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민방위 훈련 참가한 청소년들 "실질적인 행동 요령 배울 수 없어"

by 22기이진기자 posted Sep 16, 2023 Views 5648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지난달 23일, 2017년 8월에 시행된 공습 대비 훈련으로는 6년 만이고 2019년 10월까지 진행된 재난대비훈련으로는 약 3년 6개월의 공백 뒤에 민방위 훈련이 시행됐다. 지난 6년간 전 정부는 북한과의 관계 완화와 코로나 19와 같은 전염병의 이유로 민방위 훈련을 중단했다. 올해 윤 정부는 공습 대비 민방위 훈련을 재개하기로 결정했다. 6년 간의 중단을 감안해 개인보다는 학교와 같은  공공 기관부터 훈련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보장되지 않은 북한과의 안전한 관계에 의지 하며 훈련이 잘 시행되지 않았던 점을 지적했다. 북한과의 관계가 불안정한 지금, 국민 자신의 안전을 확보하고 실제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한 지속적인 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지난 8월 21일부터 24일까지 진행된 을지연습에서는 민방위 훈련 뿐만 아니라 정부 차원의 북핵 대응 훈련을 최초 실시하고 핵 경보 전파 체계와 국민 행동 요령 홍보하며 국가의 대응 능력을 평가하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출처- 대한민국 행정안전부.jpg

[이미지 캡쳐=행정안전부 공식 SNS]


하지만 올해 민방위 훈련에서는 홍보와 진행 과정 그리고 일선 학교에서 훈련 내용이 미흡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특히 시행에 대한 알림이 부족하여 실시한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고 갑작스러운 경보 소리에 다수의 사람들이 당황하며 잘 대응하지 못했다. 1200가구 아파트 대피소에 초등학생 1명만이 대피하였다는 경우나, 주요 실시 대상인 공공기관, 학교에서도 민방위 훈련 중 교육이 잘 진행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대피소 찾기, 실제 상황으로 가정하여 대피하기' 와 같은 실질적인 활동들이 시행되지 않았다. 필자가 재학 중인  중학교에서도 민방위 훈련 중 실시된 교육으로는 정해진 시간에 라디오 청취, 사전 지식 관련 영상 시청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중하지 못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이론식 강의와 자리에 앉아 듣기만 하는 교육은 위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에 도움이 되지 못한다. 


학교에서 민방위 훈련을 받은 두 중학생에게 인터뷰를 요청했다. 두 학생은 모두 교육이 너무 지루했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두 학생은 민방위 훈련이 무엇인지도, 목적이 무엇인지도 인지하지 못한 채로 훈련을 받았다고 답했다. 6년 전의 민방위 훈련을 잘 기억하지 못해 이번 훈련을 통해 실질적인 행동 요령을 배우기를 기대하였지만 형식적인 교육만 이루어진 것 같아 실망했다고 덧붙였다. 훈련이 실시되고 바로 다음 날 교육 내용에 대해 질문하였음에도 잘 기억하지 못하며 실제 위급 상황에 어떻게 대피할 지 아직 모르겠다고 우려를 드러냈다. 


