.04 류태영 13616
온라인 쇼핑 플랫폼, MZ 세대의 놀이터로 자리매김하다 file 2021.07.30 전인애 13262
보다 따뜻한 말, 함께 읽어요 file 2021.07.28 한수진 10650
[PICK] 쓰레기로 만든 신발 나이키 레디메이드 블레이저 file 2021.07.27 류태영 167422
간편 결제 수단의 시대: PAY 3 file 2021.07.27 전인애 12838
“이게 한국?”...내셔널지오그래픽에 한국인들이 뿔난 이유 file 2021.07.27 박지훈 138293
엑시노스의 또 한 번의 도전 file 2021.07.26 이준호 11675
원자만 한 두께의 2차원 반도체를 쌓아 초격자 구조 구현 성공... 양자컴퓨터 소자로 사용 가능 file 2021.07.26 한건호 11645
눈에 넣는 일회용 인공눈물, 독을 넣고 있지는 않은가 file 2021.07.26 김정희 14360
차선규제봉 관리가 제대로 되고 있는 것인가? file 2021.07.26 이은별 12374
48인의 독립운동가 file 2021.07.26 노윤서 13349
내가 작가가 될 수 있다고? <너 쓰고, 나 쓰고> 청소년 릴레이 소설 출간 프로젝트 file 2021.07.26 권가현 12083
[PICK] '대통령 특별사절 1호 가수' 방탄소년단, "사명감 갖고 긍정과 희망 에너지 전하고파" file 2021.07.26 김수인 167925
더울 땐, 미술관으로 떠나보자! file 2021.07.26 한윤지 10166
드디어 개최된 도쿄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들의 활약? file 2021.07.26 한수진 13100
[PICK] KBO 역사상 최대 위기, 팬들의 마음은 이미 돌아섰다 file 2021.07.26 지주희 255177
행복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도파민'은 무엇일까? file 2021.07.23 이수정 23628
50점 폭격한 아데토쿤보, 50년 만에 우승한 밀워키 벅스 file 2021.07.23 이대성 12793
'제8회 대한민국 금융대전 2022, 로그인 머니', 포스트 코로나 시대. 앞으로 경제와 내 자산은 어떻게 될 것인가 file 2021.07.23 김진현 18544
민간 우주 관광 시대 개막…일반인은? 2021.07.23 민호윤 12527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에 따른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의 힘 file 2021.07.20 남서영 11491
키움 히어로즈, 플라스틱(비닐) 응원봉 대신 이것을...? file 2021.07.19 정윤선 18860
파인타르 사용으로 인한 부정투구, 이제는 안녕 file 2021.07.19 김민성 11408
합법적으로 쉴 수 있는 대체공휴일, 올해는 3일 더! file 2021.07.19 변주민 15204
농업에 과학을 더하다 ‘도시형 스마트팜’ file 2021.07.16 신지연 13356
“4인 4색 기후위기 SF 소설” 푸른숲주니어, '일인용캡슐' 신간 출간 file 2021.07.15 디지털이슈팀 13879
'부상' 김희진-김수지 합류, 여자배구 대표팀 도쿄올림픽 출전 최종 12인 명단 발표 file 2021.07.15 김하은 14285
성큼 다가온 4차 산업 시대, 도시 속에 농장을 만들다 file 2021.07.12 김서영 14577
코로나19로 인한 변화 file 2021.07.12 김윤서 16871
예술인을 위한 복지제도, ‘예술인 창작지원금’은? file 2021.07.06 김민아 15642
올해 1만 3955명 LEET 응시자 역대 최다, 취업난으로 인한 취업 대신 전문직 준비 중 file 2021.07.06 이승열 29593
“7월 1일부터 대전~오송 급행 버스 현금 승차 안돼” file 2021.07.05 김태림 10393
반도체 인쇄 걸림돌 '마랑고니 효과' 역이용해 반도체 성능 높이는 데 성공 file 2021.07.01 한건호 14183
비대면으로 만나는 세계 10대 미술관 file 2021.07.01 한윤지 10554
방탄소년단X맥도날드, 전 세계 ‘BTS 세트’ 열풍 file 2021.07.01 김수연 10758
개인화 마케팅 시대 속에서 어떻게 살아남아야 할까? file 2021.06.30 정윤선 13439
인간이 우울해질수록, 가재는 대담해진다 file 2021.06.29 유예원 16828
약물의 투여 방법, 어떤 차이가 있을까? file 2021.06.28 김정희 25161
GPU에 집중하라 file 2021.06.28 이준호 12916
[PICK] 남자농구 대표팀, 4승 2패로 아시아컵 본선 진출 확정 file 2021.06.28 윤서원 156586
[PICK] 가까워지는 코로나 종식, 문화생활 시작될까 1 file 2021.06.28 이소현 158198
장애인의 대중교통 어려움, 생각해 봐야 할 문제 file 2021.06.28 남서영 13162
5G 상용화 어느덧 2년 반...한국의 5G 통신 현재 상황 file 2021.06.25 최병용 12494
MZ 세대와 신축성 패션 상용화의 시대 file 2021.06.25 옥혜성 1293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98 Next
/ 98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