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curity_login_new.png
cs_new_10.pngside_bottom_02.png
시사포커스

국가인권위원회, 장애인과 이주노동자 인신매매방지법 정책토론 개최

by 22기김민성기자 posted Aug 10, 2023 Views 583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Extra Form

국가인권위원회.png

[이미지 캡쳐=국가인권위원회 웹사이트]


지난달 25일 국가인권위원회(위원장 송두환, 이하 ‘인권위’)는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인권위 인권교육센터에서 〈한국사회의 인신매매 실태 진단 및 인신매매 근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당초 계획은 4시까지 토론이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다양한 의견과 대화가 개진되며 토론회는 5시까지 이어졌다.


토론회에서 윤미향 국회의원을 비롯해 인신매매와 관련된 많은 활동가들 및 정부부처의 공무원 등이 참여하여 한국사회의 인신매매의 실태와 이를 근절하기 위한 해결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인신매매의 주 표적이 되는 장애인과 이주노동자의 실태에 대해서 다루었다.


장애인의 경우에는 신안 염전 노예가 2014년에 이어 2021년에도 실존하고 있음이 들어났고 전북에서도 장애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노동력을 착취했던 것을 들며 장애인 노동착취 행위는 특히 피해자가 피해를 인식하지 못하고 가해자와 생활 전반의 의존관계를 가지게 되는 경우가 많아 해결에 어려움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주 노동자의 경우에는 특히 원양어선 등 선상에서 발생하는 사례가 많은데 해상에서 고립된 선박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근로감독이 어려워 폭행 및 폭언, 신분증 압수, 통장 압수, 임금체불 등이 비일비재하며 법률상으로도 근로시간에 제한이 없다는 점, 외국인 선원에 대한 최저임금을 노사 단체협약을 정하는 특례가 있다는 점 등 제도적으로 이주 노동자들이 노동착취에 취약하게 되어 있는 것을 지적했다.


토론참여자들은 한국의 인신매매 문제에 대해서 한국사회가 인신매매의 범위를 그저 직접적으로 '사람을 매매하는 행위'로 한정하여 보는 것을 문제삼았다. 대한민국의 형법에 따른 인신매매죄는 사람을 매매하는 행위로 한정하고 있어 실제 인신매매가 발생하더라도 대부분 인신매매죄로 처벌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토론참여자들은 의정서에 따라 제정된 인신매매방지법은 의정서가 정의하는 인신매매 행위의 예방 및 피해자 지원에 대한 규정만 있을 뿐 처벌 규정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입 모아 인신매매 처벌에 관한 특례법 제정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인신매매 범죄에 대한 포괄적인 처벌 규정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은 2002년부터 미 국무부의 인신매매 보고서에서 매년 1등급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작년부터 2년 연속으로 2등급으로 평가되고 있다. 올해부터 수립된 여성가족부의 『제1차 인신매매등 방지 종합계획』이 대한민국의 인신매매를 근절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 사회부=22기 김민성기자]




Copyright ⓒ 대한민국청소년기자단(www.youthpress.net),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kltw_kyp_adbanner5.png