6년만의 시행된 탓인지 올해 민방위 훈련은 여러모로 부족하고 아쉬운 점이 다수 존재했다. 하지만 국민의 안보와 국가의 대응 능력을 위해 민방위 훈련은 지속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훈련 시행에 맞춰 국민들은 적극적으로 훈련에 참여하고 위급 상황 대처 능력 함양을 위한 노력이 요구될 것이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이진 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33743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501671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5558
10대 범죄 문제 약하게 처벌하면 제자리걸음 file 2019.07.23 김이현 13374
10대 청소년, “우리를 위한 정책은 어떻게 만드나요?” 2 file 2017.05.21 홍세영 10052
10원과 50원짜리 동전, 이대로 괜찮은가 5 file 2018.08.24 강민규 13146
10월 25일, 독도의 날 1 2017.11.22 박민영 10695
10월 25일은 독도의 날 file 2017.11.20 성유진 11436
10월 국산 소형 SUV 판매량, 1위는 누구? 2 file 2017.11.20 김홍렬 12955
111년만의 기록적인 폭염, 에너지 빈곤층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2 file 2018.08.21 박상정 10178
11년 만에 한미 2+2 회담 2021.03.25 고은성 8959
1219차 수요집회 열려…청소년이 할 수 있는 일은? 10 file 2016.02.25 박채원 18749
1268차 수요집회, 소녀상 곁을 지키는 사람들 3 file 2017.02.13 이윤영 15904
1270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 중 3 file 2017.02.23 김규리 15991
1270차 수요집회-1270번째 대답없는 메아리 2 2017.05.24 이하은 10759
1281번째, 9241일째 나비들의 날개짓 2 file 2017.05.08 이다은 10326
12년의 결실, 대학수학능력시험 2 file 2016.11.25 최시헌 18613
12월 13일 조두순 출소...청소년들의 공포감 6 file 2020.10.15 김지윤 10759
140416 단원고.. 그리고 잊혀진 사람들 2 2018.05.08 김지연 10416
14일 '충주시민 반기문 환영대회' 열리다. 3 file 2017.01.25 김혜린 17367
16년만의 여소야대… 20대 국회는 과연? 3 file 2016.04.25 유진 16378
16차 촛불집회, 꺼지지 않는 촛불 1 file 2017.02.24 임지은 16012
18세 선거권, 권리 없는 의무가 있을 수는 없다. 5 file 2017.05.05 윤익현 17232
18호 태풍 차바, 울산 태풍피해 심각 3 2016.10.24 김현승 18363
19대 대선, 대한민국의 미래 file 2017.05.20 이동준 10601
19대 대선의 여담 2 file 2017.05.21 강민 10676
1년에 단 1시간, 지구의 휴식시간 7 file 2016.03.20 전지우 18118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515
1년째 계속되는 산불, 결국 뿌린 대로 거두는 일? 1 2020.10.29 김하영 9274
1등 국가가 잃어버린 품격 1 file 2017.07.25 이우철 10590
1월 18일부터 시행되는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어떻게 달라질까? file 2021.01.20 신재호 10472
1인 미디어, 이대로 괜찮은가 7 2018.01.08 김태경 30881
2%부족한 9시등교 2014.09.24 이효경 21388
20%대로 추락한 아베 지지율, 장기 집권에 "빨간불 " 2 file 2017.08.09 이진하 11229
2014 제10회 골목골목 festival (마을 축제) 열리다. file 2014.10.19 권지영 23939
2015년, 마침내 해방을 이루다 3 file 2015.02.24 황혜준 41831
2016년 ‘위안부 손배소’, 이용수 할머니 증언을 끝으로 4년 만에 드디어 막 내린다 2020.09.16 이채은 8457
2016년 동북아시아를 뒤흔든 "THAAD(사드)" 12 file 2016.02.14 진형준 18801
2016년 제1기 중앙청소년참여위원회 위촉식 및 오리엔테이션 1 file 2016.03.24 김지민 18956
2016년,고1 고2의 마지막 전국모의고사 D-1 1 file 2016.11.22 최서영 22027
2017 김학순 다시 태어나 외치다 file 2017.08.29 정가원 10040
2017 대선, 그리고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 2 file 2017.06.06 최현정 11349
2017 대선, 누가 대한민국을 이끌게 될까? 4 file 2017.02.06 김수연 22297
2017 대선의 숨은 모습을 찾다 file 2017.05.26 구성모 10812
2017.03.10. 박근혜 정부는 죽었다 file 2017.03.12 최은희 12144
2017에서 2018, 변화하는 ICT 10대 이슈들 2 file 2018.01.10 허예림 13557
2018 평창 동계 올림픽, 국민들에게 희로애락을 안겨주다. 2 file 2018.03.06 최다영 10310
2018년 지방선거 1 file 2018.06.18 조은지 11890
2018년 초,중,고 수학시간 계산기 사용 허용 file 2015.03.19 최재원 33572
2018년, 최저임금 인상 5 file 2017.07.21 최현정 12549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종료 3 file 2017.11.24 장서연 1233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