List of Articles
제목 날짜 이름 조회 수
[기자수첩] 일본 애니에 밀린 한국영화...한국영화가 몰락하는 이유 file 2023.04.11 나윤아 329804
[PICK] 'SRT 전라선 투입'... 철도노조 반발 파업 file 2021.11.22 김명현 497168
[단독] 시민단체가 국회 명칭 도용해 ‘청소년 국회’ 운영..‘대한민국청소년의회’ 주의 필요 file 2018.05.31 디지털이슈팀 711400
고용없는 경제가 될 것인가 1 file 2018.12.17 박정언 9337
전두환, 노태우 동상 철거, 그 이유는? file 2020.06.24 이가빈 9340
코로나의 피해.. 어느 정도? file 2020.02.28 민아영 9342
美, 잇따라 아시아인을 겨냥한 범죄 발생… file 2021.03.29 이지연 9344
주식청약 방법과 문제점 file 2021.03.29 이강찬 9346
논란의 기안84... 이번에도 여성 혐오 논란 2 file 2020.08.19 김민결 9347
음원차트 순위 꼭 있어야 하나? 1 file 2020.01.02 전혜은 9353
반복되는 바이러스 2 file 2020.02.13 전혜은 9363
이별 후 과도한 집착과 가스라이팅... 이제는 형사처벌까지? file 2022.02.25 김명현 9365
텔레그램 신상 공개 언제쯤 file 2020.04.29 김소연 9369
검찰 개혁,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 2017.05.19 한훤 9372
물티슈 한 장에 지구가 신음하는 소리를 들었다 file 2020.08.24 이예빈 9377
딜레마에 빠진 청와대 국민청원, 이대로 괜찮을까? file 2019.02.27 남홍석 9380
카멀라 해리스, 美 최초의 여성 부통령으로 당선 2 file 2020.11.09 임이레 9382
문재인 대통령이 지켜야 할 경제 공약들 file 2017.05.21 박민우 9386
불거지는 미국과 이란의 국제 관계...경제적 영향 끼칠것 4 file 2020.01.16 김수진 9386
폭우 피해 원인 공방…4대강 사업 vs 태양광 1 file 2020.08.20 김대훈 9386
슬로벌라이제이션; 새로운 세계화의 흐름 file 2020.05.25 조민경 9390
이종 간 이식 성공, '이종장기이식' 괜찮을까 2020.05.12 윤소영 9398
하버드 교수의 ‘위안부’ 비하 발언 file 2021.03.09 최연후 9398
트럼프 "기생충 수상, 한국이 왜?" 1 file 2020.03.30 남정훈 9400
대선에만 치우친 시선, 2022년 재보궐선거는? file 2022.02.25 고대현 9404
흡연, 줄일 순 없는 걸까? file 2020.08.03 이수미 9407
계속 더워지는 지구... 최근 5년이 가장 더웠다 file 2019.12.31 유승연 9411
인류의 제2의 재앙 시작?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코로나 변종 발견되다 file 2021.01.19 김태환 9422
경기도 2차 재난지원금 지급 시작, 경기지역화폐카드 사용 시 혜택 1 file 2021.02.17 김수태 9431
코로나19가 IT 업계에 미친 영향 1 2020.04.13 이혁재 9434
1년에 한 번뿐인 대학수학능력시험 2 2020.11.27 김준희 9443
코로나19로 인한 국민의 소비율 감소. 실업자 증가 1 file 2020.03.23 정다현 9444
제19호 태풍 솔릭의 영향은 어디까지일까... file 2018.09.03 정다원 9452
스팸 메일, 알고보니 환경 파괴 주범 file 2020.05.25 오경언 9452
OCN의 긴급 편성 변경, 논란이 되고 있는 이유 1 file 2019.09.25 정은재 9458
성공적인 제2차 북미정상회담의 개최를 기원하며 file 2018.10.15 양나겸 9459
도로 위 무법자, 전동 킥보드...이젠 안녕 1 file 2021.05.20 변주민 9461
문 대통령이 밝힌 기해년의 목표는 무엇인가 file 2019.01.08 권나영 9465
짧아서 행복했던 숏.확.행 틱톡의 이면 file 2020.08.24 정유리 9465
남북 24시간 소통, '남북공동연락사무소' 개소식 1 file 2018.09.18 정한솔 9470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된 요즘...마스크 때문에 싸우는 나라가 있다? 1 2020.09.29 진예강 9481
'웰컴 투 비디오' 운영자 손씨, 구속 2개월 연장...7월 범죄인 인도심사 추가 심문 file 2020.06.25 김수연 9487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의 폐해 2020.05.25 이수미 9495
2020년 팬데믹에 빠진 지구촌 7대 뉴스 file 2021.01.25 심승희 9495
전 세계적으로 겪는 문제, '코로나19와 겹친 금값 폭등' 1 file 2020.05.21 허예진 9502
북한의 도발과 중국의 태도 file 2017.09.26 박형근 9515
위기의 인도, 코로나19 극복하나? 1 file 2021.05.25 오경언 9527
대왕 카스텔라의 부활 1 file 2020.03.19 강민경 9531
수요 집회, 사람들의 가슴을 울리다 1 file 2017.05.07 김현재 9536
위기에 부딪힌 에너지 전환 정책,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 file 2018.07.26 박문정 9545
김복동 할머니 별세, 위안부 문제의 현주소는? file 2019.02.26 박은서 954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 7 8 9 10 11 12 13 14 15 ... 56 Next
/ 56
new_side_09.png
new_side_10.png
new_side_11.png